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a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초

화본과식물에 발생하는 설부소입균핵병균(雪腐小粒菌核病菌)의 동정 및 발생상태에 관한 연구 -II. Typhula incarnata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tudies on the Ecology of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yphula Snow Mold of Graminous Plants -II.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yphula incarnata-)

  • 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3
    • /
    • 1992
  • Typhula incarnata 의 생육온도는 $-5{\sim}10^{\circ}C$의 범위이었으며 $10{\sim}15^{\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6 균 핵은 고온에서 형성량이 많았으며 pH 5.4-6.2 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좋았다. 기본배지에서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 이눌린, 가용성 전분, 갈락토스, 포도당, 만노스, 만닛톨, 자당, 맥아당, 셀로비로스, 트레할로스, 라휘노스 및 덱스트린 등이 다른 탄소원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23종의 질소원 중에서는 글리신, 셀린, 황산암모니움, 아스파라진, 아스파라틴산(酸) 및 ${\beta}-alanine$ 등이 T. incarnata 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았다. 시스틴과 시스테인은 질소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態) 질소가 질산태(態) 질소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감자배지, 오트밀배지 및 V-8 배지 등은 균의 생육과 균핵형성에 가장 좋았다. 톤을 첨가한 감자 배지에서는 T. incarnata 의 건물중이 감소하였으며, 자당(蔗糖)을 첨가하면 생육이 좋았다. T. incarnata 의 균핵은 흙속에서 생존력이 저하 되었으며 부발아(不發芽)된 균핵으로부터 Trichoderma viride와 세균이 검출되었다. 토양속의 오리새 생엽초는 T. incarnata에 의한 착생(着生)이 살균 또는 무살균(無殺菌)의 고엽초보다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고엽초에서의 T. incarnata 의 부생능력은 $10^{\circ}C$보다는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 또는 무살균의 기질에 착생된 부생균은 Cladosporium sp., Fusarium sp., Mucor sp., Pythium sp., 및 수종의 미동정균(未同定菌)이 경쟁균으로서 검출되었으나 $0^{\circ}C$에서의 생엽초에서는 착생(着生)되지 않았다. Bentgrass의 설부갈색소립균핵병에 대해서 살균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폴리옥신과 티람의 혼합제가 가장 좋았고, 이프로디온, 이프로디온과 옥신 구리의 혼합제, 지오파내이트-메틸, 마이클로브탄일 및 톨클로포스-메틸의 순으로 좋았다.

  • PDF

마늘의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의 역학적 평가 (Pathogenicity of Two Species of Sclerotium to Nine Cultivars of Garlic Cultivated Widely in Korea)

  • 김용기;권미경;조원대;김택수;심홍식;이용환;이찬중;이성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05-111
    • /
    • 2004
  • 마늘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한 국내재배 마늘의 품종저항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병에 관여하는 Sclerotium cepivorum과 대균핵을 형성하는 Sclerotium sp.에 대한 invitro clove inoculation법에 의한 균사생장과 균핵형성소요 일수 그리고 이병포장에서의 품종별 발병정도를 조사하였다. 마늘인편 절편상에서의 병원균의 생장과 균핵형성은 품종 또는 병원균간에 차이를 보였다. 대서종에서는 두 가지 병원균 모두 가장 높은 균사생장을 보였다. S. cepivorum과 Sclerotium sp.의 균핵은 고당종에서 가장 빠르게 형성되었고, 남도종에서 가장 늦게 형성되었다. 포장에서의 품종별 병 저항성에 있어서는 S. cepivorum에 대해서는 모든 마늘에서 이병주율이 50% 이상으로 시험 품종 모두 감수성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난지형마늘에 비해 한지형마늘에서 발병이 적었다. Sclerotium sp.에 대해서는 난지형 마늘 모두 고도의 감수성이었고, 한지형마늘은 서산종, 단양종 그리고 예천종이 중도저항성이었으며 의성종은 저항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품종저항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병진전곡선을 1차 회귀직선화하여 얻은 초기발병치(intercept), 병진전속도 및 병진전곡선하면적(AUDPC)을 비교한 결과 초기발병과 병진전이 함께 고려된 AUDPC가 품종별 병저항성을 평가하는데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 조건하에서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과 포장에서의 역학지수(초기발병치, 최종발병치, 병진전속도, AUDPC)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S. cepivorum에 대하여 균사생장과 최종발병치, 균사생장과 병진전속도간에는 정의상관을, 그리고 균핵형성과 역학지수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5% 수준에서 유의성은 없었다.

