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shopp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스포츠용품 인터넷 구매의 위험지각에 관한 연구 (Perceived Risk in Online Purchase of Sporting Goods)

  • 민대환;이승엽;임성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3권2호
    • /
    • pp.127-143
    • /
    • 2006
  •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ncreases, online shopping malls are gradually flourishing and sales are continuously growing. However, since consumers are not able to check what they purchase when buying products on the Internet, they are bound to have higher risk perception than buying directly from off-line stores. Especially, sporting goods require a special attention because a preliminary test is important. Therefore, the risk perception is much higher when people purchase sporting goods online.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multi-dimensionality of risk perception. Then, it investigates whether online purchasing experience of sporting goods make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In addition, it examines whether the risk perception by those who had an experience in purchasing sporting goods online affects the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five dimensions in the concept of risk perception, such as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security risk, delivery risk, and psychological/physical risk. A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people without an experience in purchasing sporting goods online have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risk, security risk, and psychological/physical risk than those with online purchasing experiences. Finally, this study has found that delivery risk,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physical risk hav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 PDF

Influence of time pressure o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in apparel shopping

  • Moon, Ji-Young;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128
    • /
    • 2013
  • Studies show that time pressure affects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nsumers. However, in the case of apparel shopping, few studies have looked into the influence of time pressure on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perceived time pressure in apparel shopping, time pressure situations, and product typ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influence the clothing purchase proces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among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Perceived time pressure in apparel shopping was measured using four items. Time pressure situations and product types were given in the form of scenarios. A $2{\times}2{\times}2$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nd perceived time pressure in apparel shopping, time pressure situations, and product type were used to create eight different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decision-making speed, anticipated regret, and anticipated purchase satisfaction. Data from 512 subject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data colle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perceived time pressure group and the shopping situation with time pressure involve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decision-making time, anticipated regret, and anticipated purchase satisfaction. Marketers must understand the real-time pressure situations of consumers.

인터넷 쇼핑몰의 개인화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 변화 (Consumer Response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 김지수;진주영;현혜영;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59-72
    • /
    • 2017
  •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소비자는 자신의 감성에 맞는 스타일을 선택하기 원하므로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효용과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개인화 쇼핑몰의 샘플 동영상을 직접 제작하여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 대학생 170명에 대하여 이를 경험하도록 하였고 이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변하는 것을 측정하였다. 또 소비자의 개인화의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웹사이트 평가, 만족도/인터넷 행동, 제품품질평가 등 반응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선호쇼핑몰의 종류, 인터넷 쇼핑몰 접속 횟수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첫째, 적극적 개인화 쇼핑몰을 이미 경험해본 대학생 소비자의 경우 적극적 개인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선호 쇼핑몰의 종류에 따라서 소극적 개인화 수준이 달랐는데, 일반의류 쇼핑몰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낮고 복합대형쇼핑몰과 소셜커머스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소극적 개인화 점수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 소비자의 적극적 개인화 동영상 경험 전후에 따라서 만족도/인터넷행동, 제품품질 평가는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극적 개인화 점수는 감소하고 적극적 개인화 점수와 웹사이트 평가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 접속 횟수는 만족도/인터넷행동, 웹사이트 평가와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적극적 개인화 요소는 만족도/인터넷 행동, 웹사이트 평가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e-쿠폰 속성, 지각된 위험이 사용자 만족도를 매개로 인터넷쿠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쿠폰유형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E-coupon attributes, Perceived risk in Internet shopping malls on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online coupons through the User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s of coupon type and gender -)

  • 심선희;김하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2호
    • /
    • pp.1-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쿠폰 속성 요인과 지각된 위험이 인터넷쿠폰 사용자 만족도를 매개로 인터넷쿠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 30대 인터넷쿠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e-쿠폰 속성 요인으로 경제성, 유희성, 신뢰성, 유용성을 설정하였으며 쿠폰 유형과 성별을 조절 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유희성, 유용성, 그리고 지각된 위험이 인터넷쿠폰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터넷쿠폰 사용자 만족도는 인터넷쿠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로 사용되어진 쿠폰유형과 성별이 인터넷쿠폰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정결과, 쿠폰유형의 경우에는 신뢰성, 유용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의 경우에는 신뢰성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의 쿠폰 촉진 전략의 방향 및 구체적인 인터넷 쿠폰 촉진 믹스 전략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판단되며 소비자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신뢰성향이 높은 인터넷쿠폰 제공을 통하여 인터넷쿠폰 사용자 만족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ioneering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Dynamic Capability at Lotte Shopping

  • Won, Eugene J.S.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10호
    • /
    • pp.5-21
    • /
    • 2018
  • Purpose - This cas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history of Lotte Shopping, which has played a key role in modernizing Korea's retai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Lotte Shopping's expansion to various channel types has been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ource-based view of strategy. The opening of Lotte Department Store in 1979 signaled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ed distribution system in Korea. Lotte Shopping expanded its business domains to various types of retail channels, such as discount stores, online shopping malls, TV home shopping, convenience stores, supermarkets, home appliances specialty stores and health & beauty stores. Results - Lotte Shopping has been able to maintain high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leading merchandising skills. It has develope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partner firms. It has also been a leading firm in implemen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Lotte Shopping has applied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provide customized goods/services. Conclusions - This study summarizes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new challenges Lotte Shopping faces currently. Lotte Shopping is trying to reinforce the omni-channel strategy, which can create synergy among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based on its core competences.

