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ograph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18세기 프랑스 픽처레스크 정원과 파브리크 건축 특성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French Picturesque Gardens and Fabriques in the 18th Century)

  • 김란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81-88
    • /
    • 2019
  • Although small but eye-catching outdoor constructions are generally called folli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French landscape researchers found different features of the fabrique, which they called separately from the folly. Unlike the 18th-century English gardens, in which the landscape itself was emphasized more than decorative structures in it, French fabriques actively made the atmosphere of picturesque gardens.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from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studied the 18th-century garden theories in both Britain and France, which might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fabrique. Then, it tri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French major picturesque gardens and their fabriques, relating them to painting, drama, and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rden and its fabriques or follies, compared the different features between the English landscape gardens and the French picturesque ones in the 18th century.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전시 공간 -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의 패션 전시 디자인을 중심으로 - (Fashion Communication and Exhibition Project - Focused on Fashion Exhibition Design by Maison Martin Margiela -)

  • 장라윤;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02-13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s by which designers communicate their philosophies and messages through fashion exhibitions, which are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use visual images, by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fashion exhibition design.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sign exhibi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the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by examin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onducting an illustrative study on fashion exhibitions. Our illustrative study focused on the aesthetic meanings of exhibitions held by the fashion brand Maison Martin Margiela over the past 10 years. According to our analyses, the fashion philosophy of fashion designer Martin Margiela's was reflected by Maison Martin Margiela in the exhibition design. After studying the features of Maison Martin Margiela's exhibition design, the inner values of deconstructivism and mysticism and appearance techniques of trompe-l'oeil, white spirit and assemblage were observed. This study aims to supply basic data for an active research on consilience and communication conducted in fashion communication field through a fashion exhibition designed to be seen as a work, an objet of the exhibition. In-depth studies on the cultural and aesthetical aspects of fashion exhibitions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based on the sense of sight but also the senses of touch and hearing. Next, theories should be established on fashion scenography, to consider the use of the space design of fashion shows, presentations and advertising and movies to communicate fashion.

옵아트 기법을 응용한 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inting Applying With Optical Art)

  • 변성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95-103
    • /
    • 2021
  • 나의 작품 전개는 50년대 말과 60년대 초에 걸쳐 전개되기 시작한 옵아트(Optical Art)에서 나타나는 시각전 달로서의 조형요소들-점, 선, 면, 부피와 입체, 시간 속의 운동, 공간-에 대한 것들을 바탕으로 시작했다. 나의 작품소재는 산, 나무, 꽃 등의 주변적 풍경을 표현하였다. 그리거나 지우거나, 반복된 점으로 채우거나 겹치거나, 원근감을 무시하여 완성했다. 모든 예술 활동은 철저히 인간적가치 위에 바탕을 두어 궁극적으로 인간을 위한 것으로 작용해야 한다. 점에서 시작되어 반복되는 점은 의도한 스케치 또는 전혀 의도하지 않은 또 다른 조형세계로 안내한다. 그것이 의도한 것이든 의도하지 않은 것이든 모든 감상자들에게 풍부하고 다양한 보는 즐거움을 주는데 충분하다고 느낀다. 옵아트 기법을 응용한 작업은 원근감의 무시와 그동안 익숙하고 정직한 보여지는 색채에서 벗어나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였다. 일직선상에서의 대상물 표현에 익숙한 원근법에서 느끼는 감정보다는 더 감동을 주고자 의도하였다. 그러므로, 우리의 작품이 감상자에게도 기쁨과 만족을 주었으면 좋겠다.

미디어기술 융합공연 사례분석을 통한 무대미술 전공 교과목 연구 (A Development of Theatre Art Major Course based on Case Studies of Media Technology-converged Performances)

  • 박진원;김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62-571
    • /
    • 2019
  • 예술과 미디어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장르의 공연콘텐츠 시장의 확장은 전통적인 무대미술 표현범위의 한계를 넘어 창의적인 시공간적 표현을 자유롭게 하며 공연예술분야 내 블루오션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따른 공연예술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예술 기술 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융합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무대미술 전공 관련학과에서는 기존의 미술교육 외 시대에 상응하는 무대영상 및 다양한 미디어 매체 기술(가상현실. 홀로그램, 인터렉티브 모션센서)등을 공연예술 분야 시각화 과정에 접목시키는 역량제고를 위한 교과목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본 논문은 최근 10년간 미디어기술 융합공연 사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기술융합 무대미술 전공 교과목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무대미술과 미디어 기술 융합교육 시도는 기존의 전통적인 무대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작품성과 더불어 창조적인 시각적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는 융합인재 양성의 초석이 될 것이다.

후안 마요르가 작 <하멜린> 연출적 접근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orial Approaches of by Juan Mayorga)

  • 이서아;조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61-180
    • /
    • 2021
  • 본 연구는 후안 마요르가의 희곡 <하멜린>을 포스트 서사극으로 정의하고, 포스트 서사극으로서의 실제적인 연출 기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드라마 이후에 등장한 포스트 서사극은 작품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고, 배우와 관객이 상호 작용하며 관객이 몰입과 소외를 통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이를 위해, 포스트 서사극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하멜린>의 포스트 서사극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멜린>의 연출컨셉과 실제 연출기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메타연극적 기법 중 '역할놀이'의 개념을 빌려와 그 정당성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관객의 적극적인 태도와 비판적 사고, 포스트 서사극의 특성 강화, 관객 스스로의 의미창발 등 다양한 지각적 체험 및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림 같은 풍경"의 재해석 - 병산서원 차경 설계의 수양론(修養論)적 해석 - (Reimagining "A Picturesque Landscape" - The Borrowed Scenery of the Byungsan Neo-Confucian Academy, Korea, and its Heuristic Instrumentality -)

  • 이경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15-29
    • /
    • 2022
  • 병산서원은 한국 전통 건축과 차경 설계의 자연친화성 또는 비인위성을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병산서원을 수식하는 대표적인 비유인 '그림과 액자'를 중심으로 서원의 차경이 착시와 환영의 풍경을 선사하는 인위적 기법임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는 다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오늘날 '그림'과 '액자'는 각기 순수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를 여과 없이 전달하는 건축적 틀을 일컫는 비유로 사용되며, 이는 자연과 건축의 조화라는 현대 한국인의 기대 심리가 투사된 결과물임을 지적한다. 둘째, 서원을 설계하고 이용하던 조선 중기의 인물들이 차경을 향유한 방식을 추론하기 위해 당대의 시와 회화에 묘사된 풍경과 차경이 선사하는 풍경을 비교하고, 차경을 통한 조망이 동시대의 경관 예술과 마찬가지로 성리학적으로 이념화된 자연의 이미지를 연상하도록 유도함을 밝힌다. 셋째,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차경이 선사하는 '그림'이란 보는 이의 인식이 빚어낸 환영(幻影)이며 차경이라는 '액자'는 이를 촉발하는 인지적 착시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병산서원의 차경을 자연주의적 표상으로 소비하는 시선에서 이탈하여 시대적, 문화적 보기 방식을 유도하는 적극적인 설계 행위로 인식하고, 자연과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오늘날의 시선을 재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