잿빛곰팡이 병원균 Botrytis cinerea 균주의 분리기주별 표현형적 특성, 병원성 및 약제저항성 변이 (Variations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Fungicides Resistance of Botrytis cinerea, Gray Mold Rot Fungus, Isolated from Various Host Plants)

  • 최인실;정영륜;조광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46-256
    • /
    • 1995
  •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51균주를 국내 여러곳에서 분리 또는 확보하여 이들 균주의 기주, 형태적 특성, 약제저항성 및 polygalacturonase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분리 기주별로 병원성을 포함한 이들 특성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모두 흰색, 엷은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의 균총색을 보였고, 균주에 따라 균핵과 포자형성량이 달랐다. 병원성 검정에서는 토마토, 오이, 딸기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오이잎 괴사병반 지름이 평균 3.2 cm로 감귤, 양다래, 배 등 다른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1.8 cm보다 훨씬 컸다. 각 균주들의 살균제 저항성은 토마토 분리균주들의 benomyl 저항성이 $EC_{50}$ 562 ppm으로 다른 균주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딸기 분리균주의 경우 사용된지 얼마되지 않은 diethofencarb에 대하여 $EC_{50}$ 210 ppm으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Polygalacturonase 활성은 균주간에 변이가 심하여 specific activity가 최저 0 unit부터 103 unit까지 걸쳐 있었으며, 토마토, 오이, 딸기 등 주요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가 그렇지 않은 균주에 비해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균주들의 효소활성, 살균제 저항성과 병원성간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병원성이 강한 균주와 약한 균주의 polygalacturonase 동위효소 pattern은 배양시 탄소원에 따라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백합(百合) 잎마름병균(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및 균핵형성(菌核形成)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Mycerial Growth, Sporulation and Sclerotial Formation of Botrytis elliptica (Berk.) Cooke)

  • 박종성;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9-14
    • /
    • 1988
  • 백합(百合) 잎마름병균(病菌)(Botrytis elliptica)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및 균핵형성(菌核形成)에 미치는 주요(主要)한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 elliptica는 V-8 juice agar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NUV light 조사시(照射時) 다른 배지(培地)에 비해 분생포자(分生胞子)의 형성(形成)도 빨랐고 형성량(形成量)도 많았으며 3일간(日間) $23^{\circ}C$에 배양(培養)한 후 NUV light를 조사(照射)하면 보다 다량(多量)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얻을 수 있었다. 2. 균(菌)의 생장(生長) 및 포자발아적온(胞子發芽適溫)은 $23^{\circ}C$였으며 고온(高溫)보다는 $19{\sim}23^{\circ}C$의 비교적(比較的) 저온(低溫)에서 균(菌)의 생장(生長)이 빨랐다. 3. pH 4.5~5.0에서 균(菌)의 생육(生育)이 좋았으나 pH가 높아질수록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4. 광(光)은 균사(菌絲)의 생육(生育)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포자(胞子)의 형성(形成)에는 광(光)의 종류(種類)가 매우 크게 작용(作用)하여 NUV light 조사(照射)에 의(依)해서만 분생포자(分生胞子)가 형성(形成)되었다. 균핵(菌核)은 $19^{\circ}C$이하(以下)의 배양(培養)에서만 형성(形成)되었다.

