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ery

검색결과 596건 처리시간 0.028초

Natural Scenery and Caves of Huanren in Northeastern China

  • Soh, Dea-Wha
    • 동굴
    • /
    • 제69호
    • /
    • pp.1-7
    • /
    • 2005
  • The mountains and rivers in Guilin are famous for their beauty; the pines and rocks on Huangshan Mountains are well known for their magnificence. And now, another famous scenic zone that shall be one of the wonders of the world located in remote area of Northeast of China appears quietly, and it attracts lots of tourists and makes them reluctant to leave. That is Huanren, a Manchu county, which is famous as miraculous place.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 (The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of Daegu City)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9-19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지로 선정된 대구시의 도시 이미지 제고에 필요한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못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자연경관은 신천과 입암으로 이에 대한 수정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 외에도 지명의 오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고문헌에 전해지는 대구의 두 바위 중 하나인 입암은 이미 사라진 상태이지만, 화암은 최근에 그것의 실체가 밝혀진 만큼 이에 대한 충분한 보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라질 위기에 처한 주요 자연경관의 보존을 위해 이들을 대구 문화생태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지형경관 중에서도 문화 또는 역사와 관련된 지형경관을 특별히 '문화지형(Cultural landform)'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 PDF

3D Animation에서 효과적인 Caustic표현 연구 (Effective expression of the caustic effect in 3D animation)

  • 이순영;최유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32-138
    • /
    • 2003
  • 자연현상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빛이나 소리 등 파동적인 현상으로 아지랑이나 별의 반짝임과 물그릇 속의 수저가 굽어보이는 현상을 Caustic이라고 하는데, 우리는 Caustic을 여러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굴절을 체험하게 된다. 이렇게 자연현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좀더 사실적이고 효과적으로 장면연출을 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3D Animation에도 Caustic표현을 적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Caustic은 여러 가지변수로 인하여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테스트과정을 거쳐야된다. 본 논문에서는 3D Animation에서의 Caustic표현을 찾아보고, 장면에 따른 분석과 설문을 통하여 장면연출에서 Caustic 역할을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장면연출을 위하여 Caustic 표현에 있어 여러 가지 조건변화에 따른 실험을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실증적 실험 연구를 통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3D Animation에서 좀더 사실적인 장면을 연출하기 위하여 Caustic표현에 있어서 교육적 지침서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 PDF

도심 내 가로경관 유형별 시각적 속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강릉시 중앙로를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Visual Character in Types of Urban Streetscape on Preference - In Case of the Kangnung-si Joongang-ro -)

  • 정연구;조태동;정정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5-323
    • /
    • 2008
  •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on of common factors execu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visual attributes of street scenery by types through the rotation of 23 adjective variables by Varimax, the visual attributes expres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using street scenery were anylized to be 4 factor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Theexplanation of the 4 factor groups to explain the entire distribution was 65.3% and these factor groups are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felt when using facilities are constructed by securing the street spaces in downtowns and the factors were named as naturalness(factor 1), locality(factor 2), identity(factor 3) and clarity(factor 4)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one-way layout distribution analysis, the preferences for street scenery by types were found out to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at 1 %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of the factors explaining preference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were significant at 1 % significance level. In cas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if the values of the adjective variables related to locality(factor 2) increase by 1 unit, the preferences which are the values of dependent variables will increase by 0.709.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relative contribution among the 4 factor groups was the locality(factor 2) factor group and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least influences was the clarity(factor 4) factor group.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팥배나무 군락 보전방안 (Conservation Measures of Korean Whitebeam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이숙미;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Bongsa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rate of vegetation cover were composed of 72.3%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10.7% of Sorbus alnifoila Forest, and Sorbus alnifoila was founded as a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Core Zone of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welve $100m^2$ sized plots were set up in Bongs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rate for major tree species, nine sample trees from research plots were measured. Expected ages of Sorbus alnifoila trees were 27~37years, Robinia pseudo-acacia trees were 17~26 year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Prunus sargentii, and Quercus mongolica trees were 27~38 years. As a result, annual diameter growth r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tended to remarkably decreased, Sorbus alnifoila had the wood on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woody plant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Sorbus alnifoila in the three layers of Sorbus alnifoila communities were evenly high.

