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wood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8초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 장(欌)과 반닫이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A Case Study on Cabinet and Chest)

  • 박원규;김요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0
    • /
    • 2005
  • 우리나라 고건축 연구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연륜연대측정법을 전통 목가구에 응용하고자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장(欌) 1점과 반닫이 1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준연대기와 크로스데이팅 결과 각각 1839년, 1904년의 절대연대가 마지막 나이테에 부여되었다. 수피가 있는 장은 1839년에 벌채된 나무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닫이는 수피부분이 없어 가공시 없어진 변재부의 나이테 수를 고려하였을 때, $1930{\pm}10$년에 벌채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반닫이의 경우는 연륜연대에 의해 목재의 산지가 설악산 지역임이 밝혀져 '강원도반닫이'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륜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양식에 근거를 둔 기존의 미술사적 접근과는 다른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 목가구의 편년을 확립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37-448
    • /
    • 2018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차이의 유무를 알기위해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건함수율 및 생재함수율(인위적)의 산지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중은 심재부와 변재부에서 봉화군 소나무가 두 산지보다 높았으며, 고성군과 홍천군 소나무 사이에는 심재부에서는 고성군 소나무가 높고 변재부에서는 홍천군 소나무가 고성군 소나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재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고성군 소나무가 강도적으로 홍천군 소나무보다 클 것으로 판단된다. 수축율은 방사방향의 경우 산지 간 차이가 없고, 접선방향의 경우는 가도관장이 긴 봉화군 소나무가 높게 나타났다. 흡습율은 산지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소나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육종적으로 좋은 재질의 품종생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 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Difference by Damage Level -)

  • 권성민;전근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84-92
    • /
    • 2008
  • 강원도 양양 지역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피해 정도에 따른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해 정도에 따라 수피의 탄화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목질부까지 탄화가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수지의 삼출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산불 피해목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건전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심재의 경우에는 건전재보다 피해목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생재밀도는 피해재 심재가 건전재 심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변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형성층대를 관찰한 결과,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경우 형성층의 활동이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적 피해를 약하게 입은 경우에는 형성층의 활동이 관찰되었으나 세포분열 속도는 건전재보다 느렸다.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목재에서는 에피델리움세포와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짙게 염색되고 세포내에 과립형태의 물질이 관찰되었으며, 최외각 연륜 부위의 결정화도는 산불 피해재가 건전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심재, 변재, 형성층 및 사부를 포함한 뽕나무 심부 고온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Including Heartwood, Sapwood, Cambiun, and Phloem in Morus alba L.)

  • 노종현;강병만;정원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39
    • /
    • 2018
  • Background: Inflam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diseases, including ulcerative colitis, Behcet's disease, and rheumatoid arthrit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us alba L. extracts obtain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ater extraction or high temperature extraction) on RAW264.7 cells. Methods and Results: Extracts from the central part (including the heartwood, sapwood, cambiun, and phloem) and bark (including the periderm and cortex) of Morus alba L. were obtained using either water or high temperature extraction. The following extract were obtained: MA1, water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of Morus alba L., MA2,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of Morus alba L., MA3, water extract from the bark of Morus alba L., and MA4,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bark of Morus alba L. None of these extracts was observed to be cytotoxic to RAW264.7 cells. The MA2 extract reduced the production of LPS-induced NO (nitric oxide), $PGE_2$ (prostaglandin $E_2$), $TNF-{\alpha}$, IL-6, and $IL-1{\beta}$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ammatory response was moderated by MA2. Treatment with MA2 could be used as a natural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s involving inflammation. However, further experiments are required to determine how the high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alters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extract and influenc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us alba L..

목재(木材)의 오염(汚染)에 의한 변색(變色) (2) - 한국산(韓國産) 활엽수재(闊葉樹材)의 화학적(化學的) 변색(變色) - (Discoloration of Woods (2) - 36 Commercial Hardwoods Grown in Korea -)

  • 안경모;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55-60
    • /
    • 1986
  • Discoloration sensitivities of woods grown in this country haven't reported yet. Therefore we examined discoloration sensitivities of domestic wood specimens to iron (0.1 %, $FeCl_3.6H_2O$), alkali (pH 12.0, NaOH). acid (pH 1.0, $C_2H_2O_4$) and exposing to sunlight (40 hrs), Thirty-six hardwood specie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All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heartwoods of the collected species. But the specimens of 4 Betula species were divided into sapwoods and heartwoods. By iron stain, the color differences (${\Delta}E$) of 21 wood specimens including one Betula sapwood showed above 12.0, which means strong discoloration sensitivities, and of 3 specimens including one Betula sapwood showed below 2.5, which means weak discolorations. The most strong iron discoloration species was Jungkukgulpi-namu (Pterocarya stenoptera). By alkali stain, the color differences (${\Delta}E$) of 3 wood specimens showed above 9.0, which means strong discoloration sensitivities, and of 18 wood specimens including 4 Berula sapwoods showed below 2.5, which means weak discolorations. By acid stain, the color differences (${\Delta}E$) of 6 wood specimens showed above 10.0 which means strong discoloration sensitivities, and of 12 wood specimens including one Betula sapwoods showed below 2.5, which means weak discolorations. By exposing to sunlight, the color differences (${\Delta}E$) of 31 wood specimens including one Betula sapwoods showed below 6.5, which means, strong discoloration sensitivities, and of only one specimens showed below 2.5, which means weak discoloration. The most strong discoloration species by exposing to sunlight was Guirung-namu (Prunus padus). In general, it was shown that hardwoods grown in Korea were most subject to change of color by exposing to sunlight and next were by iron stain. Domestic hardwoods showed some differences in discoloration sensitivities from domestic softwoods previously reported.

