• 제목/요약/키워드: sea algae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남해중부 금오열도 연안 암반 조하대 해조군집의 구조 (Seaweed Community of the Subtidal Rocky Habitats along the Coast of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 강래선;김종만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39-347
    • /
    • 2004
  • Seaweed community of the sub tidal rocky habitats along the coast of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is described. This area is characterized by archipelago in which islets are separated by shallow bottom sediments (primary, muddy sand), and turbidity is generally high due to the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The hard substrata available for algal attachment are limited to less than 10 m in depth. Thirty sites were randomly chosen along the coast from August 2003 to September 2003 and a 50 m long transect was established at each site. The transect began at a depth of 1 m and ended at the depth of 9 m. The percent cover of all species other than crustose coralline algae was estimated at 2 m depth intervals along the transect using a 0.25 m$^2$ PVC quadrat with 25 squares. Thirty-six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6 Chlorophyta, 10 Phaeophyta and 20 Rhodophyta. Species with more than 5% mean bottom cover were Gelidium amansii, Corallina pilulifera, Amphiroa dilatata and Carpopeltis cornea, which formed dense turf-forming algal assemblages at 1-5 m depth. At all sites except S11-S15 located in the western coast of Sorido, bottom covers of seaweed species at the depth deeper than 7 m were less than 6%. The lower limit of algal assemblages was 9 m in depth. We speculate that the limited water clarity and vertical extent of hard substrata available for the settlement of seaweed species are the direct cause of reducing the diversity, abundance and distributional extent of algal assemblages in the area.

Changes in macroalgal assemblage with sea urchin density o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 Jeon, Byung Hee;Yang, Kwon Mo;Kim, Jeong Ha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39-146
    • /
    • 2015
  • Urchin barrens have been a major issue of rocky coastal ecosystems in temperate regions. In South Korea, the east coast and Jeju Island have especially been a focus because the area of barren ground increases in spite of continual efforts to install artificial reefs. This study approached the urchin barrens issue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a correlational analysis of urchin and macroalgal abundance. Urchin density and algal species coverage were obtained using a quadrat image analysis. Subtidal sites were then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verage densities of urchins to evaluat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macroalgal community: no urchin (NU) zone; transition (TR) zone, $4inds.\;m^{-2};$ and urchin (UR) zone, ${\geq}8inds.\;m^{-2}$. The average urchin density in the study site was $4.7inds.\;m^{-2}$ and 57 macroalgal species were found in the study site. From the NU zone to UR zone, total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gradually decreased, whereas the dominance index increased. The algae species with negative correlations were Grateloupia divaricata, Polysiphonia morrowii, Chondracanthus intermedius, Delesseria violacea, Desmarestia viridis; and those with positive correlations were the crustose corallines, Sargassum horneri. Other speci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chin density.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indicate that the abundance of some macroalgal species is proportionally regulated by sea urchin density. This study also shows how macroalgal vegetation changes in response to an urchin's density gradient in a natural condition; and there is a TR zone that existed with respect to an intermediate level of algal abundance.

한국 통영 연안의 계절적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Tongyeong Coast, Korea)

  • 박미선;유현일;허진석;김영대;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32-739
    • /
    • 2011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our sites at Tongyeong,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Eighty-two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0 green, 25 brown, and 47 red alga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at the Dukpo (61 species) site followed by the Gajodo (60 species), Yepo (58 species), and Chilchundo (53 species) sites. Seaweed biomass ranged from 578.11 to 678.26 g, with the maximum and minimum at Chilchundo and Yepo,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in term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at Yepo, Dukpo, and Gajodo and Gelidium amansii at Chilchundo. The vertical distribution from the high to low intertidal zone was Sargassum thunbergii and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and Ulv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fulvellum, and Gelidium amansii. Two groups clearly segregated in a cluster analysis, a Yepo/Dukpo group (group A) and a Gajodo/Chilchundo (B), indicating relatively strong differences in similarity.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was characterized by higher biomass and higher species richness of brown algae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been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cold effluents.