  • PDF

벼 잎집무늬마름병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f Rhizoctonia solani Causing Rice Sheath Blight)

  • 박경석;정봉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50
    • /
    • 1985
  •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Kuhn)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채집 분리한 60여 Rhizoctonia 균중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특징이 있는 3개 균주를 선발하여 그들의 배양적 특성, 병원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들 분리균주에서 PSA 배지상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 등의 배양적 특성에 따라 선발한 3개 분리균주의 병원성은 균주간에 달랐다. 질소원으로서 Arginine, Alanine, Urea, Ammonium sulfate 및 Sodium nitrate 등은 균사생장 및 균사형성에 효과적이었으나 Cystine, Methionine, Lysine, Histidine, Tryptophan 및 Tyrosine 등은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Urea, Sodium nitrate, Agrinine, Ammonium sulfate 및 Lysine 등은 질소원의 농도가 낮게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나 Proline, Histidine, Alanine은 높은 농도 수준에서 양호하였으며 균핵형성은 모든 공시 질소원의 높은 농도 수준에서 양호하였다.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양호한 질소원인 Arginine, Alanine, Urea, Ammonium sulfate는 병원성도 증가시켰다. Proline 첨가 배지에서는 각 균주 공히 큰 균핵이 형성되었으며 Tryptophan을 함유한 배지에서 각 균주 모두 생육이 저조하였고, 배지의 갈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 PDF

수도(水稻)에 관여(關與)하는 Pythium spp와 균핵병균류(菌核病菌類)의 분류동정(分類同定)에 관(關)한 연구(硏究)(II)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Pythium spp. and Sclerotial Fungi isolated from Rice plants in Korea (II))

  • 이영희;이응권;김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1978
  • 1976년(年) 9월(月) 일신품종계(日新品種係)인 수도(水稻)의 유유품종(維新品種)에 주(主)로 발생(發生)된 위조(萎凋)벼와 상자육균대(箱子育菌代) 및 답토양(畓土壤) 등(等) 대상(對象)으로 병해조사(病害調査) 열시(實施)한 결과(結果) Pythium spp와 몇가지 균핵(菌核) 병균류(病菌類)를 공리동정(公離同定)하였다. pythium속(屬) 가운데는 병원성(病原性)이 있고 고온(高溫)에서 잘자라는 Pythium aristosporum Vanterpool과 Pythium sp. Kythium myriotylum Drechsler 그리고 병원성(病原性)이 약(弱)하고 저온성(低溫性)으로 답토(畓土)에서 분리(分離)된 Pythium irregulare Buisman을 동정(同定) 균핵병균(菌核病菌)으로는 우리 나라의 병해목록(病害目錄)에는 미기록종(未記錄種)인 Sclerotivae hydrophilum(구상균씨병)(球狀菌核病)과 Sclerotium oryzae-sativae(복빛균)(福色核菌)였으며 이들 균핵병(菌核病)들의 병원성(病原性)을 보면 소립균핵병(小粒菌核病)이 강(强)한 편(便)이미 그외 균핵병(菌核病)들은 오래된 하부옆(下部葉)와 상병기생성(傷病寄生性)의 약(弱)한 병원성(病原性)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균핵병(菌核病)의 분포(分布)는 답토양중(沓土壤中)에 상당(相當)한 밀도(密度)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발생생태(發生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 PDF

종류가 다른 무생물적 요인이 진균류에 미치는 세균의 주화성 (Effect of Different Abiotic Factors on Chemotaxis of Bacteria Towards Fungal Propagules)

  • ;;;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1992
  • 운동성을 띠는 5가지 부생균과 1종류의 식물병원세균으로 Agrobacterium radiobacter, Bacillus subtilis, B. polymyxa, Pseudomonas aeruginosa, P. fluorescens 및 Xanthomonas malvacearum을 공시하여 이들 세균이 Cochliobolus sativus 분생포자, Fusarium oxysporum f. sp. ciceri의 후막포자, Macrophomina phaseolina의 균핵 및 Phytophthora drechsleri f. sp. cajani 난포자의 분비물에 미치는 화학주성을 서로 다른 무생물적 조건하에서 실험하였다. 균의 분비물의 농도와 세균세포의 끌리는 유인사이에는 정상관$(r=0.76{\sim}0.89)$이 있었다. 유사한 결과로서 화학주성반응과 배양간격에서도 통계적인 정상관이 있다$(r=0.82{\sim}0.95)$. 세균의 화학주성반응은 온도와 pH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최적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온도로서 A. radiobacter는 $25^{\circ}C$, B. polymyxa, P. aerugionosa, p. fluorescens and X. madracearum은 $30^{\circ}C$이었고, B. subtilis는 $35^{\circ}C$가 최적이었다. 최대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분비물의 주성은 pH7이고 pH3과 11에서는 buffer와 같았다. 시험용 모세관에 유인물질이나 buffer 중 어느 종류가 채워져도 유인물질이 있는 시험관에 연결되면 세균은 주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잔디의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일으키는 2핵성 Rhizoctonia의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Binucleate Rhizoctonia Isolates Causing Leaf Blight(Yellow Patch) in Turfgrass)

