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ing assessment

검색결과 609건 처리시간 0.025초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호소 수역 내 잔류 농약의 생태위해성평가 : 위해지수방법과 확률론적 방법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Lake : Risk Quotients and Probabilistic Approach)

  • 이지호;박병준;박상원;김원일;홍수명;임건재;홍무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6-322
    • /
    • 2011
  • 국내 호소 수역 50지점에서 검출빈도가 비교적 높은 4종의 농약성분에 대해 성수기와 비성수기를 구분하여 오염도를 조사하였고, 위해지수방법과 확률론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조류, 물벼룩, 어류, 양서류 등의 수생 종들에 대한 생태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조류 종에 대해서는 중간 위해성 수준으로, 그 외 다른 수생 종들의 위해성은 낮은 위해성 기준에 비해 훨씬 낮게 산정되어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류 종에 대한 위해성은 주로 제초제인 oxadiazon 성분에 기인하였고, 어류 및 양서류에서도 높은 위해 기여도를 보여주었다. $HC_5$값을 적용한 생태위해지수 또한 oxadiazon 성분에서만 중간 위해성 수준이었고, 이 성분이 수생 종에 위해 영향을 주는 주 기여요인으로 조사되었다. 각 농약성분의 농도가 $HC_5$값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혼합된 형태의 농약성분에 대한 결합된 생태위해확률 또한 허용기준인 5% 이하로서 생태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전국 호소 수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생태위해성평가가 필요하며, 급성독성과 노출량을 비교하는 위해지수와 확률론적 기법은 기초 위해성평가이며, 우리나라 고유 생물 종을 이용한 위해성평가, 만성독성, 환경 중 거동, 환경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한 보다 높은 단계의 위해성평가 기법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성자원의 퇴비원료로 활용 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 for Possibility Assessment on Organic Resources for Using Raw Material of Compost)

  • 임동규;이승환;성기석;소규호;신중두;이정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4
    • /
    • 2006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성자원 중에서 퇴비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고 퇴비로 제조되어 농지에 시용하였을 때 유해성분이 적은 자원을 선별하기 위해 현재 비료관리법상 퇴비원료기준에 규제하고 있는 유기물함량과 중금속(8성분)에 유기화합물(HEM, PAHs)과 Bioassay(Microtox 생물검정법)을 추가하여 규제기준으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04{\sim}'05$년(2년) 전국의 유기성자원 16종, 62점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재료의 유기물함량은 $65.3{\sim}98.0%$로서 기준치인 60% 이상을 크게 상회하였고, 전 질소 함량과 인산함량은 퇴비원료로서 질소 및 인산성분의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금속의 경우 섬유오니가 Cr, Ni 및 As에서, 식품오니 및 피혁오니는 Ni 함량에서 퇴비원료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퇴비원료로 사용이 곤란하였고, 나머지 성분함량들은 모두 기준치보다 낮았다. HEM 함량은 섬유오니가 $113mg\;kg^{-1}$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상당히 높았으며, PAHs 함량은 제지오니에서 $3,462ug\;kg^{-1}$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피혁오니>중소도시 하수오니 순으로 낮았다. PAHs 성분별 분포는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fluoroanthene, acenaphthene이 다른 화합물들보다 많았다. Microtox분석에서 $EC_{50}$값은 피혁오니에서 가장 낮았고, 제약오니<제지오니<공단지역 하수오니<섬유오니 등의 순으로 낮아졌다. 각 분석치 항목 간의 상관관계는 HEM이 Zn, Cu, Ni과 99% 및 Cd와 95% 수준에서, Microtox $EC^{-1}$ 값은 Hg과 HEM에서 9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기성자원의 퇴비원료로 활용에 대한 기준은 유기물함량과 중금속(8성분: Zn, Cu, Cr, Pb, Ni, Cd, As, Hg)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일반성분(B) 및 중금속(Co, Mo, Se)을 비롯하여 유해화합물(HEM, PAHs, PCBs 등) 및 생물검정법(Microtox 등)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연구를 통해 퇴비원료로 활용 가능성 여부를 평가할 수 선별체계(일반성분$\Rightarrow$중금속$\Rightarrow$유기화합물$\Rightarrow$Bioassay) 및 각 선별 체계별 활용기준 항목에 대한 규제기준이 설정된 후 이들의 각 성분함량을 통과하고 최종 비효시험(포장)을 마친 경우에는, 유용한 유기성자원의 농업적 활용으로 안전한 작물재배 및 농업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 이산;오승택;류소연;전진용;이건석;이은;박진영;이상욱;최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83-93
    • /
    • 2016
  • 연구목적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은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성이 입증된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우울장애의 주요한 우울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을 제작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와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DSM-IV의 진단기준에 근거한 MINI를 사용하여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48명의 환자군과 48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 우울증 선별척도, 단축형 우울증상 평가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포함한 척도검사를 시행하여 교차 검증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 상관계수, 주성분 분석,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곡선, 최적 절단점 산출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0.98이었으며,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총점은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던 다른 우울 및 불안척도의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두 요인이 전체 분산의 76.29%를 설명하였으며, ROC 곡선을 이용하였을 때,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최적 절단점은 13점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표준화를 위한 첫 번째 연구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는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또한 이 척도가 진료 및 역학 연구에서 유용한 선별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ER-2/neu Status: A Neglected Marker of Prognostication and Manage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India

