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discours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4초

정보 흐름 관점에서 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평가와 반성을 위한 담화 분석의 실제 (The Practice of Discourse Analysis for Evaluating and Reflect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es in Terms of Information Flow)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367-378
    • /
    • 2011
  • After pre-service teachers become teachers, traditional patterns of classroom discourse which they had experienced as students affect their classroom discourse implicitly. For this reason, it is needed to get a new insight for evaluating and reflecting a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nformation flow of science class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inding showed that teachers' organizational skills for students' information made advanced science classes by maintaining discourse cohesions. And the findings also showed a way how to analyze, evaluate or reflect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his trial could contribut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nd show the directions to them how to change their classes beyond impressionable evaluations for their science classes.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 Shin, Myeong-Kyeong;Yager, Robert E.;Oh, Pu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73
    • /
    • 2003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Transcripts from Korea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were examined while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ourse was carried out. When it is assumed that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patterns by considering together the apparent exchange structures and pedagogical functions, various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were revealed. Although most patterns found illustrate the centrality of the teacher, a few of them are considered alternatives to the typical IRE discours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s suggested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scussed.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A New Way of Reading the Science Classroom Discourse: Pedagogical Discourse Analysis)

  • 이정아;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32-847
    • /
    • 2008
  • 이 연구는 언어학적 이론을 과학교육 실제에 접목시켜 '교수학적 담화분석'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학적 담화분석이란 언어학적 담화분석을 통해서, 수업언어에 대한 기술을 넘어,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초점적인 관심을 둔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수업 담화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담화의 구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수학적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기능언어학의 '주제 구조'와 '정보 구조'를 두 축으로 하는 '교수학적 담화분석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것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실제 과학수업의 담화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언어학 이론에 경도되었던 종전의 과학수업 담화분석 연구에서 진일보하여, 교육의 맥락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논의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대한 서지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e Political Science of Korea)

  • 이용재;이철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107
    • /
    • 2006
  • 필자들은 한국 문헌정보학과 정치학의 탈식민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한국 정치학 분야를 대상으로 탈식민성 담론에 대한 서지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치학자 중에서 한국의 정치현실에 부응하고 적실성 있는 정치학을 모색하는 학자들의 담론을 추적하고 그들의 연구물을 초록하고, 나아가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여 개관하였다. 조사대상은 해방이후 최근까지의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이다. 이러한 서지 비평연구는 한국 사회과학과 문헌정보학의 소통 가능성을 보여주고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Student-Centeredness of the Modality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Discourse language Code)

  • 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6-136
    • /
    • 2009
  • 학교 과학 수업은 그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주체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내용, 구조, 기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교수법적 실천 양태의 차이를 명료화하고, 수업의 사회적 상황을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수업의 이러한 특징은 과학 수업의 언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도입하여 광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에 대하여 수업 담화 언어 코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사례의 수업 담화 장면 별로 담화의 맥락 및 담화 참여자에 대한 권력 관계를 나타내는 범주구분의 정도와, 담화 주체간의 위계적 관계 및 담화 주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다른 범주구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담화 언어 코드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물 단원의 수업 담화 사례는 6가지 유형의 담화 언어 코드가 형성되어, 수업 담화의 측면에서 학생 중심 수업과 교사 중심 수업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부이고 있었다. 담화 언어 코드이 변화 경향에 따라 과학수업 양태의 변화 양상은 '통제된 학생 중심성 유도 수업'에서 '지위적인 학생 중심성 허용 수업'으로, 그리고 '통제된 학생 참여 허용 수업'을 거쳐, '통제된 학생 중심성 촉진 수업'과 '학생 중심성 강화 수업'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의 담화 주도가 보장되는 약한 담화적 통제와 담화 주체간의 약한 위계적 관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언어 코드에 대한 교사의 자각이 구성주의 수업, 학생 중심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과 맞물려 강화될 수 있다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수업의 실행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Oh, Phil Seok;Campbell, Tod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7-625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and students in different countries discursively interact to build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the knowledge generated situatedly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classroom. Data came from publicly released $8^{th}$ grade science classroom videos of five n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TIMSS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video study. A total of ten video-recorded science lesson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range of discourse modes were utilized and these modes were often sequentially connected to build CSK in the science classrooms. Although dominant discourse modes and their sequences varied among different lessons or different countrie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alient pattern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eacher-guided negotiation and the sequences of exploring - building on the shared and retrieving - elaborating. These pattern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iscursive features commonly witness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scientists and interpreted as implying the existence of unique epistemic cultures shared in science classrooms of different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reveal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se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as well as to confirm whether any cultural traits inherently shape the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mong different nations.

