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예비 화학교사들의 실천적 지식(PPK) 함양을 위한 사례연구 -실행공동체(CoP) 활동의 반성적 논의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for Developing 'Personal Practical Knowledge(PPK)'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Based on the Reflective Discussion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ctivity)

  • 김유정;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47-3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 화학교사가 사범대학의 삶과 교육을 통해 발달시켜가는 교사 전문성을 실천적 지식(PPK)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비 화학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5명의 예비 화학교사가 실행 공동체(CoP) 활동을 통하여 사범대학 삶과 교육에 대한 반성적 논의에 참여하였으며, 논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5가지 영역 중 교과내용 지식은 방대한 화학 지식으로 편극화된 경향이 있고, 교육과정 지식은 교육과정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선택 분석 응용하는 수준으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학습 지식에서는 특히 탐구실험 지도력이 부족하며, 교수 학습환경 지식은 사범대학-지역사회 간 연계부족, 교육 관련자들과의 소통의장 부족으로 인해 발달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비 화학교사들은 교직에 목적을 두지 않는 주변인들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고, 교사로서의 신념을 충분히 숙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학과 내 부족하여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충분히 함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예비교사 현직교사 교수자 지역사회 담당자 교육행정가 교육 연구자 등이 함께 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교과내용 지식의 깊이와 방향성에 대한 제고,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구성해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 탐구실험 지도력 향상을 위한 교과내용실험 과목의 개선, 교육봉사 활동의 개선이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과학 교수를 위한 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 지식 영역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in Teaching Scienc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Domains)

  • 서예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30-45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과학교과 중 '동물' 단원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어떻게 교수에 필요한 지식 영역을 활용하여 교과교육학 지식을 발달시키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1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뉴욕 시에 위치한 빈곤한 도심지역내 공립학교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인터뷰와 참여 관찰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 교과교육학 지식의 구성 요소인 교과 지식, 교육학 지식, 상황적 지식의 영역에서 나타난 교사의 지식기반은 무엇인가?; 2)각 지식영역들 간의 관계를 통해 교사는 실제 수업동안 어떻게 교과교육학 지식을 발달시켰는가? 의 두 가지 연구 문제가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수업 과정동안 교사의 세 지식 영역이 어떻게 긴밀하게 관련되었으며 교과교육학 지식으로 발달되었는지가 드러났다. 특히, 교사의 상황적 지식이 교과교육학 지식을 형성하고 발달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단원을 가르치기에 앞서, 해당 교육구의 행정 정책과 학교평가체제에 관한 상황적 지식은 교사가 과학단원을 가르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결정 하는 것을 촉진했다. 실제 수업기간 동안에는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도심 환경 내 생활여건과 같은 상황적 지식이 교사가 학생들의 특정한 요구와 관심에 상응하는 적절한 교수 전략과 자료를 탐색, 이용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가 자신이 처한 교수상황에 대해 알기 위해 노력하고 그로 인해 얻어진 지식을 교과교육학 지식을 발달시키기 위해 활용함으로써 '과학'을 특정한 학습 요구에 맞추어 보다 의미 있고 적절하게 가르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구현된 두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Realized in Two Science Teachers' Classes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 김소정;맹승호;차현정;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07-825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목적으로 설계된 수업을 실행한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서 형성되었던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Elbaz가 제시한 실천적 지식의 5가지 내용 범주를 준거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 관찰 및 수업 촬영 비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행위 동안의 반성 과정 및 수업 후 면담에 반영된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통한 행위에 대한 반성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두 과학 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학생들이 과학적인 모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계를 제공할 때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교육 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어려운 과학 개념의 이해와 전달에서 주어진 학습 목표에 적절한 모델 형성으로 수업의 목표를 변화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참여 교사의 교수법 지식의 실행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의 의도에 맞추어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모델 생성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4) 교사의 자아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해 과학적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으려면,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그리고 격려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고 변화된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5) 두 참여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각 모둠과 교사가 형성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통해 발현되었으며, 두 교사는 함께 뛰는 운동 선수 또는 그라운드 옆의 코치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모델 구성에 대한 영역 특이적 실천적 지식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자연과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의 빈도와 맥락 특징 (Frequency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teachers용 questions about the content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s and teachers용 guide books)

  • 이명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03-117
    • /
    • 1999
  • The importa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has been recognized in learning science teaching. PCK is based partly on the essence of subject matter knowledges. Therefore, the effective teaching of science content knowledges is fundamental in preservice education of student teachers. But, particularly the science curriculum of primary teachers' colleges is composed of less lessons than needed.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content and context of earth science which were contained in questions by student teachers These questions which were written by the students about the earth science content in elementary science texts and teachers' guide boo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equency and context concentration of questions about the themes of contents were obtained. In each unit of the text books, scatter diagrams of question frequency and context concentration of themes showed various featur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units which contents ate composed of themes expected to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the question frequency and context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But, other units, which everyday life experiences are not expected to influence, did not show distinct correlation.

