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experiment instruc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3초

Developing Student-Teacher Interaction Through Task-Based Instruction

  • Alsamadani, Hashem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47-52
    • /
    • 2022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teacher interaction can be developed through task-based teach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Saudi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on 85 male undergraduate students at a Saudi public university based in Jeddah, Saudi Arabia.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types of student-teacher interaction through task-based teaching (speak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43 students) evinced much more enthusiasm, willingness, engagement and readiness in their inclass participation than their peers in the control group (42 students).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 also helped students to be more responsive to general and specific topics in speaking activities. The study recommends that decision-makers in education make student-teacher interaction part of the student's monthly assessment. It also recommends that more efforts be made to foster the awarenes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the academic and non-academic importance of interaction. One final recommendation of the research is that student-teach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integ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and adopted as a critical teaching strategy.

해륙풍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 및 추리과정 조사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and Inferring Process about a Land and Sea Breeze)

  • 현동걸;강원미;임성만;채동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60-16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해륙풍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J시 소재 초등학생 159명을 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 중 해륙풍과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학생은 총 159명 중 45명(29.3%)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결과를 가지고 그대로 해륙풍의 방향을 설명하였다. 즉 학생들은 실험결과를 가지고 해륙풍을 추리하지 않고 있었다. 학생들은 추론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험결과를 그대로 해륙풍의 방향으로 결론지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륙풍에 관한 바른 이해를 위해 새로운 실험 기구의 개발과 실험과 관련된 학습 과정에서 추리 과정을 강조하여 가르쳐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촉각적 심상화를 위한 다중감각 단서가 지각된 소유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Modal Cue for Haptic Imagery on Perceived Ownership)

  • 김민선;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49-60
    • /
    • 2017
  •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실물을 만지는 것만으로도 그 대상에 대해 심리적 소유감이 형성되고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게 되는 소유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단순히 만지는 상상을 하는 경우에도 실물을 만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기존의 촉각적 심상화 연구에서는 실물을 만지는 상상을 하라는 직접적인 지시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의 효과를 밝혔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물을 만지는 상상을 하라는 직접적인 지시보다 촉각적 상상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색해보았다. 상상유도 조건을 상품에 대한 시각적, 촉각적 단서가 일치하는 다중감각 단서 일치 조건, 불일치하는 다중감각 단서 불일치 조건, 상상하라는 직접적 지시 조건, 통제조건으로 조작하여 촉각적 상상의 생생함, 물리적 통제감, 지각된 소유감,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시각적 단서와 촉각적 단서가 일치하도록 제공한 다중감각 단서는 촉각적 상상을 직접적으로 지시하였을 때보다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적, 촉각적 단서가 불일치한 경우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촉각적 심상화 연구에서 한걸음 나아간 시도이며 온라인 쇼핑과 같이 실물을 보거나 만질 수 없는 환경에서의 상품 제시 방법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의 약물남용예방을 위한 웹 활용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WEB Instruction Programs for Drug Abuse Prevention in Korean Adolescents)

  • 민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55-106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theory, a Coursewar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web-based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WBI) program for preventing drug abuse, a serious problem for youth problem. During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done "Drug Abuse Prevention" Courseware was developed based on, Gagn & Brigg's instructional design theory, Keller's ARCS theory and the CAI model of Hannafin & Peck. For the second stage, the courseware was used to provide education for students adolescents in drug abuse prevention. This study used an quasi-experimental,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6 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 on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a learning achievement tool, the Keller's IMMS (Instructional Material Motivation Survey), on attitudes to drug use, and on responses to the WBI instruction. Prior to the experiment, the "drug abuse prevention" learning method and the procedure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to the students, and the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as a pretest. The students were then given 2 weeks WBI utilizing the courseware. A post-test which included the pre-test learning achievement questionnaire and a survey of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drug were given two weeks after the education was complet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PC.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t=-18.62, p=0.000). The hypothesis, that learning achievement will be higher, after the class has used the courseware, than before was supported. The scores for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drugs were also higher than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BI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the prevention of drug abuse for adolescents as it can be used for self-learning and repeated learning as assisted instruction. Recommendation would be given that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evelped in the courseware by cognitive learning style and by multimedia courseware and virtual reality system.

