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and intuitive approach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Post-modernism 의 발생과 실내디자인의 수용에 관한 연구-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실내 건축양식의 정량적 분석 및 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igination of Post-Modernism and Its Acceptance on Interior Design -Concentrat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odern and Neo-Modern Interior Architectural Style-)

  • 이춘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8호
    • /
    • pp.32-38
    • /
    • 1996
  •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apply contemporary aesthetics and psychological study with interior design analysis. Up to now, the methodology of interior design analysis has been developed toward a more qualitative way. By the virtue of the perception , congnition , and information theory, which oriented toward a quantitative approach, it became possible to investigate interior space analysis to a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dern and Post-Modern interior - architectural style with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The subjective interior critique studied by intuitive research will be transferred to scientific way by using quantitative formula . Savoye Villa and Guardiola House were selected as study model, because each architectural works ware regarded as masterpieces of Modern and Post-Modern style. These two oppositional style model will be distinguished with mathematical quantity by calculating Iave , Hmax, and Redundancy formula.

  • PDF

"빨래엔 피죤하세요!" 도전과 원칙, 그리고 집중의 성공신화 (Pigeon: The Success Story of Challenge, Principle, and Focus)

  • 류강석;유필화;이학식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3호
    • /
    • pp.99-121
    • /
    • 2004
  • 본 사례에서는 섬유유연제 시장의 장수·파워 브랜드인 피죤이 지난 25년간 수행해 온 마케팅 및 브랜드관리 활동들을 Keller가 제시한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 프레임워크(customer-based brand equity framework)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피죤은 브랜드 체계(브랜드 비젼 - 브랜드 미션 - 브랜드 아이덴터티)의 구축과 브랜드 요소(브랜드 이름과 로고)의 선정, 이를 전달하고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활동을 일관적이고 보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피죤은 끊임없는 연구개발 노력과 세밀한 고객욕구분석의 결합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최고의 품질과 탁월한 가치를 지닌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셋째, 피죤은 전략수립과 실행에 있어서 조사와 분석에 기반을 둔 과학적인 접근법과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하는 예술적인 접근법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왔다. 넷째, 최고경영자의 파워리더십과 인재에 대한 교육과 투자 역시 피죤의 성공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구조화된 저널리즘 서비스를 위한 과학 칼럼 정보 지식화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a Knowledge Framework for Structured Journalism Service based on Scientific Column Database)

  • 최성필;김혜선;김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41-3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과학 저널리즘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KISTI의 과학향기 칼럼에 대한 반자동 지식화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인포그래픽 기반의 서비스 체제를 제안한다. 전문가나 특정 분야 과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정보와는 달리 과학향기 콘텐트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알기 쉬운 과학 상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과학향기 데이터베이스를 지식화하기 위한 방법론 즉, 지식 유형, 지식 추출 방법 및 절차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과학향기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인포그래픽 서비스 체제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도, 방법론 및 특징 등을 기술한다. 이를 통해서 미래의 과학 저널리즘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발전적 방향을 제안한다.

해양공간 특성에 기반한 해양GIS 접근 방안 연구 (A New Approach to Marine GIS based on Uniqueness of Marine Spatial Data)

  • 박종민;서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83-186
    • /
    • 2001
  •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20세기후반에는 기존의 육상시설물관리, 통신, 교통 등의 인프라관리 등의 고전적인 분야 외에도 지하매설물, 상권분석, 환경평가, 의사결정지원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여건의 변화와 함께 1990년대 중반부터 추진한 국가지리정보체계구축사업이 2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해양분야 지리정보구축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해양분야는 기존의 육상공간과는 달리 해양의 매질적 특성과 시간 및 영역의 연속적 특징에 기인한 독특한 데이터 모델링 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국가차원의 해양정책이 본질적으로 가지는 항만, 환경, 안전, 외교 등의 다양한 분야가 통합적으로 내재되어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지리정보정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양지리정보의 독특성을 분석하여 해양분야의 GIS 접근을 위한 고려사항과 해결방안 등을 모색하여 해양본질에 적합한 GIS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f University Cafeteria Safety Based on Pathfinder Simulation