  • 김진원;심규열;김호준;이두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11
    • /
    • 1992
  • 국내 골프장에 식재된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및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에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나타내는 병반 부위에서 병원균을 분리ㆍ동정한 결과 2핵성인 Rhizoctonia cerealis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은 잔디의 관부와 엽조직을 침해하였으며, 병징은 bentgrass의 경우 1m 내외의 둥근 고리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병반 가장자리의 잔디잎은 초기에는 붉은색을 띠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갈변하였다. Zoysiagrass에는 직경 30~40cm의 근사원형의 병반이 봄철 맹아시기에 발생하고, 병반 부위에서는 잔디가 맹아되지 않았다. 맹아된 잔디에는 부정형의 볏짚색 반점이 생기면서 고사되었다. Rhizoctonia cerealis의 균사직경은 2.5~6.3$mu extrm{m}$(평균 3.8$\mu\textrm{m}$)이었으며, 균사는 담황색을 띠고, 균총의 색은 밝은 갈색을 나타냈다. Monilioid cell 크기는 5.8~12.5$\times$l3.8~37.5$\mu\textrm{m}$였으며, 배지상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는 0.2~2.0mm, 균핵의 색은 처음에는 흰색을 띠다가 성숙해가면서 갈색을 나타냈다. 온도에 따른 균사의 생장은 23$^{\circ}C$에서 가장 양호했다. 병원성 검정 결과 분리균간에 병원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 PDF

Bacillus megaterium N4에 의한 들깨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erilla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acillus megaterium N4.)

  • 문병주;김현주;송주희;이광열;백정우;정순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61-769
    • /
    • 2004
  •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지역의 들깨 하우스내에서 들깨의 잎에 갈색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습도가 높을 시에는 잎에 무름증상과 줄기에 잘록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주전체가 고사하여 흰색의 균사로 뒤덮히고 균핵이 형성되는 병해가 발생하여 1998년 5월에 자연발생된 균핵병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약 8.1~28.3%로서 평균 13.9%였다. 이러한 증상을 띄는 병반으로부터 분리된 16균주를 균사절편 접종법으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접종 1일 후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자연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16균주 모두 80.0% 이상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52균주를 공시선발하고,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들깨 균핵 병균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길항세균인 Nl 등 6균주를 공시하고 병원균 52균주와 균사생육 억제효과 및 생육상내 포트검정을 통해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N4 균주에 의한 균사생육 억제효과와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시 길항균을 병원균처리 1~3일 전에 처리할 경우 80.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치료 효과보다는 발병예방효과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 N4 균주를 Bergey's manual과 API system을 이 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으로 동정 되었으며, 이를 수화제형인 미생물농약 N4제제로 제조하여 유기합성 농약인 베노밀수화제와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원균처리 3일 전에 처리할 경우 N4 수화형 제제의 방제가가 98.0%로 베노밀수화제에 의한 78.0%보다 방제가가 높았다.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스타티스 줄기썩음병 (First Report of Stem Rot in Static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n Korea)

  • 강미형;정동춘;최창학;임회춘;송영주;노태환;이두구;김형무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54-56
    • /
    • 2009
  •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훼 재배 농가 단지에서 스타티스 줄기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지제부 부근의 줄기와 잎이 마르면서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하며, 병이 진전되면 관부까지 갈변하다가 포기 전체 발병하여 고사한다. 병원균은 PDA에서 기중균사를 형성하고, 처음에는 흰색을 띠다가 연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균사는 $90^{\circ}$로 분지하고, 대부분 하나의 세포에 다핵을 형성하였다. 또한 PDA에서 부정형 또는 타원형으로 $0.3{\sim}0.5\;mm$의 균핵을 형성하였다. 병원성 검정은 코흐의 가설에 따란 수행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스타티스에 줄기썩음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스타티스 줄기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