  • PDF

화학 교사에게 필요한 실험 능력 (Identification of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y to Carry-out Experimentation)

  • 박현주;정대홍;노석구;임희준;한재영;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65-773
    • /
    • 2009
  • 이 연구는 중등 화학 교사 전문성 및 지향점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실험 수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에 대한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 교과서 실험 분석, 과학 교사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한 연구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 규명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크게 네 개의 단계(실험 수업 준비, 실험 수행 및 정리, 실험실 관리, 실험실 안전 관리)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험 능력에 관련된 소영역과 세부 내용 요소를 선별 ․ 수정하여 재배치하였다. 실험실 안전 관리는 실험실 및 실험 활동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화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험 능력은 실험 수업 지도를 전제로 하여 교사 스스로 실험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으로, 시약 및 측정기기 사용, 시료 준비, 실험 설계, 바른 실험 습관 및 숙련도, 자료 정리, 분석 및 추론, 그리고 실험실 관리 및 실험실 안전 관리에 관련된 능력으로 특정지어 질 수 있다.

초인지 수업 모형이 자기장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Metacognitive Instruction Models on the Acquisition of Magnetic Field Concepts)

  • 이희정;강대훈;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49-155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impact of metacognitive lesson models on the formation of magnetic field concep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eighty students from two sixth grade classes. One class of forty of these students wa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metacognitive strategic lesson model was applied, and the other class of forty students was the control group which the traditional lessons were conducted.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previously did not show difference in terms of achievement of conceptualizing magnetic field,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experiment test on the students' previous concepts and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fter the experiment, the middle group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 small degree. The lower group showed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higher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achievements shown in different questions ask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questions that were stated in the textbook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that appli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he higher academic group, according to the test on the previous concept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en they were asked about the concepts of the textbook. In terms of the comparison in the metacognitive levels, both the higher and lower metacognitiv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grad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and showed an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

  • PDF

매체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읽기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edia Type)

  • 노경국;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1-240
    • /
    • 2023
  • 이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원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매체별 읽기 성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자료의 완독 시간과 내용 이해도를 묻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한 기사 내용을 3개 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매체 유형을 달리해 읽는 시간을 측정하고 평가 문항을 통해 매체에 따른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웹 페이지의 평균 완독 시간은 3분 28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3.99문제였으며, pdf 파일의 평균 완독 시간은 5분 23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4.35문제였다. 또한 인쇄자료의 평균 완독시간은 7분 14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6.26문제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는 144명으로 연구자의 실험 결과만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방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단계적 비유추론 학습과정을 통한 혼합물 학습 과정에서 제시된 생성적 비유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Features in Self Generated Analogies during Phaseal Teaching Learning Process about Mixture Using Analogy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진규;김영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19-433
    • /
    • 2015
  • Analogical reasoning is a central component of human cognition and contributes to scientific discovery and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cess features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alogical reasoning to explain mixture concept. The subjects are 24 lower elementary students. And the research design includes three phases instruction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students' self generated analogy. Phase 1 is the introduction of analogy in which student learn to use analogy. Phase 2 is a POE class about mixture conception. Piaget and Inhelder studied the conception of mixing among children in relation to cognitive development. In phase 2, we taught the student with Piaget and Inhelder's the experiment and observed the features of learning process about mixture conception. Phase 3 is students' generation of analogy (self generated analogy) for the experienced phenomena in phase 2. We analyzed the students' responses through the three phases in the view of Gentner's Structure Mapping Theory.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ven before formal operation stage understood the mixture conception and made well their self generated analogy to explain the mixture conception in spite of the difficulty of making self generated analogy.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ation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Science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3-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I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II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 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 남정희;김지연;한인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7-29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3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2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과 자기평가만 실시하고 피드백은 제공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은 9주(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과학 개념 이해 검사는 사후,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자기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자기평가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도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자기평가가 후속 학습에 영향을 주며, 학습 태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