충청수영 영보정의 유식과 시경 공간 연구 (A Study on YuSik and Sikyung Space of Yeongbojeong in Chungcheong-Suyeong)

  • 김명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77-8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architectural location and the history of Yeongbojeong and investigate the motivation which formed the YuSik space and the poetical circles of it. And an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how Yeongbojeong, located in a military camp in Western coast, displayed the poetic scenery so to be the poetic summer house among so many Nujeongs in Joseon. Yeongbojeong is currently located in Soseong-ri, Ocheon-myeon, Boryeong City, Chungnam. Yeongbojeong has the biggest size among all the summer houses in the country with 24 architectural rooms. And Yeongbojeong is not only the summer house in which people could simply see its scenery, but beyond the poetic space of Joseon, it was the unique poetic summer house which enables poets and calligraphers to enjoy imaginary freedom.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from the building of Yeongbojeong in 1504 to its demolish in 1901, and its space range was taken focused on the particular scenery which was seen from around Yeongbojeong. To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aspect of Yeongbojeong, the existing records about the summer houses, "OcheonGoonJi" and the landscape paintings etc. were referred. The travel records and poems in the work collection of the famous poets who explored Yeongbojeong were referr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Yeongbojeong poetical circl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process that Yeongbojeong had become the famous national place with scenery and how it became the most visited YuSik space. And this study figured out the full account of Yeongbojeong poetical circles which had been formed by so many poets of the country for 4 hundred years.

대암선생문집 속의 농연서당십경(聾淵書堂十景)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g-Yeon Seodang 10 Scenery in Daeam Seonsaeng Munjip)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개인문집 속에 묘사된 경관 관련 문헌을 조사 발굴하여 장소를 찾고, 그 속에 묘사된 대상지와 주변경관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제의 경관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는 기초연구로서, 대상지는 조선 후기 학자 최동집의 대암선생문집에 묘사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각 경관요소 및 장소를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1) 대암 최동집과 대암선생문집을 정리한 후손 백불암 최흥원의 배경 및 농연서당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2)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해서 농연서당의 위치 및 장소를 파악하였으며, 3) 그 장소에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경관요소 및 분포관계 그리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고찰을 통해 농연서당의 배치와 방향에 대한 의미를 되짚고, 정원조성관련 기록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별서명승의 개념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A Meaningful Interpretation on Concept of Byeulseo Scenic Spot)

  • 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8
    • /
    • 2010
  • 본 연구는 별서명승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서, 별서 및 명승의 정의를 먼저 제시한 후, 별서가 별서명승으로 불릴 수 있는 근거와 이유, 당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명승지정 기준은 3항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5항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 교육, 생활, 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를 명승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덧붙여 우리 선조들이 별서공간에 대한 명승개념을 정의해 놓은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별서공간을 역사 및 생활명승으로서의 명승으로 지정해 나갈 수 있는 준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첫째, 문화재법상 명승의 개념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건물이 있는 경승지 또는 이름난 풍경을 볼 수 있는 지점으로서 경치도 중요하지만, 대상지의 담겨진 삶의 기록(Story Telling)인 역사자원을 발굴해 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명승에 대한 지정 기준은 자연경관, 저명한 경치가 있는 동식물군락지, 경관조망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 다양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생활명승으로서의 별서명승의 지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외국 사례 중 일본의 경우, 별서 및 주택정원을 명승으로 196개소나 지정하여 전체 명승 355개의 55.4%에 달하고 있음에 유의하여, 우리도 이들의 제도를 우리에 맞게 원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저명한 건물이나 중요사적 및 민속자료 등이 포함된 대단위 경관지역은 복합문화명승이나 특별명승과 같은 개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적, 중요 민속자료 등으로 분류된 정원, 원지 중에서 명승으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는 대상지의 명승으로의 문화재 지정종별 분류작업을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생활명승이면서 경치가 아름다운 별서정원의 명승지정을 확대하여야 한다. 정자들은 경승지에 선비들이 은일하며, 학문을 했던 별서의 중심공간으로서, 작정자가 분명하고 행장기록이 있어 국민들에게 이야기거리를 창출하여 홍보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경우 명승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별서정원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조망점의 경우 지정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명승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별서정원의 경우 조망점이 우수한 사례가 많고, 아직 조망점이 좋은 대상지를 명승으로 지정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과 하경양식 (A Study on the Micro-Topography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Waterfront Landscape Style of Waterfront in Korean Jingyeong Landscape Painting)