온라인쇼핑몰의 CRM 전략에 관한 동태적 분석: System Dynamics 기법을 활용한 고객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Dynamic Analysis of CRM Strategy for Online Shopping-mall)

  • 강재원;임재익;이상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3호
    • /
    • pp.99-132
    • /
    • 2007
  • 전자상거래에서 고객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CRM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대부분 통계기반의 실증연구들이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CRM 결과의 동태적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며, CRM 전략에 대한 타당성과 미래성과를 예측 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온라인쇼핑몰의 CRM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들간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기법을 기반으로 한 동태적 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라인쇼핑몰에 초점을 맞추고 퍼미션마케팅 이론에 기반하여 고객을 세분화하였으며, 기대이론 등을 바탕으로 세분화된 고객들에게 서로 다른 수준의 CRM을 적용하여 그에 따른 고객만족도와 불편도의 변화에 대한 명제(Proposition)을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세분화된 고객별로 CRM의 긍정적 효과로 인한 고객만족 및 유입보다 부정적 효과로 인한 불만족 및 이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명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 설계한 동태적 모델은 기존의 기대이론을 바탕으로 한 고객만족도 및 불만족도가 고객유입과 이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븐 연구를 기반으로 실제 쇼핑몰사례를 접목시킨 실증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현업의 CRM 전략수립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웹사이트 정보품질 및 사용자인터페이스품질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관여도의 조절효과 (Impact of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Interface Quality of Web-Sit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of Cultural Products: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Involvement)

  • 조세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31-944
    • /
    • 2013
  •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문화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문화상품의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의 품질수준이 고객의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 및 인터페이스 품질이 문화상품 고객의 정보서비스만족도와 온라인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들 관계가 문화상품에 대한 고객관여도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품질 및 인터페이스품질은 모두 정보서비스 만족도와 온라인구매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정보서비스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의 온라인구매 의도가 높아지며 이는 고객관여도의 수준과 상관없다. 셋째, 고객관여도가 낮은 경우 정보품질이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못하며 인터페이스품질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고객관여도가 높은 경우는 정보품질은 유의적 영향을 주지만 인터페이스품질은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고객의 정보서비스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 및 인터페이스 품질 모두의 제고가 필요하며, 온라인구매의도의 경우 고객의 관여도 수준에 따라 중요한 품질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상품 구매사이트의 효과적인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고속정보통신망하에서 인터넷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Service Satisfaction in the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 조성빈;유한주;유왕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8-185
    • /
    • 2002
  • A few recent international surveys reported that Korea ranks the top with respect to the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ption per 100 people in the world. Such infrastructure has been bringing about broad changes in Internet service for both business and individual users.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a moderate size of sample proportional to the population of each region across country, we try to analyze what factors might explain the level of Internet service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security, searching, and convenienc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several factors such as sex, age, kind of network lines, usage frequency, e-mail usage, e-shopping, online problem experience might explain the different levels of Internet service satisfaction in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This study might shed a guidance to scholars conducting Internet-related studies and practitioners who plan information policies and business strategies.

관계마케팅활동이 관계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onship Marketing Activitie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 조상리;조삼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9-106
    • /
    • 2021
  •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관계 마케팅활동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온라인 채널에서 그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비대면 쇼핑상황에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구조적 활동이 관계만족과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온라인 점포 이용자 180명을 토대로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할인 형식의 경제적 활동과 쇼핑몰 내에서의 동선, 배송서비스와 같은 구조적 활동은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조적 활동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수준 p<0.05에서 사회적 활동은 관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p<0.01에서는 유의하다. 이는 온라인 점포에서 판매원과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비유의하게 나타났지만 그 방향성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 점포가 고객들과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면 이는 관계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가 이는 곧 경쟁 기업과도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roduct Category and Shopping Options of Logistic Service Quality

  • KIM, Ok;CHEON, Hongsik J.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8호
    • /
    • pp.113-1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roduct category (fresh vs. indulgent product) and shopping options (shipping charge and delivery tim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in an e-commerce context. When ordering groceries online, consumers begin to allocate a larger share of their grocery budget toward product categories that generally contain healthier items at the expense of product categories that generally contain more indulgent products. Moreover, customers are extremely sensitive to shipping options such as shipping charges and delivery tim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ssue at a more segmented level to focus on the impact that one dimension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 product category, shipping charge, and delivery time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test the theoretically derived priori hypotheses concerning product category, shipping charges, delivery time,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this research presented a scenario-based experiment. Eight treatment groups were assigned by the method of product category (fresh produce vs. indulgent product), shipping charge (free vs. paid), and delivery time (one-day vs. two to three days). A total of 240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exposed to one of the eight scenarios. Participant's purchase intention w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ANOVA and L-matrix were used to analyze for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between factors. Conclusions: Results indicated that in tests 1 and 2, free shipping and fast delivery time increased consumer satisfaction as well as purchase intent, and fast delivery moderated the impact of free shipping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Test 3 showed that the effect of free shipping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moderated by fast delivery for indulgent products. In contrast, fast delivery for fresh products moderated the effect of paid shipping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Consistent with this proposed mechanism, the relative importance of fresh produce versus indulgent products highlights the effect of shipping option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 when ordering the target product in an e-commerce context.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