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1,194건 처리시간 0.026초

중학교 수학학습요소의 학교급간 이동에 대한 분석 (The Study on the Movement of Mathematics Contents among School Levels)

  • 서보억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65-386
    • /
    • 2019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curriculum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changes i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 of learning contents among the school levels based o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summarize the influence o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learning contents. The research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trends of mathematical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fter the movement of ten mathematics curriculums. Second, we analyzed trends of learning factors after mobility and mobility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mutual movement based on middle school' and 'the contents deleted from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flect on current and past curriculum and to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omposition of new curriculum.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현장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방향 (Difficulties and Issues in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57-675
    • /
    • 2002
  •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issues raised by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 general overview of the curriculum is presented in lin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Four classroom episodes are presented in brief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s in situating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episodes deal with lessons emphasizing activity rather than its associated concepts or principles, overusing multimedia data, pursuing play rather than its associated thinking, and distributing various individual worksheets in the na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methods. In addition to the episodes, interview data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are presented as needed. This paper discusses two aspects of activating the curriculum in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One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mselves, and the other covers those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This paper finally emphasizes a collaborative working relation among classroom teachers, mathematics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their own places and roles.

  • PDF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암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yptography Teach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Mathematics)

  • 박중수;정상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31-245
    • /
    • 2009
  • 본 논문은 암호 및 정보보호와 관련된 내용들을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소개하고자 할 때, 사전에 학생들의 정보화 수준 및 암호와 정보보호의 이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및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에 대한 분석이다.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여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암호 기초 이론을 강의하고 관련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하게 한 결과 암호 학습이 수학학습의 동기 유발은 물론이고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 사이의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래밍 실습을 포함한 암호 학습을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실용수학' 또는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의 활용'에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서의 쟁점 - 2006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Debates on the New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

  • 한대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33-658
    • /
    • 2010
  • 이 연구는 2006년에 고시된 교육과정과 지난 제 7차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내용 항목과 관련된 개정 사유와 개정 과정에서 있었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된 보고서와 연구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2006년 개정에서 초등학교 내용과 관련하여 쟁점이 있었던 개정 사항을 학년 간 이동된 내용, 분수 개념의 지도 계열, 문제해결 영역 설정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개정 사항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지, 개정 과정에서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 그리고 개정 사항에 대하여 어떤 사유가 제시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다양한 이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견은 초등수학의 양과 수준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의 차이나, 초등 수학 내용의 도입 시기나 지도 계열에 대한 수학 교육적 견해의 차이 그리고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제시하는 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부터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First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Korea for the New Millennium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73-90
    • /
    • 2003
  • In the Republic of Korea, mathematics has always been a major blame for huge private expenditures on so-called "private education," which consists of private tutoring and lessons at "private academies of extra curricula." The private spending on out-of-school education often exceeded public expenditures on schools. In 1997,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form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long with other subjects to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aim of this curriculum change was to put a boost on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ffections and other attributes toward school mathematics. The essential distinctiveness of the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s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so-called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grades 1-10. 2. 30% reducti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and the reconciliation of contents. 3. Elective subjects for mathematics for grades 11 and 12. 4. More uses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Firstly, we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analyze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awaren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eaching environments of schools and readiness of mathematics teachers. Then we find out what kinds of problems it has and look for some suggestions for remedies.

  • PDF

한국과 외국의 이산 수학 교육 내용 비교 (The Comparison of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한진규;서종진;홍지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9-70
    • /
    • 2002
  • In case of Korea, while discrete mathematics is included in the traditional school curriculum the 7th Educational Reform adds a new topic of Graph Theory making it an optional subject of highschool mathematics. However, a systematic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s still unsatisfactory.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n Korea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Britain, Japan, and Canada. Consequently, it looks into problems concerning the school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n Korea to devise a proper measure to improve.

  • PDF

2011년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2011 Reform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2011년 같은 해에 초등학교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고, 최근 현장 적용에 들어갔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이 많다. 게다가 중국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입시제도, 교육환경,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는 2015년 9월 공시 예정으로 새로운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교육과정 문서 체제 및 내용 구성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중학교 수학과 신교육과정 소개와 학습량 30% 감축에 대한 논의 (Critical issues of 30% reduction and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at middle school in Japan)

  • 김응환;이석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5-1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cuss critical issues of 30% reduction and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for new Mathematics Curriculum at middle school in Japan in 2002. This paper consisted of three part: (1) The contents of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in japan. (2) Discussion about critical issues of 30% reduction of the contents for new Mathematics Curriculum. (3) Proposal of the point of view about 2000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The authors pointed out that the reducti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of a true reduction more carefully.

  • PDF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213-2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the major change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re examined. Major change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re as follows: 1) Introduce and emphasize mathematical competencies, 2) Restructure the content system, 3) Reduce mathematics contents to teach, 4) Emphasize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 5) Emphasize the use of technology, 6)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lso, a surve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consisted of contents of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main chang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ir demands to implemen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schools. Finall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 Support for mathematics curriculum competencies is needed, 3)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needed for emphasizing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 using the technology, and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