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a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8초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Elsholtzia splenden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1-133
    • /
    • 2008
  • 2006과 2007년 2년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꽃향유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4{\sim}9{\mu}$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꽃향유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구절초 흰비단병의 발생 및 특징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tem Ro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김창수;이왕휴;김정만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5-227
    • /
    • 2011
  • 2009년 9월에 전북 완주군 상관면 조경포장에 재배중인 구절초의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무르고 썩으면서 암갈색으로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균사가 자라고 갈색의 구형 또는 부정형의 균핵이 형성되었다. 균사의 생육적온은 $25{\sim}30^{\circ}C$이었으며, 균사의 폭은 4-9 ${\mu}m$이었고, 균핵의 크기는 0.8-3.5(평균 1.8) mm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분리한 균은 구절초에 대한 실험결과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구절초에 발생한 병징과 분리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구절초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고추 흰비단병 발생 (Stem Rot of Capsicum annuum Caused by Sclerotium relfsii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21-24
    • /
    • 2004
  • 2002년 경남 하동군 진교면 노지재배 포장과 2003년 진주시 문산읍 촉성재배 비닐하우스 고추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지제부의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변하고 시들면서 말라 죽는다. 병반부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병반 부위와 토양 표면에 갈색의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된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감자한천배지에 배양시 3$0^{\circ}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균핵은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크기는 1.0∼2.7 mm이었다.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고 균사 폭은 3.6∼10.2 $\mu\textrm{m}$이었다. 본 병원균을 Sclerotium rolfsii로 동정하였으며 고추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Fruit Rot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53
    • /
    • 2009
  • 2007년 5월 상순 진주시 초전동 비닐하우스 수박 재배 포장에서 수박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정은 과실 아랫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면서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모양으로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sim}3\;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로서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수박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가지 흰비단병 (Stem Rot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신순선;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19
    • /
    • 2003
  • 가지 흰비단병이 2002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가지 재배포장에서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가지의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변하며 썩으면서 병반부위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위에 흰색 곰팡이가 솜털처럼 발생하는 흰비단병 특유의 병징이 나타났다. 병반부와 PDA 배지에서 갈색을 띤 구형의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으며, 크기는 $1.0{\sim}3.4mm$였다. PDA배지 상에서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이며, 병원균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으며 크기는 $3.8{\sim}10.6{\mu}m$였다. 병원균의 균학적 특성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가지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Pathogenicity and Host Range of a Potential Mycoherbicide, Isolate BWC98-105, Causing White Root Rot on Trifoliorum repens

  • Hong, Yeon-Kyu;Cho, Jae-Min;Lee, Bong-Choon;Song, Seok-Bo;Park, S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58-62
    • /
    • 2004
  • White root rot of wild white clover (Trifoliorum repens) caused by isolate BWC98-105 has been first reported in Korea. Typical symptoms on root include water-soaked and dark-brown rot, resulting in complete blight of the whole plant. The fungus grew well at $20-28^{\circ}C$ and produced abundant sclerotia at 10-15 days after full mycelial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Sclerotia were brown to dark-brown in color and 1-3 mm in length. When white clover plants were inoculated with mycelial suspension ($10^5$ cfu/ml) of isolate BWC98-105, the plant shoots were killed within 4-6 days and the roots were completely blighted. Sclerotia were als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ot covered with whitish mycelia within 10-15 days in the field. All nine isolates developed high incidences of white root rot disease on white clover seedlings, of which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Hence, their pathogenicity was confirmed on white clover. The infection rate of the fungal isolates varied from 78.5% to 95.2%, among which BWC98-105 was the most virulent isolate. The weeding efficacy of the fungus was maintained until the following year, leading to a significant reduction of reshooting. The fungus was specifically parasitic to white clover, but not to four lawn species including zoysiagrass (Zoysia japonica) under greenhouse test. The fungus also had no response to some Gramineae species including rice, but caused little damage to five species of Leguminosae.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생태학적 연구 IV. 균핵의 접종시기와 발병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V. Inoculation Time of Sclerotium and Disease Development)

  • 김장규;나동수;민홍식;이영희;이은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69-172
    • /
    • 1985
  • Rhizoctomia solani 자연균핵을 6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이천소재 병리시험포장에서 접종하였다. 이병경율, 병반높이, 병반고율은 후기접종구보다 조기접종구에서 높았다. 그러나 성숙기의 피해도 및 수량에 있어서는 접종시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양의 전염원이 존재할 때에는 잎집무늬마름병 초기병반의 출현시기의 조만이 성숙기의 피해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 (Stem Rot of Disporum sessile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심창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0-52
    • /
    • 2007
  • 2004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함양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윤판나물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3{\sim}10{\mu}m$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윤판나물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Fruit Rot of Pumpki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신순선;채윤석;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3-56
    • /
    • 2007
  • 2004년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시험포장내 울타리 부근에 재배중인 호박 과실에서 S. rolfsii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병반부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 mm였다. 이병과실이 지표면과 닿은 부위에도 흰색 균사와 갈색 균핵을 형성하였다 균사의 폭은 $7{\sim}8{\mu}m$이며, 균사생육적온과 균핵 형성은 30$^{\circ}C$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호박 과실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um Rot of Cor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강동완;이흥수;최시림;이상대;조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7-199
    • /
    • 2013
  • 2011년 7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잘 자라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옥수수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