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xtbook of United States and Kore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일리노이주와 한국의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내용 비교 분석 - 3~6학년 환경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between Korea and Illinois State in USA - Focus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f 3rd~6th Grades -)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53-463
    • /
    • 2014
  •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find how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McGraw-Hill science textbooks for third to sixth grade and science textbooks of Korea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ategories were educational goals, kinds of contents, distributions of contents and ten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in science textbook of Korea and United States were biased to knowledge area.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United States was higher 2.5 times then Korea and distributed in all areas. In quantitative distributions in Korea were biased some special areas. Tense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almost present.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tudents varies grad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useful "evenly distributed" for all areas and school year.

물질의 입자적 관점 도입에 대한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ational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 on Introduction of Particulate Concept)

  • 심병주;윤희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147-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ingapore to know how the contents on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is introduced and expressed. In Korea,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was adopted as a term for 'molecules' in the 3rd through 6th curriculum, and the term for 'particles' was adop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NGSS adopted the term 'particle' in fifth grade. Japan presented the concept of 'particle' as a core concept of matter in the commentary, and the expressions 'particles' were being introduced in the textbooks. But it did not cover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Singapore. An analysis of elementary textbook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except Singapore showed particulate expressions in 'dissolution', 'state change of water', 'gas pressure and volume',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units. Korean textbook was only being introduced in 'dissolution' and 'gas pressure and volume', but in the textbook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ater was expressed as particles in 'state change of water' unit. Discussion and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particulate concept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김효남;박도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258-270
    • /
    • 2009
  • 과학교과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교수 학습 자료이다. 과학교육목표와 과학교과내용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1학년과 4학년 과학 교과서 각각 100 쪽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과학교육목표를 분석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명 영역의 과학 내용이 분석되었다. 한국의 1학년 과학내용은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과학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과이다. 미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 중 하나인 Harcourt Science의 1학년과 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육목표분석체계는 과학 지식,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태도, STS, 그리고 과학 철학과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과학적 탐구 보다 과학 지식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의 과학 교과서는 과학 지식 보다는 과학적 탐구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생명 영역의 일부 주제에 대하여 한국 보다 더 어려운 내용을 다루었고, 세포나 생태계의 종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자연과 교수 자료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aterial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5-40
    • /
    • 1996
  • Teaching materials are an important aspect to decide the quality of education. Science teaching materials include textbook, workbook, worksheet, OHP materials, posters, computer softwares, experimental equipments, slides, video tapes, and other audio-vidual materials. This comparing research is based on the contemporary teaching materials used in elementary school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1990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The United States has mor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aterials such as posters, worksheets, computer softwares, OHP materials than Korea. Both countries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ctivity books, video tapes, science read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equipments. 2. The frequancy of using these science teaching materials in Korea is bigger than that in the United States.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es, most of instructions are progressed by experimental activities.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re mostly consisted of science activities, but those of the United States includes science information, science related jobs, STS articles and some portion of science activities. 3. Experimental equipments of the United States are stronger than those of Korea. Various and excellent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aterials such as computer softwares, posters, audio-vidual materials, and experimental equipment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bette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PDF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USA and Korea for l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 한영욱;김대홍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cont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Science Horizons) and Korea for t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The analyzed contents are the name of chapters, the number of chapters, the page amounts of chapters, the structure of chapters and the studying time of chap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Korean science textbook's number is 20. 'Science Horizons' has 6.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chapter is 58, 'Science Horizons' is 75.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page is 1,60.3, 'Science Horizons' is 2,106. So 'Science Horizons' has more number of chapter and page than Korean textbooks. 2. The ratio of Korean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 22.4%; chemistry area, 12 1%: biology area, 39.6%; earth science area, 25.9%. But the ratio of 'Science Horizons'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21.3%; chemistry area,4.0%; biology area, 46.7%; earth science area. 28.0%. 3. In case of 'Predicting the Weather' chapter, Korean science textbook has 3 lessons, 17 themes and 11 activities, whereas' Science Horizons' has 5 lessons, 10 themes and 5 activities. 4. The themes or chapters of 'Science Horizons' to propose deeper than Korea are about animals and plants, energy and movement, weather and season. our body, and earth and outer space. In case of Korean textbook are about chemistry area, the rock and volcanic activity and electric circui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contents. And the returnee students has many troubles to adapt korean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know and understand that, and help them.