  • PDF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양앵두나무 궤양병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김경희;노일섭;허재선;이승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80-84
    • /
    • 2005
  • 2003년 충북 괴산의 양앵두나무(Prunus avium L.) 재배 포장에서 궤양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궤양병 증상은 이른 봄에 병든 나무의 주지나 어린 가지 부위가 적갈색으로 마르면서 껍질이 쪼개지고 세균유출액이 흘러 나왔다. 잎에는 갈색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고 심하게 감염된 나무의 주지 또는 어린 가지에는 낙엽이 졌다. 궤양병 증상이 심한 주지를 잘라 보면 목질부의 조직들이 파괴되어 불규칙하게 적갈색으로 변색된 전형적인 궤양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환부로부터 병원세균을 분리하여 형태적 특성 및 생리${\cdot}$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세균은 양앵두나무와 매실나무의 잎에 병원성을 나타내었지만 복숭아나무, 벚나무와 참다래나무의 잎에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P.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해 양앵두나무에 발생하는 이 병은 궤양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Ji-Yeol;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66-675
    • /
    • 2020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 차이 유무를 알기 위해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측정한 역학적 성질은 압축강도, 경도 및 전단강도였다. 압축강도는 미성숙재에서 지역 간 차이가 없으며, 심재부와 변재부에서는 봉화, 홍천, 고성군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경도는 횡단면에서는 봉화군이, 방사 및 접선 단면에서는 고성군이 크게 나타났다. 전단강도는 심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변재부에서는 봉화군이 고성, 홍천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가도관장, 마이크로피브릴경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 간 재질특성의 차이 규명으로 국내산 소나무재를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또한 우수한 수형목을 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의 오-븐건조법에 의한 함수율의 원반내(圓盤內) 방사방향 분포 추이 평가(I) - 주요 국산 활엽수재를 중심으로 - (Determination of Trend of a Radial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within a Log Cross Section by Oven-Drying of Cirmcumferential Slices - For some of domestic hardwoods -)

  • 李南浩;李成元;崔竣淏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0-15
    • /
    • 2003
  • 본 연구는 주요 국산 활엽수재 원반에서 채취한 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를 오-븐에서 급속건조하면서 각 원반내 함수율의 방사방향 분포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변재부 또는 심변재경계부가 이미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에 도달하였으나, 최내측슬라이스는 아직도 약 40% 정도의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었다. 벚나무의 경우 최내측 슬라이스와 바로 인접한 슬라이스간의 수분경사가 건조시간이 경과하면서 더욱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음나무 원반에서는 생재상태에서는 심재부의 함수율이 변재부보다 약 23% 정도 더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러한 분포유형이 평균함수율 약 15%일 때까지도 지속되었다. 참중나무의 경우 전(全)건조기간에 걸쳐 외주측의 심변재혼합 슬라이스들과 최내측 슬라이스의 함수율이 나머지 부위의 함수율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 최용석;오세민;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481-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2, CUAZ-2,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 30%부터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완벽한 방부제 침투가 가능한 소나무 변재부에서 깊이에 따른 방부제 흡수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종류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CuHDO-1 처리 시험편에서 발생한 경사가 ACQ-2와 CUAZ-2 처리 시험편에서의 경사보다 심했는데, 특히 고함수율(25, 30%) 시험편에서 경사가 저함수율(15, 20%) 시험편에서보다 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난주입성인 낙엽송 심재부는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도 가 매우 불량하였다. 낙엽송 심재부의 처리도 개선을 위해 증기 전처리($121^{\circ}C$의 포화수증기 조건에서 12시간 처리)를 실시한 결과, 낙엽송 심재부의 침윤도와 흡수량 모두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 기준에 부합하게 처리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에서 공히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정착이 비건조 양생에 비하여 건조 양생에서 빨리 진행되었다. 소나무 변재부는 양생 초기 3~6일, 낙엽송 심재부는 양생 1일 이내에 3주간 정착된 구리 양의 95% 이상이 정착되었다. 양생 3주 후 처리목재 내에 미정착 상태로 남아있는 구리의 양은 ACQ-2, CuHDO-1, CUAZ-2 순으로 많았는데, 이는 처리용 작업액에 존재하는 구리의 양과 비례하였다.

춘천 조양루 목부재의 수종과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Joyangru Pavilion, Chuncheon, Korea)

  • 박서영;김상규;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0
    • /
    • 2009
  • Joyangru, which is located in Woodo mountain in Chuncheon, Korea, was a gate tower of Monsogak. There are little historical records about Joyangru except of the 20th-century records. To study about Joyangru history, a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We identified also the species of woods, We took 87 samples of wood elements for the species analysis and 13 samples for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e found 78 hard pines(Diploxylon), 4 Douglass-fir, 3 exotic hard pines(Pinus ponderosa type) and 1 Shorea sp.(Dipterocarpaceae). In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2 floor flames were dated in 1887 (with complete sapwood) and 2 beams in 1884. We concluded that Joyangru was reconstructed just after 1888, most likely in 1890 together with Monsoga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