Morphological, molecular, and chromosomal identification of dwarf haploid parthenosporophytes of Tauya basicrassa (Phaeophyceae, Laminariales) from the Sea of Okhotsk

  • Klochkova, Tatyana A.;Klochkova, Nina G.;Yotsukura, Norishige;Kim, Gwang Hoon
    • ALGAE
    • /
    • 제32권1호
    • /
    • pp.15-28
    • /
    • 2017
  • Morphological, molecular and chromosomal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auya basicrassa, an endemic kelp species distributed on the northern continental coast of the Sea of Okhotsk in Russia. The sporophytes of T. basicrassa grow up to 3-6 m long, 1.8-2.2 m wide, and 6.5-7 kg wet weight. The thallus has a blade with very thick narrow basal portion and thinner and much broader upper portion, which usually splits into 3 bullated lobes. A dwarf laminariacean alga, which did not show any morphological similarity to the other species of the order Laminariales, was found from the same locality. The blade of this alga is thin and soft, reached 26-34 cm long and 6-6.5 cm wide and had 4 longitudinal rows of bullations that covered the entire blade. Molecular analysis showed that the dwarf alga has 100% sequence identity in plastid-encoded RuBisCo spacer,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and nuclear-encoded rDNA genes with normal sporophytes of T. basicrassa, indicating that they are different life forms of the same species. Fluorescent DAPI staining showed that the nucleus in the normal sporophyte was 50-65% larger than those of the dwarf ones. Chromosome count using acetocarmine staining showed n = ca. 20 for the normal sporophytes of T. basicrassa and n = ca. 10 for the dwarf 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warf thallus is a haploid parthenosporophyte of T. basicrassa, which developed in nature. This is the first evidence of parthenosporophytes of the laminariacean algae occurring naturally in the field.

해조분말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Films Using Various Marine Algae Powder)

  • 임종환;김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74
    • /
    • 2004
  • 해조분말을 이용하여 산 알칼리 병용법으로 알긴산을 추출하고 필름의 물성 증진을 위하여 두 가지의 $CaCl_{2}$ 처리방법 (즉, $CaCl_{2}$를 필름용액에 직접 첨가하는 방법과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을 $CaCl_{2}$, 용액에 침지하여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사용된 해조분말(미역 잎, 미역줄기, 미역귀, 다시마, 톳)중 톳을 제외하고는 모두 필름이 제조되었다. 이들 해조 필름의 물성에 대한 $CaCl_{2}$ 처리방법의 영향은 수분용해도 외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록 이들 해조필름의 인장강도, 투습도, 수분용해도와 같은 필름의 물성이 순수한 알긴산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에 비해 떨어지나 본 연구의 결과는 미이용 해조분말이나 해조가공 부산물로 얻어지는 해조분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포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국내 다소비 해조류 및 채소류의 비타민 E 및 K 분석 (Analysis of vitamin E and K contents in sea algae and vegetable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for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 김효진;이서경;박진주;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9-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함량을 분석하고, 사용된 분석법의 유효성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해조류의 비타민 E는 α-tocopherol만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은 0.15-1.14 mg α-TE/100 g으로 해조류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해조류에서 비타민 E는 건조된 매생이(dried)가 1.14 mg α-TE/100 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K는 건조 미역이 1,629.50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채소류의 경우, 비타민 E 활성은 0.01-2.48 mg α-TE/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비타민 E 함량이 변화하였다.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6.15-979.60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K1 은 초록 잎을 가진 시료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며, 뿌리 채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타민 E와 K의 분석법에 대한 검증은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기간 동안 모든 시료에 대한 분석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데이터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용해조류중의 미량요소와 특수기능성 당질 -2. 산지와 채취시기별 식이성섬유질 함량의 변화와 해조다당류의 분포-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 -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 김두상;이동수;조득문;김형락;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0-278
    • /
    • 1995
  • 우리나라 대표적인 식용해조 (녹조류-참흩파래, 청각: 갈조류-미역, 톳, 모자반, 다시마; 홍조류-얼룩도박, 참김, 불등풀가사리) 9종을 대상으로 가용성 식이섬유질, 불용성 식이섬유질 및 총 식이섬유질의 함량을 주요 산지 (기장, 충무, 여수)와 채취 시기별로 측정$\cdot$검토하고, 특히 갈조류와 홍조류에 대하여는 해조 다당류의 분포를 분석 비교하였다. 총 식이섬유질은 녹조류 중의 참흩파래가 $25.4-38.1\%$ (이하 건물중의 비율), 청각은 $35.4-43.8\%$를, 갈조류 중의 미역은 $34.2-48.8\%$, 톳은$37.5-47.8\%$, 모자반은 $42.9-71.3\%$, 다시마는 $37.1-45.1\%$를, 그리고, 홍조류 중의 참김은 $31.3-40.5%$, 얼룩도박은$51.5-60.4\%$, 불등풀가사리는 $57.1-65.8\%$를 각각 함유하였다. 가용성 식이섬유질과 불용성 식이섬유질을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한 해조류는 각각 불등풀가사리와 모자반이었다. 총 식이섬유질에 대한 가용성 식이섬유질의 함유 비율은 녹조류 중에서는 참홑파래 $(43.7-64.8\%$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17.5-31.3\%$,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불등풀가사리 $(44.7-63.2\%$가 높은 값을 보였다. 해조 다당류의 분포상의 특징을 보면, 갈조류는 알칼리 가용성 알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9.0-15.1\%)$, 홍조류 중의 참김은 폴피란 $(5.8\%)$을, 그리고 불등풀가사리와 얼룩도박은 한천 $(20.0\%)$과 카라기난 $(23.8\%)$을 각각 많이 함유하는 차이를 보였다.