  • 김용희;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6-38
    • /
    • 2019
  • 본 연구는 수변경관의 특성을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주거, 상업 및 여가공간의 확충을 위해 수변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변 개발 시에는 도심과 다른 수변공간에 적합한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의 자연스러운 풍경상을 진경산수화에서 찾고, 그 풍경을 구성하는 주요 경관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변 경관의 분석이 가능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105엽을 선정하였다. 105엽을 하천지형학적 분류에 따라 산간계류, 상류, 중류, 하류, 해(海)로 분류하였고, 수변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미지형 요소인 수형상 13가지, 점경요소 13가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미지형요소 수형상은 선형, 면형, 변형으로 구분되며, 장폭, 단폭, 다단폭, 선류, 곡류, 다곡류, 담, 수면, 유수면, 탄파면, 기암변, 토파변, 토사변 등 13가지이다. 점경요소는 자연 인문 요소로 구분되며, 송림, 소나무, 전나무, 대나무, 버들, 잡수, 기암, 마을, 집, 누정, 배, 다리, 사람 등 13가지이다. 하천 구역별 수변 미지형 경관의 특징을 수형상과 점경요소들로 설명하였으며, 수형상과 점경요소들의 하천 구역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105엽은 산간계류 35엽, 상류 9엽, 중류 5엽, 하류 35엽, 해(海) 21엽으로 분류되었다. 하천 구역별로 수형상과 점경요소가 표현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 5가지의 하경양식과 해안의 풍경 특징을 종합할 수 있었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서 수변 미지형 경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하경양식은 다음과 같다. 산간계류에서는 심산속 폭포 풍경을 그린 장폭심산형, 수림지내 곡류를 유람하는 풍경인 다곡수림형이 대표적인 하경양식으로 나타났다. 중상류에서는 수변을 유람하거나, 누정이 있는 풍경인 수면누정형, 하류에서는 하류 특유의 모래톱과 누정이 있는 풍경인 토사누정형과 하류에서의 인간활동이 부각된 생활풍경인 토파나루형이 대표적인 하경양식으로 나타났다. 해안 풍경의 특징은 바닷가의 기암절경이 주 풍경을 이루는 탄파기암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소재로 산수화와 경관 분야에서 아직 연구되지 않은 수변공간의 구성요소들과 수변 풍경 유형을 분석하였다.

텍스쳐 매핑과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눈 내리는 전경의 애니메이션 (Animation of Snowy Scenery Using Texture Mapping and Particle Systems)

  • 이상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텍스쳐 매핑과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하여, 눈 내리는 장면의 애니매이션을 OpenGL로 구현하는 두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의 실행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나는 glPointSize()함수를 사용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glutSolidSphere()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실행 결과 전자가 후자보다 실행 결과가 빨라서 속도가 느린 PC나 내리는 눈의 개체 수가 많은 경우에 사용하기에 더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또 전자의 방법을 이용한 구현 과정에서 눈의 모앙과 눈의 색깔의 제어가 서로 상충되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미지를 조작하여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