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practice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9초

성형외과의 몸-이미지와 시각화 기술: 과학적 대상 만들기, 과학적 분과 만들기 (Body-Images and Visualization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Making Scientific Objects, Making Scientific Disciplines)

  • 임소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121
    • /
    • 2011
  • 대중 매체와 광고를 통해서 노출되는 아름다운 몸-이미지가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것은 국내외 대부분의 몸관리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바이다. 이 연구 역시 성형수술의 실행에서 몸-이미지가 갖는 "행위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행위성"의 범위를 확장하고 그 작동 기제를 구체화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한편으로는 실제 성형외과의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환자 상담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성형외과 "안"에서 몸-이미지가 어떻게 생산되고 소비되는가를 밝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수술의 실행을 성형외과 의사들의 지식 생산 활동으로 봄으로써 시각화 기술이 환자의 몸의 경계뿐만 아니라 성형외과 분과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에도 동원됨을 보이고자 한다. 성형외과 상담실의 시각화 기술은 환자의 몸을 "과학적" 대상으로 바꾸고 몸-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상담은 의사의 "전문직업적 시각"을 환자에게 훈육하는 과정이 된다. 또한 "수술 전후 사진"을 생산하고 "전문직업적 시각"을 시각화 기술로 실체화하고자 하는 성형외과 의사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노력은 성형외과를 "과학적" 분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새로운 시각화 기술이 성형외과의 시각적 권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만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몸-이미지는 과학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 PDF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 이민주;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1-387
    • /
    • 2016
  • 과학자 바로 곁에서 경험하는 진정한 연구에의 참여는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실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R&E 활동 참여를 통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으며, 어떠한 인식 및 과학적 실행의 변화를 겪게 되는지에 대해 R&E 팀이라고 하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 활동에 참여한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8개월에 걸친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R&E 연구팀이라고 하는 실행 공동체의 초심자로 출발하여 이행기의 참여를 거쳐 점차 완전한 참여자로 이행하는 가운데 과학에 대한, 과학자 및 과학자 공동체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 역량을 증진시키며, 과학자의 그것에 근접한 실행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특히 장기간에 걸친 진정한 연구 참여를 통해 연구 활동의 본성, 과학자 및 과학자 사회의 실질적인 모습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진지한 진로에의 탐색, 역량있는 과학 학생 및 초보적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보였다. R&E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자 참여를 통해 학생의 과학적 실행, 인식 변화 및 정체성 발달의 동적인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연구 중심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에 실질적인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 구슬기;박일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463-480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posing th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hildren's scientific 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ones of each chapter and thus to propose an effective way of presenting scientific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Korean 'Science'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and Macmillan Mcgraw-Hill(MMH) Science for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science writing tasks per pages, and less per chapters than MMH one. Both text books provide balanced amount of science writing tasks, yet MMH especially does systematic exercises for each chapter.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s' scientific writing shows that both textbooks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writing, which reflects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is leaning towards acquiring and verifying scientific concepts. In American textbooks, however, writings utilizing extensive cognition process and materials are also presen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present diverse and expressive writing assignments including personal opinion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tasks.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re present independently with lesson objectives of the chapters and practices, while those in MMH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textbooks' way of presenting writing tas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thus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and by implementing extensive cognitive process in the writing activities, textbook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in improv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한국에서 농산물중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설정절차 (Procedures in Establishing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on Food Crops in Korea)

  • 이미경;홍무기;박건상;최동미;임무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85-694
    • /
    • 2005
  • Korean practices in tolerance setting of pesticide residues on food crops were compiled with an effort to harmoniz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scientific data including historical background, limit setting protocols, adoption of ADI values, food factors, nation's body weights, and regulatory margins which are required for the setting of maximum residue limits, necessary measures to be taken by Korean regulatory authorities were proposed.

한국부인의 산욕기 실태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Realities of Puerperal Period of Korean Women)

  • 이정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2권34호
    • /
    • pp.711-735
    • /
    • 1974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realities of puerperal period of Korean women, chiefly in the city of Seoul, on the basis of their living standard, schooling caree by age group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health of mother and child. In this paper in which the writer, aming 492 women in Seoul a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and giving them 34 items of questionnaires, has studied their concern and practices to recover their health during a lying-in period, and drawn a conclusion as follows : Though their place of childbirth and food they take during the period are varied according to their standard of living, their practices and managements after parturition are true to the conventional usage which is far from modern scientific methods. Problems for the better management during puerperal period are : 1. to have expactent and nursing mothers better educated in their antenatal care ; 2. to let the family planners have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problems of puerperal period ; 3. to make those who are concerned study on the problems interdependent between puerperal period and pregnancy and child birth.