  • PDF

한반도 동해안과 제주도 연안에서 발견되는 방해석질 각질의 미량원소, 부원소 및 탄소와 산소 동위원소 함량의 변화 (Trace (Minor) Element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Calcitic Skeletons in the Eastern Coast and Cheju Island, Korea)

  • 지옥미;우경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3호
    • /
    • pp.124-141
    • /
    • 1998
  • 이 연구는 한반도 동해안과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가지상과 덮개상 홍조류(articulated and encrusting algae), 성게(echinoid), 따개비(barnac1e) 및 굴(oyster)의 미량원소(부원소)와 안정동위원소 함량의 위도에 따른(즉, 수온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가지상과 덮개상 홍조류는 7~21 mol% $MgCO_3$, 성게는 7~15 mol% $MgCO_3$의 고마그네슘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따개비는 1~5 mol% $MgCO_3$의 저마그네슘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지상 홍조류, 따개비와 굴의 각질 내의 Mg 함량은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덮개상 홍조류와 성게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변화가 없다. 가지상 홍조류, 성게와 따개비에서의 Sr 함량은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덮개상 홍조류와 굴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없다. Mn 함량의 경우 가지상 홍조류와 덮개상 홍조류에서는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나, 성게와 따개비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영향을 보이지 않는다. 가지상 홍조류의 Fe 함량은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나, 덮개상 홍조류와 굴에서의 Fe 함량은 증가한다. 하지만 성게와 따개비의 경우 Fe 함량은 해수온도 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없다. Ba 함량은 성게와 저마그네슘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각질 내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가지상 홍조류는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덮개상 홍조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Cd와 Pb 함량은 조사한 모든 생물들이 해수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Cu 함량의 경우 덮개상 홍조류에서는 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가지상 홍조류, 성게, 따개비와 굴에서는 해수온도 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는다. 고마그네슘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각질과 저마그네슘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각질내의 Zn 함량은 해수온도 변화에 따른 뚜렷한 변화가 없다. 따개비를 제외한 각 생물의 각질에서 측정한 산소동위원소 값으로 추정된 생물들의 성장온도는 동해안과 제주도의 해수온도보다 높게 나타난다. 굴과 성게의 각질에서 측정된 산소동위원소 값은 밀집되어 나타나며, 해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각 생물들이 주변 해수와 산소동위원소적으로 비평형상태에서 각질을 생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따개비의 동위원소 성분은 고환경의 해수온도를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지만, 나머지 생물들은 고환경의 해수 온도를 추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conspecificity of Pterosiphonia spinifera and P. arenosa (Rhodomelaceae, Ceramiales) inferred from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 Bustamante, Danilo E.;Won, Boo Yeon;Cho, Tae Oh
    • ALGAE
    • /
    • 제31권2호
    • /
    • pp.105-115
    • /
    • 2016
  • The genus Pterosiphonia includes twenty-one currently described species of red algae that occur in temperate to tropical regions of the Atlantic and Pacific Oceans. Pterosiphonia spinifera was originally described as Polysiphonia spinifera from Peru and later transferred to Pterosiphonia. Pterosiphonia spinifera has been reported from Peru as Pterosiphonia pennata, which was originally described from the Mediterranean Sea. Recently, Pterosiphonia arenosa wa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of P. pennata from Korea. We collected P. spinifera along the coast of Peru and P. arenosa near the type locality in Korea. We compared them with the isotype specimens of P. arenosa using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Our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our phylogenetic analysis of rbcL sequences demonstrate that P. spinifera and P. arenosa are conspecific and indicate that P. arenosa is a later synonym of P. spinifera. Our study confirms the wide occurrence of P. spinifera in the western and eastern Pacific Ocean.

해조류 및 생약의 Tyrosinase 억제활성 검색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 이봉호;강기정;이은석;이남호;최병욱
    • 생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7-242
    • /
    • 1998
  • We have test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n the methanol extracts of 23 species marine algae and 23 species traditional medicinal plant. Among them, four medicinal plants, Ephedra sinica, Atractylodes japonica, Pinnelia ternata, and Citrus aurantium, showed strong inhibition potency over 90% at concentration of 0.33 mg/mL. Also, two marine algae, Enteromorpha compressa and Sargassum singgildianum showed mild inhibition potency over 50% at concentration of 0.33 mg/m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