  • Zechen Zhang;Jaewook Lee;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209-217
    • /
    • 2024
  • Recent years have seen a notable increase in fire incidents in university cafeterias, yet the social attention to these occurrences remains limited. Despite quick responses to these incidents preventing loss of life, the need for large-scale evacuation in such high foot traffic areas can cause significant disruptions, economic losses, and panic among students. The potential for stampedes and unpredictable damage during inadequate evacuation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and evacuation research in these settings.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evacuation models in various university environments, emphasi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on evacuation efficiency.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focusing on university cafeterias is scarce. This paper addresses this gap by employing Pathfinder software to analyze fire spread and evacuation safety in a university cafeteria. Pathfinder, an advanced emergency evacuation assessment system, offers realistic 3D simulations, crucial for intuitive and scientific evacuation analysis. The studied cafeteria, encompassing three floors and various functional areas, often exceeds a capacity of 1500 people, primarily students, during peak times. The study includes constructing a model of the cafeteria in Pathfinder and analyzing evacuation scenarios under different fire outbreak conditions on each floor. The paper sets standard safe evacuation criteria (ASET > RSET) and formulates three distinct evacuation scenarios, considering different fire outbreak locations and initial evacuation times on each floor.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e impact of the fire's location and the evacuation preparation time on the overall evacuation process, highlighting that fires on higher floors or longer evacuation preparation times tend to reduce overall evacuation time.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and efficiency in educational settings. Recommendations include expanding staircase widths, optimizing evacuation routes, conducting regular drills, strengthening command during evacuations, and upgrading emergency facilitie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managing emergencies is also suggested. These measures collectively form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nsuring safe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fire emergencies.

기능성 Bio-Gam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ffective Use of A Serious Bio-Game)

  • 박성준;이준;김지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3-103
    • /
    • 2009
  • 기능성 게임은 게임기술과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즐거움 외에 교육 및 특정 분야의 문제해결 등의 다른 목적을 가지는 게임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 게임은 게임적인 재미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 때문에 과학기술 분야 및 산업 기술 분야의 교육 및 훈련에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관적인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생명공학에 적용한 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3차원 분자 구조를 특수 모니터를 사용하여 입체 시각화 하였으며 입체 영상화된 분자 구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인 WiiRemote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분자도킹 시뮬레이션이 가지던 문제점인 3차원 분자 모델들의 결합 및 조작이 사용자의 직관과 경험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점을 게임적 요소를 적용하여 재미를 느끼게 하면서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을 하는 객체와 사용자의 수에 따른 게임적 요소인 레벨 업 개념을 적용하여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실험은 AIDS 바이러스와 신약 치료 후보 물질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바이러스와 후보 물질이 결합되는 위치인 Active Site를 찾는 도킹 실험을 하였으며 바이오 기능성 게임을 적용하지 않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를 하였다.

  • PDF

A Bio-Edutainment System to Virus-Vaccine Discovery based on Collaborative Molecular in Real-Time with VR

  • Park, S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09-117
    • /
    • 2020
  •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학습자가 문제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파악 분류하고, 배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듀테인먼트를 활용한 콘텐츠는 과학 및 산업 분야의 교육 및 훈련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관적인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신약개발에서 활용되고 있는 가상스크리닝에 적용될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 구조의 3D 모델을 효과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입체 모니터를 활용하여 3차원(3D)거대 분자 모델링을 시각화 하였으며,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분자 모델을 조작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신약 개발 혹은 백신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인 가상 약물 선별 방법 중 하나 인 도킹 시뮬레이션 실험을 게임적 요소를 활용하여 쉽게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레벨 업 개념은 게임 요소가 객체와 사용자의 수에 의해 의존되는 바이오 게임 접근법을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제안된 시스템의 신약 개발 과정에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IV)의 새로운 후보물질을 활용하여 바이러스의 활동 억제를 스크리닝하는 도킹 과정에서의 시간 측정으로 성능 비교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