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context

검색결과 2,503건 처리시간 0.028초

A Dynamic Ontology-based Multi-Agent Context-Awareness User Profile Construction Method for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 Gao, Qian;Cho, Young Im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70-276
    • /
    • 2012
  • With the increase in amount of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web, there have been high demands on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s to provide context-aware services for the web user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dynamic multi-agent context-awareness user profile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to incorporate concepts and properties to model the user profile. This method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frequency and the specific of the concept in one document and its corresponding domain ontology to construct the user profile, based on which, a fuzzy c-means clustering method is adopted to cluster the user's interest domain, and a dynamic update policy is adopted to continuously consider the change of the users' interest.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along with the gradual perfection of the our user profile, our proposed system is better than traditional semantic based retrieval system in terms of the Recall Ratio and Precision Ratio.

장비협업도를 활용한 상황인식 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평가 방법론 (A Structured Methodology with Device Collaboration Diagram for Evaluating Context-Aware Systems)

  • 권오병;이남연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2호
    • /
    • pp.27-41
    • /
    • 2007
  • 최근 들어서 상황인식 시스템은 차별화 된 전자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유망한 기술로 인정되고 있다. 상황인식 컴퓨팅을 통해 구현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자동적으로 센싱하여 그의 환경을 자동적이고 심도 있게 이해함으로 이음매 없고 기민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특정 정보시스템이 얼마나 상황 정보를 잘 인식하고 활용하느냐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다. 그러나 비록 상황인식 시스템의 수준에 대한 언급들은 그 동안 많이 이루어져왔지만 본격적이고 구조적인 평가 방법론이 제안되어오지는 못해왔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상황인식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구조적인 방법을 다단계 방법론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제 1단계에서는 특정 정보시스템이 과연 상황인식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요건분석을 수행하고, 제 2단계로는 요건 분석을 통과한 시스템에 대해 장비협업정도, 이동성의 정도, 내재성의 정도라고 하는 세 가지 차원으로 평가하여 상황인식 시스템의 수준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반 한 장비협업도(Device Collaboration Diagram, DCD)라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프로젝트의 개발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시스템의 수준과 준비도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종합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본 방법론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실제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로봇 서비스 개발 및 실행을 지원하는 개발도구 (A Development Tool for Creating and Executing Robot Services)

  • 조용성;최종선;최재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9-316
    • /
    • 2013
  • 최근 지능형 로봇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가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로봇 서비스의 정의뿐만 아니라 각 로봇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전이 조건인 사용자 주변의 상황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로봇 서비스 개발자가 손쉽게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 문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개발 도구는 직관적인 GUI 형태로 로봇 서비스 워크플로우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형태의 로봇 서비스 워크플로우를 작성한 후, 이를 자동으로 문서화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보인다.

다중 물체의 효과적 검출과 분할을 위한 문맥자유 마커제어 분수계 변환 (Context-free Marker Controlled Watershed Transform for Efficient Multi-object Detection and Segmentation)

  • 서경석;조상현;최흥문;박창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3호
    • /
    • pp.237-24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복잡 배경으로부터 임의의 다중물체를 효과적으로 검출함과 동시에 고속 분할할 수 있는 문맥자유 마커제어 분수계 변환 (context-free marker controlled watershed transform)을 제안하였다. 먼저 잡음에 강건한 주목 연산자 (attention operator)를 써서 복잡 배경 속의 여러 물체 별로 그 위치를 검출하여 문맥자유 마커를 추출하고, 이를 마커로 한정된 레이블링 (marker constrained labeling)을 하여 최소값 부과과정이 필요 없는 문맥자유 마커제어 분수계 변환을 제안함으로써 과분할없이 신속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중 물체가 포함된 복잡 영상에 적용 실험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사전정보 없이도 과분할과 처리시간을 대폭 줄여 효과적으로 다중 물체를 검출함과 동시에 고속 분할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Where and How to Advertise?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Ad Attitude and Response Based on Contextual Factors

  • Janine Anne T. Laddaran;Jaecheol Park;Il 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4권2호
    • /
    • pp.518-540
    • /
    • 2024
  • Mobile technologies have enabled marketers to target consumers anywhere and anytime. However, as consumers react and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situation they are in, there is an apparent need to determine when, where, and what kind of advertisement is most relevant to the consumer. This paper proposes a holistic approach to examine the response of consumers when faced with two types of contextual factors (environmental/spatial and social contexts) through the lens of the Mobile Advertising Effectiveness Framework. We focus on the contextual effects of perceived distance from the offline store and the effect of popularity cue indication. A scenario-based surve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distance and popularity cue on the users' attitudes, and ultimately on their response intentions, upon receipt of mobile ads.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e hypotheses: first, mobile ads sent when users perceive the physical store to be in close proximity tend to evoke more positive attitudes and elicit better responses compared to when users perceive the store to be farther away. Additionally, ad messages indicating high popularity were found to be more appealing than those with low popularity. These empirical results underscore the pivotal role of context, encompassing both spatial context (proximity to offline stores) and social context (popularity cues), in shaping consumer attitudes and response intentions in mobile advertis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offer theoretical insights that underline the significance of holistic context-based approaches that in turn, marketers may use to design more effective mobile ad campaigns that may elicit better responses from consumers.

생태학적 맥락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in the Ecological Context)

  • 조성연;김혜원;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87-9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the ecological contexts of their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social-cultur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re 1,09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do. Instruments we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Rosenberg Self-Esteem Sca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Social-Cultural Satisfaction Scale.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t- and F-test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roduct-moment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the lowest levels. Also, life satisfaction was inversely related to school grades. Secondly, for all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self-esteem,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cultural satisfaction. Lastly,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at school explained more of the variance in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than any other factors.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al number e)

  • 최은아;이홍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95-5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실수 e의 다양한 의미와 맥락을 살펴보고,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실수 e의 역사적 발생과 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여 예비교사 28명에게 적용하고, 그 중 8명에게 반성 및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실수 e의 형식적 정의와 그 표현과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실수 e의 표현을 극한 표현에 편중되어 이해하고 있었다. 실수 e의 무리수 속성과 작도 불가능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적절한 판단을 내렸으나, 그 근거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또한 실수 e의 연속 복리 맥락과 지수함수 맥락에는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기하적 맥락과 자연로그 맥락을 미흡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으로, 예비교사들에게 실수 e의 다양한 표현과 속성, 맥락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실수 e의 다양한 측면이 잘 조직된 관계망 속에서 통합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IoT 환경에서 상황정보에 따른 시맨틱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tology for Semantic-Based Service Exploiting the Context Information in IoT Environment)

  • 우동희;유민규;김윤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3
    • /
    • 2016
  • IoT 기술과 시맨틱 기술의 결합을 통한 상황인지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맨틱 기술인 온톨로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행 연구는 특정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메인으로 선정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했기 때문에 서비스 요구사항 등의 변경을 수용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크로스 버티컬 온톨로지 개념이 등장하였지만 상황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서비스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요소를 필요로 하며, 환경구성요소의 상태정보를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상황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요소를 추가하지 않으면서, 환경구성요소의 상태표현이 가능한 SISO(Semantic-based IoT Service Ontology)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SISO의 특징을 검증하기 위해 서비스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시나리오에 따라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서비스 시나리오 적용 결과를 기반으로 선행연구와의 정성적 비교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