  • PDF

도서관 및 정보전문직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Trend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nals-Based On Analysis of Curricular of Library Science)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43-75
    • /
    • 1984
  • Information science is the study how in formation is transferred and all the intermediate steps of collecting, organizing, interpreting, storing, retrieving, disseminating and trans foming information. Professional education means the transfer of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and the infusion of professional attitudes. Training may be defined as practice-based instruction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rofessional skills. Each is affected by the confluence of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realities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learning takes place. We have witnessed controversy about methods of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Shoul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be added to the traditional library science curriculum or should the new approaches be integrated within the subject matter of each individual course? The article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s at a turning point. To provide this information, 25 curricula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analysed to assist in the study. Also 32 information professionals were asked to assist in the study. In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curricula bas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 als were examined. The most frequently offered compulsory course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exposes students to a new way of looking at library and information problems. Information retrieval, library automation, computer programming, data processing, indexing and abstraction, communication, system analysis has offered. These indicate a curriculum slowly shift from traditional librarianship to an emphasis on computerization and automation. Also from a questionnaire listing 58 events might influ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PDF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및 연계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 이재원;류고운;강석진;노태희;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5-51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가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 사이 연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8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3주간의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 후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발성 사고법을 사용하였고, 활동을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 내용에 관한 지식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이 주로 나타났다.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하위 요소 중 과학 과정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드물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연계는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와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학생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과 내용에 관한 지식이 다른 PCK 구성 요소와 연계되는 경우는 적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환경교육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 방향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 박태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direction lot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he cours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the course of teaching profession into the course of special study, Second, the combination of the course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science is needed, Third, the curriculum should sufficiently include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courses of environmental science which can help the pre-service teacher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s and concepts of ecology, This curriculum should also include the courses which can improve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teach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ffirmative environmental value and attitude, Fifth,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courses which are useful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teaching method such as case study and simulation fo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knowledge and of cognitive domain about environmental issues. Sixth, the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 for teacher certificate which was renewed in Jan. of 2000.

  • PDF

"에너지.환경 탐구대회" 초등팀 탐구 활동 소개 및 보고서에 진술된 환경 가치 분석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Values Written in Energy.Environment Inquiry Activity Contest Reports of Elementary School Teams)

  • 구수정;김영신;정완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75-8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and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ten in their reports of the Energy Environment Inquiry Activity Contest which is a unit contest of the Youth Science Festival held annually in Korea and get some ideas for the valuable wa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10 teams' reports were gathered and the locality, class study area, inquiry theme, inquiry method and values were analyzed and introduced as case studies to get some insights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values through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subject approach. Each teams set various inquiry themes in the content domain of energy resources and earth environment conservation focusing on each team'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local areas. There were 16 sentences representing technocentrism and 12 sentences representing ecocentrism. 5 of 10 teams showed both of technocentrism and ecocentrism in their reports. But their was only scientific knowledge without any environmental values in one team's report. Inquiry activity is a good teaching-learning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 literacy. There should be environmental values involved as far as it is the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subject matt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hat environmental educators should actively intervene for inquirers to set a stage in the whole process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volved in their project activities. The reason is becau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established to operate by the infusion way into various subjects already existed in the Korean curriculum.

  • PDF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PCK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actice Teaching Utilizing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정유정;이경희;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520-53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과 그것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1명의 실습 지도교사와 2명의 예비교사의 CoRe 논의과정, 예비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관찰,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CoRe를 바탕으로 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며, 새로운 전략을 구성해나갔다. 지도교사는 자신의 구성주의적 교수 지향을 기반으로 자신의 교수 경험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CoRe는 예비교사들에게 지도교사의 지도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역할, 논의과정에서 그들의 대화를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여 교육실습에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와주는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CoRe 작성과정을 통해 수업 준비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받았고, 수업계획 단계에서 지도교사와 함께 CoRe를 개발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지식,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PCK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PCK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수활동, 과학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들의 병원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Factors Analysis Related to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Satisfaction on Hospital Practice)

  • 박은영;장영진;홍종필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25-83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tal train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icient hospital practice of students'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 Methods .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hands on practice against 200 students in Busan, Kyeongnam and Kyungbook area, who have completed their practice i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We have identifi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spondents, the current training status of the department for the hospital practice and training venue;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composed of the apprentice student's attitude before the practic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training program and hospital for practice, as well as their practice at hospita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spondents and clinic practice status at the hospital were measured in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of hospital size were also measu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ttitude towards the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the hospital were analyzed. Results . Most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experienced their practice at the hospital after the first semester on the $2^{nd}$year and they have received the foundation training for the practice. The survey allowed multiple respon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dical terminology 49.5%, medical coordinator 36.7%, Hospital administration 26.5%, Health insurance 17.3%, and medical recording and practice 13.8% respectively. In terms of each individual student's attitude towards the practice at the hospital, the respondents answered as follows: I have completed the obligatory subjects for the practice before the practice 89.5%; I have been fully informed on the hospital for my practice. 74.5%; I responsibly practiced and worked with professionalism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hospital as a member of staff 90%; I have actively learned and adopted 95%; My knowledge and skills from the practice was relevant to the theory and practice from my course 83.5%. The findings of satisfaction by size of hospital were in order of a small clinic($3.24{\pm}0.63$), medium sized clinic($3.27{\pm}0.65$), hospital ($3.20{\pm}0.61$), and large sized comprehensive hospital ($2.93{\pm}0.74$). Consequently the satisfaction rat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ize of hospital. In relations between practice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subject, the matter of acquiring information and fully understanding of the hospital for practice before practice(p=0.04), the matter of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at hospital during practice(p=0.33). the matter of active adaptation attitude during practice (p=0.42), and the matter of correlations with school curriculum during practice(p=0.00)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relations between practice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the hospital for practice, the matter of acquiring information and fully understanding of the hospital for practice before practice(p=0.01), the matter of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at hospital during practice(p=0.04), and the matter of correlations with school curriculum during practice(p=0.00) showed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 The most essential subject for the practice i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is medical terminology and there is no significance in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by size of hospital. Students were content with the hospital where they can experience as much as possible. Students content with their major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practice and so do those content with the hospital. Those with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practice show the high correlation of satisfaction with both the major and hospital.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is the significant attribute to the practice in the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