  • PDF

Learning Science in Communicating Science and Technology In-the-making: A Case Study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ia' Award Program

  • Hwang, Sung-Won;Hwang, Book-Kee;Choi, Jung-Ho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6-133
    • /
    • 2007
  •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ia' award program is an annual nationwide award activity organized to provide teenagers with opportunities for engaging in a high-technology-based long-term project work. The task involves designing a model ship propelled by the Lorentz force (a Lorentz ship) that allows diverse approaches irreducible to one right answer, and thus adopts fea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he-making, In this study, we attend to opportunities for learning science that the uncertain aspects of artifact-designing project provide with participants, particularly when students communicate with scientists about their design practices. We analyze oral presentation sessions of the program and articulate two findings. First, students articulate embodied knowing in the presence of scientists. Second, students enact discursive resources deployed in concrete action. We conclude that students' design practices constitute referent that communication is directed toward and therefore become resources for developing scientific discourse.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과학 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실천의 의미를 시험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부 주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Science-A Process Approach (SAPA)로 대표되는 기능 중심의 접근에서는 과학 탐구 기능들을 위계적으로 연계하여 제시하고, 이들은 전이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으며, 발견을 통한 과학 학습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기능의 사용에 이론이 적재되어 있다는 현대 과학 철학의 관점과 상충되었으며, 탐구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이 내용-특이적 또는 맥락-의존적이라는 사실과 추상적인 과학 이론이나 원리는 귀납적으로 발견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 왔다. 이와는 달리 과학적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입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을 총체적인 행위로 이해하고, 그것이 전개되는 양상은 내용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과학 수업에서도 학생의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 탐구에 관한 일관된 관점을 정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모델링 PCK를 중심으로-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tific Modeling Classes: Focused on Model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 엄장희;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43-563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모델 구성 수업을 적용하는 동안, 두 교사의 수업 실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탐색하고, 이러한 변화를 교사의 모델링 PCK 발달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학생들과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 2명이었고, 과학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4가지 주제로 총 8차시 동안 모델링 수업을 도입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수업 중 교사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수업 초반(1-2차시)과 수업 후반(7-8차시)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및 이와 연관된 모델링 PCK를 분석하였다. 수업 실행 변화는 GEM cycle의 모델 생성, 평가, 수정 단계에서 각 단계에 할애한 시간과, 피드백의 양 및 피드백의 내용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A교사는 수업 전반에 걸쳐 교사 주도적으로 평가와 수정 단계를 이끌었으며, 수업 초반에 비해 후반에 모델 평가 및 수정 단계에 사용한 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피드백 측면에서 수업 초반에는 정답 평가 피드백을 사용하였으나, 수업 후반에는 사고 유도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으로 피드백의 내용이 변화하였다. 한편, B교사는 수업 초반에는 거의 교사 주도적으로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였으나, 수업 후반에는 메타 인지적 피드백 등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을 통해 학생 주도적으로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모델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왔다. 인터뷰 결과,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는 여러 가지 모델링 PCK 구성요소의 발달이 바탕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 원인을 모델링 PCK에서 탐색한 결과, 두 교사는 모델링 PCK 중에서 교수 지향, 모델링 단계에 대한 이해, 모델링의 가치 인식 정도에서 차이를 보여, 모델링 수업 실행에서 이것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모델링 수업 실행 변화의 사례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모델링 PCK를 밝힘으로써 모델링 수업 개선 방법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nd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Promoting Inquiry Competence)

  • 조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73
    • /
    • 1992
  • In response to epoch-making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novative curricular materials have been begun to develop since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However, the new inquiry-centered materials have failed to be successfully used in teaching/learning practices of science. Among the various reasons for the failure, the very nature of the inquiry approach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problem. Nevertheless, fostering inquiry facultie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practical inquiry-oriented instructional method. In order to obtain this goal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analyzed and the status quo of science education in which inquiry-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applied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is paper.

  • PDF

A Review of Scientific Evidence on Indoor Air of School Building: Pollutants, Sources, Health Effects and Management

  • Chithra, V.S;Shiva, Nagendra S.M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2권2호
    • /
    • pp.87-108
    • /
    • 2018
  • Schools are one of the critical social infrastructures in a society, the first place for social activity and the most important indoor environment for children besides the home. Poor IAQ in classrooms can increase the chance of long-term and short-term health problems for students and staffs; affects productivity of teachers; and degrade th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and comfort level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summarize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on indoor air quality of schools and related health effects in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indoor air pollutant levels in school buildings varied over a wide rang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depending on site characteristics, climatic conditions, outdoor pollution levels, occupant activities, ventilation type and building practices. Among the indoor air pollutant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very high in many schools. Outdoor pollutant sources also play a major role in affecting the IAQ of the school building. Hence, scientific knowledge on sources of indoor pollutants, quantification of emissions, temporal and spatial dispersion of pollutants, toxicological properties, 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and associated health risk among children in the school buildings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adequacy and cost effectiveness of control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IAQ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