  • Zubeda, Syeda;Kaipa, Prabhakar Rao;Shaik, Noor Ahmad;Mohiuddin, Mohammed Khaliq;Vaidya, Sireesha;Pavani, Boddana;Srinivasulu, Mukta;Latha, Manolla Madhavi;Hasan, Qurratula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231-2235
    • /
    • 2013
  • Background: Categorizing breast tumors based on the ER, PR and HER/Neu 2 receptor status is necessary in order to predict outcome and assist in management of breast cancer. Herfe we assessed this question in South Ind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19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breast tumor tissues were collected from pathology archives after receipt of ethical clearance. With the help of primary and secondary conjugated antibodies, expression status of ER, PR and HER2/neu was determined. All the experimental data were assessed for correlations with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tumors and clinical presentation of the subjects.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the ages ranged from 20-87 years with a mean of $50.0{\pm}12.q$ years, and majority of the tumors (84%) were of infiltrating duct cell carcinoma type. Assessment of ER, PR and Her-2/neu expression showed that 46% were triple negative. Interestingly, an inverse relation between ER, PR and HER-2/neu was apparent in 41.2% (p<0.0001) of the tumors, of which 24.5% (p<0.0001) were ER and PR co-negative but HER-2 positive. Conclusions: ER and PR positive tumors are less common (i.e<30%) compared to HER-2/neu positive tumors (i.e>50%) in India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lining the need for effective diagnostic screening and specific therapeutic manag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in low resource countries such as India.

치과대학 대학생 타액의 치아 우식활성도 평가(I) (A Study on Dental Caries Activity Assessment from Saliva of Students of Dentistry College (I))

  • 손승화;김동애;박영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2-190
    • /
    • 2013
  • 이 연구는 2012년 11월 12일부터 11월 30일까지 D대학교에 재학 중인 치과대학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타액을 채취하여 타액으로부터의 Streptococcus mutans 분포 정도를 측정한 후 치아 우식활성도를 분석하는 실험연구이다. 타액을 채취하기 전 간단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paraffin을 1분간 저작하여 타액을 컵에 모은 후 screening strip 전면에 타액이 충분하게 묻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흡연과 음주 유무 혹은 기간에 따라 치아 우식활성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x^2$ 검증을 통하여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들의 50% 이상에서 치아 우식활성도 평가의 음성단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2. 흡연은 S. mutans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흡연 기간이 길어질수록 S. mutans가 많아짐에 따라 치아 우식활성도가 높아졌다. 3. 음주는 S. mutans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음주 기간이 길어질수록 S. mutans가 많아짐에 따라 치아 우식활성도가 높아졌다. 4. 연구대상자의 흡연 및 음주유무, 성별에 따른 우식활성도의 평균 차이는 맨휘트니 유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식의 단계와 흡연 및 음주유무, 성별에 따라 치아우식에는 근사유의확률 양측의 값이 각각 0.476, 0.974, 0.772이었으며,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흡연과 음주는 초기 우식 유발 세균인 S. mutans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향후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모두 관리, 통제하거나 추가적으로 선별 투입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구강건강을 위한 다양하고 더 많은 사례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일본의 노인건강관리체계 검토를 통한 한국 지역사회노인 예방 건강관리 방안모색 연구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Preventive Health Care Model for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the Evaluation of a Japanese Counterpart)

  • 이인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0-22
    • /
    • 2010
  • Purpose: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CCSC (Community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system in Japan, this study suggests a scheme to provide community-based preventive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The study inquired into the applicability of the Japanese model by reviewing the data related to the CCSC project, aided by both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in the field and consultations with specialists. Results: Rearrangement of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system is needed to manage the collective or individual visiting care management for frailty prevention of the elderly in communities. The delegated service system for preventive care in the community, including direct management by one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also needs to be reviewed and the application of stricter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the agency or corporation to run the delegated service is necessary. Long-Term Care Insurance, along with national and local grants, is to be considered as a financial resource for the community-based preventive health care model for the elderly. By making active use of education rooms at district offices, senior citizen centers in neighborhoods for the elderly with easy access can be created. The project needs to raise active supports from communities, develop programs which can be absorbed into particular local cultures, an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ventive project in local communities. The preventive program should focus on first solving the problems of depression, seclusion, and lack of mobility of the elderly. Second, the program should instruct physical self-management for exercise-nutrition-dental maintenance, and third, the program should strengthen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and implement counter-plans of the family and community to protect the elderly who has mental and cognitive problems. Finally, by establishing a network of public health welfare resources based upon research on a community level, assessment and planning for the health of the elderly should be one with their family, and comprehensive consultation and recommendations should be provided to the family. Conclus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perience Japan has had with respect to a similar project, it is appropriate to develop and implement a service system which would combine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system which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nd a preventive health care model for the elderly on a community level.