Text-Driven Multiple-Path Discourse Processing for Descriptive Texts

  • Seo, Jung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1권2호
    • /
    • pp.1-8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text-driven discourse analysis system, called DPAS. DPAS constructs a discourse structure by weaving together clauses in the text by finding discourse relations between a clause and the clauses in a context. The basic processing model of DPAS is based on the stack based model of discourse analysis suggested by Grosz and Sidner. We extend the model with dynamic programming method to handle various discourse ambiguiti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e develop the idea of a context space to keep all information of a context. DPAS parses a text by considering all possible discourse relations between a clause and a context. Since different discourse relations may result in different states of a context, DPAS maintains multiple context spaces for an ambiguous text. Since maintaining all interpretations until the whole text is processed requires too much computing resources, DPAS uses the idea of depth-limited search to limit the search space. If there is more than one discourse relation between an input clause and a context, DPAS constructs context spaces one context space for each discourse relation. Then, DPAS applies heuristics to choose the most desirable context space after it processes some more input clauses. Since the basic idea of DPAS is domain independent, although we used descriptive texts to demonstrate DPAS, we believe the idea of DPAS can be extended to understand other styles of texts.

  • PDF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Methodolog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Argumentative Discourse Focused on Analyzing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 맹승호;박영신;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40-862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논증 담화를 분석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들을 제안했던 최근의 주요 선행 연구들을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의 성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이 논증 담화 분석법을 실제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적용하여 그것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대한 선행 연구 중 Toulmin의 논증 틀을 논증 담화 분석에 적용한 연구, 논증의 구조, 내용, 및 정당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모색한 연구, 그리고 논증 담화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과정을 강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또한, 담화 레지스터와 증거-설명의 연속선에 기반한 대안적 논증 담화 분석 방법으로서 DREEC을 고안하였고, DREEC을 수업 담화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 연구들에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들은 주로 Toulmin의 논증 틀에서 제시한 논증 구성 요소의 유무에 근거하여 논증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논증 담화의 정량적 분석 및 비교는 가능한 반면, 논증의 정당화 과정 및 인식적 실행의 전개 과정에 기반한 논증의 질적 기술 및 비교가 어려웠고, 논증 담화 참여자들의 협력적 논증 구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DREEC은 주제부/설명부 간에 형성된 연결 관계와 자료, 증거, 패턴, 및 설명에 이르는 연결 관계를 통해 논증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흐름에 기반하여 논증의 정당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과학 학습의 지식구성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인식론 분석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on Epistemic Process in Science Learning)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173-1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ecific terms of epistemic and epistemological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learning, examine the necessit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based on the view of social epistemology, and provide an exemplar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for elementary children's science learning. The review was conducted in terms of meaning and terminology about epistemic or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cience learning, epistemology of/for science, and methodologies for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As an alternative wa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in science classroom I employed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by Wickman),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by Duschl), and DREEC diagram (by Maeng et al.). The methods were administered to a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e third grade where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Through the outcomes of analysis I sought to understand the processes how children collected data by observation, identified evidence, and constructed explanations about rocks.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the cases of four categories, such as encounter, stand-fast, gap, and relation, were identified. The sequence of encounter, stand fast, gap, and relation showed how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and how they came to learn the difference among the rocks. The epistemic features of children's observation discourse, although different from scientists' discourses during their own practices, showed data-only conversation, evidence-driven conversation, or explanation inducing conversation. Thus I argue even elementary children are able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their epistemic practices are productive.

과학관 수업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과학 교사의 비형식 교육에 대한 인식 (Discourse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Museums and Its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 장현숙;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11-22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formal learning by adopting a discour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ortimer and Scott(2003).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some general patterns of the discourse occurring in science museum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2) In what ways do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informal learning and teacher's role in informal settings? The 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m shepherd an elementary student around the museum and implemented their own instruction using a pre-planed lesson plan. Results indicated that even though the teachers had learned som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teaming in their college courses, they tended to implement their traditional view of science teaming into the instruction and the view affected them to set up their teaching purposes and contents, and to select communicative approach, patterns of discourse and ways of interv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