  • PDF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1-292
    • /
    • 2011
  • 정보활용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이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11년에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로 발행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과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새로운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정보활용교육 방법과 교수매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고,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와 인정심사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약 6년의 기간을 거처 개발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 교육과정, 내용체제, 적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Developing an Innovativ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 임채성;윤혜경;장명덕;임희준;신동훈;김미정;박헌우;이인선;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80-595
    • /
    • 2007
  • To respond to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ed version of science curriculum early this year, it has been necessary to develop new science textbooks which can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system of new textbooks needs to embrace the concern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scient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demand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velop an innovative framework of science textbooks,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analysis in Korea and analyzed science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We analyzed various way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conceptual knowledge, lead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rocess, enhancing scientific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in those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structures of textbooks, we focused on ways of increasing educational effects of visualized texts, leaners' interest, user-friendly procedure, scientific inquiry, effectiveness of hands-on activities, scientific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usage of workbook. Based on those aspects and analyses of textbooks, we attempted to propose a feasibl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 which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educational changes and demands in the local and global society.

  • PDF

한국, 미국,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Comparision of Verbs Used in the Learning Objectives in Physics Textbooks of Singapore, USA, & Korea)

  • 태진순;윤은정;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5-382
    • /
    • 2015
  •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구체적 산물이며, 교수-학습-평가의 가장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의도에 맞게 잘 만들어진 교과서가 필요하다. 특히 교과서에 기술된 학습목표는 학습자에게 학습의 대상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므로 명확하게 진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물리I, 물리II 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을 정리하고, 미국과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물리 교과서 2종에 기술된 학습목표의 특징을 정리해 본 결과 서술어에 사용된 동사의 종류가 22종, 14종으로, 미국과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65종, 26종에 비해 적었으며, 주로 '이해하다', '알다'와 같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뜻을 가진 동사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미국 물리 교과서의 경우 65종이나 되는 다양한 동사를 서술어에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10% 이상 사용된 것이 없고 소수로 사용된 동사가 대부분이라는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학습목표를 영역별로 분류했을 때 우리나라의 경우 2종의 교과서에서 인지적 영역에 해당되는 학습목표가 98~99%를 차지하고 있으며, 탐구과정 영역에 해당되는 학습목표는 1~2%에 불과했다. 이는 학습목표의 진술 형태가 구체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의 탐구활동이나 읽기자료 등의 내용이 학습목표에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목표의 대부분이 인지적 영역에 해당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물리 교과서의 경우 탐구 영역이 타 교과서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 영역의 학습목표 서술어 진술에 사용된 동사의 종류도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의 경우 학습목표가 인지적 영역에 치우쳐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와 비슷하나 학습목표의 서술어가 행동동사를 사용해 구체적인 형태로 진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났다.

국내외 교과서에 수록된 극지 관련 내용 분석 (Analysis of Polar Region-Related Topics in Domestic and Foreign Textbooks)

  • 정수임;최하늘;최영진;강현지;전주영;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1-220
    • /
    • 2021
  • 이 연구는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극지 과학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널리 확산하고, 극지 소양의 개념과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학교 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서에서 극지 내용을 다룬 현황을 분석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극지 진출이 활발한 5개국-미국, 프랑스, 일본, 독일, 영국의 과학과와 사회(지리)과 교과서 110권으로부터 추출한 402건의 사례를 함께 분석했고, 내용적, 형식적, 수업 단계적 측면에서 양적·질적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과학 교육으로서 극지 연구의 가치와 더불어 지구 환경 변화의 지표로서 극지 연구의 인식 확산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교과서는 극지 빙하, 극지 화산론, 고체지구물리학, 극지 기반 시설, 그리고 지질 유산의 보전과 지질 자원 등 주요한 극지 주제와 소재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극지는 지구의 과거와 현재, 미래 환경에 중요한 단서를 지닌 연구 분야이며 좋은 지질학 교육 소재임을 알 수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강조할 교육학적 접근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시사점으로 극지 과학 연구자와 교육자의 협력 체계 구축, 극지 소양을 위한 핵심 개념 추출과 그에 따른 내용 재구성, 교과와 연관된 새로운 극지 소재 발굴, 교과서 제시 형식의 다양화와 시각 자료 수준의 심화, 올바른 인지적 이해에 기반한 정의적 심상 고취 등을 제시했다. 교과서 속 극지 내용의 정비를 통해, 학생들의 극지 소양과 극지 과학 문화가 확산되고, 장차 지속 가능한 극지 연구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