  • PDF

독활(Aralia cordata Thunb) 추출물의 Nitric Oxide Synthesis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강창호;구자룡;소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21-627
    • /
    • 2012
  • 항염증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NOS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고 그 이화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58가지의 생약재에서 NO 저해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활에서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독활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서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여 최종 분리 시료로 선정하였으며, open column chromatography(silica gel, $C_{18}$)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활성 물질(AC8-MV)을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한 활성 물질(AC8-MV)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nalytical HPLC와 LC-ESI-mass spectrum를 분석한 결과 순수한 단일 물질로 분리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NMR)를 통해 구조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AC8-MV와 NO저해효과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던 AC8-MVI 활성물질에 대한 순도 및 구조분석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독활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AC8-MV)이 NO inhibitor 로서 일반 항염증 약물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실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UPLC-MS/MS를 이용한 벌꿀제품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잔류실태 및 분석법 선진화 (Characterization and screening of pyrrolizidine alkaloids by UPLC-MS/MS: Application to honey)

  • 류회진;김욱희;이은순;김미선;김정곤;윤은선;김현정;김무상
    • 분석과학
    • /
    • 제32권6호
    • /
    • pp.252-261
    • /
    • 2019
  •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 PAs)는 식물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현재까지 약 6,000 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660 여개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주로 국화과, 지치과, 콩과 식물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UPLC-MS/MS를 이용하여 벌꿀 속 자연독소의 일종인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7 종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벌꿀제품 84건에 대하여 PAs 함유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정량은 전자분무이온화 과정에서 벌꿀에 대한 matrix effect를 줄이기 위해 matrix-matched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직선성은 R2 ≥ 0.998, PAs 7 종에 대한 회수율은 81-108 % 수준이었다. 7종 동시분석법으로 국내 유통중인 벌꿀 84건을 검사한 결과, 7.1 % (6/84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검출량은 평균적으로 47.19 ㎍/kg이었다. 또한 검출된 PA 성분은 주로 Lycopsamine과 Echimidine으로 확인되었으며 1.76-202.1 ㎍/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었다.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물질에 관한 국내연구의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Cause of Drug-Induced Liver Injuries in Korean Literature)

  • 윤영주;신병철;이명수;조성일;박재현;이혜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45
    • /
    • 2009
  • Background: The safety of herbal products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It is more complicated because of the concomitant use of conventional western drugs and herbal medicine, including prescribed medicine, folk herbs and food supplements. Although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s have studied on the safety of HMP, their results did not show relevant or consistent conclusions because of the poor quality of studies, including bia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in Korea related to drug induced liver injury (DILI) systematically. We tried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causative materials of DILI and evaluate the clinical difference of DILIs from different materials. Methods: Systematic searches were performed on MedRIC and MEDLIS in Korea. The extraction of data as well as selective screening of the studies was carried out independently by two of the authors.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publication, including grey literature. Results: Twenty-one articles were included. Of them only 7 adapted prospective design and only 6 were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The proportion of conventional drugs associated with hepatotoxic injuries in all DILI ranged from 15.8% to 83.3% and that of herbal medicine was from 28.9% to 44.7%. However, the criteria for herbal medicine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concomitant medications were not fully investigated in most studies. There were limited objective data in the clinical differences of liver injuries from different materials and their results were conflicting. Conclusions: The causality assessments regarding DILI of herbal medicine were not performed properly and causative materials were misclassified in most of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These make the safety issue still ambiguous because of the limitations and lack of objectivity of the studies. More rigorous studies are required for clearly addressing these conflicting issues with cooperative investiga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medicine.

  • PDF

농약의 노출 평가를 위한 수계예측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Water Model for the Evaluation of Pesticide Exposure)

  • 손경애;김찬섭;길근환;김택겸;권혜영;김진배;임건재;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6-246
    • /
    • 2014
  • 농약은 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 자료 및 환경행적 자료를 통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안전하게 관리가 가능하다면 등록이 결정된다. 환경중 행적을 예측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상자료, 작물 재배력 및 토양통을 이용하여 butachlor, iprobenfos, carbofuran, tebuconazole을 대상으로 수계 중 잔류농도를 추정하였다. 예측모형으로 과수용 농약은 PA5를, 벼재배용 농약은 RICEWQ와 SCI-GROW를 이용하였다. 수계모니터링에서 butachlor와 iprobenfos의 최대값은 예측모형의 peak 농도보다 낮았고 최소값은 예측모형의 연평균농도보다 낮아 RICEWQ를 벼 재배환경 중 잔류농약의 농도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흡착계수가 낮은 carbofuran은 RICEWQ와 SCI-GROW에 적용시 지표수계보다 지하수로의 이동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산출되어 RICEWQ는 지하수로의 수계노출농도를 예측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수계 모니터링에서 과수용 농약인 tebuconazole이 검출되지 않아 예측모형으로 산출한 값과 비교하기 어려웠으나 수계를 통한 잔류농약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