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wood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2초

상수리나무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의 열판건조(熱板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ess-drying of Sapwood and Heartwood of Oak)

  • 정희석;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6-32
    • /
    • 1977
  • 저질재(低質材) 건조(乾燥)의 한 방안(方案)으로 상수리나무 판재(板材)를 열판건조(熱板乾燥)하였다. 열판건조조건(熱板乾燥條件)을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의 두께 1.5cm판재(板材)를 열판온도(熱板溫度) $175^{\circ}C$, 압력(壓力) 35psi로 건조(乾燥)항, 건조시(乾燥時) 내부온도(內部溫度),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 및 건조속도(乾燥速度)의 변화(變化), 건조시간(乾燥時間)과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건조재(乾燥材)의 치수변화(變化), 건조손상(乾燥損傷)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건조초기(乾燥初期)에 급격히 상승(上昇)하여 얼마동안 일정(一定)하게 유지된 다음 서서히 상승(上昇)하였다. plateau temperature는 심재(心材)가 변재(邊材)보다 높고 유지기간도 길었다. 2. 건조시간(乾燥時間)에 따라 건조속도(乾燥速度)는 감소(減少)하였고 변재(邊材)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logy=-2.7925-0.0811x, (r=-0.976), 심재(心材)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logy=-3.3382-0.0468x (r=-0.976)의 곡선(曲線)을 나타났다. 3. 소요(所要)되는 건조시간(乾燥時間)은 심재(心材)가 변재(邊材)보다 길었고, 변재(邊材)는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59%에서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2.5%까지 건조(乾燥)하였는데 45분(分), 심재(心材)는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64%에서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3.3%까지 55분(分)이 각각(各各) 소요(所要)되었다. 4. 건조재(乾燥材)의 평균(平均) 두께수축율(收縮率)은 20.4%, 평균(平均) 폭수축율(幅收縮率)은 2.5%이고, 평균(平均) 두께복원율(復元率)은 11.4% 평균(平均) 폭복원율(幅復元率)은 49.4%로서 두께는 폭(幅)보다 수축율(收縮率)은 컸으나 복원율(復元率)은 적었다. 5. 변재(邊材)는 내부할열(內部割裂) 등(等)의 건조손상(乾燥損傷)이 거의 없었으나 심재(心材)는 내부할대(內部割袋)이 심하게 나타났다.

  • PDF

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의 오-븐건조법에 의한 함수율의 원반(圓盤)내 방사방향분포 추이 평가 (II) - 주요 국산 침엽수재를 중심으로 - (Determination of Trend of a Radial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within a Log Cross Section by Oven-Drying of Circumferential Slices(II) - For some of domestic softwoods -)

  • 이남호;;최준호;황의도;진영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9-25
    • /
    • 2004
  • 본 연구는 주요 국산 침엽수재 원반에서 채취한 두께 3 mm의 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를 오-븐에서 급속 건조하면서 각 원반내 함수율의 방사방향 분포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소나무의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변재부는 매우 급속한 건조속도로 함수율이 감소한 반면, 심재부는 건조속도가 느려 오히려 생재함수율이 높은 변재부가 심재부보다 먼저 섬유포화점에 도달하였으나, 이러한 분포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낙엽송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3배 가량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러한 수분경사 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0%일때 까지 지속되었다. 은행나무의 경우 변재영역 내에서는 매우 고른 생재함수율 분포를 보였으며, 건조가 진행되면서도 어느 정도의 진폭은 존재하였지만 비교적 균일한 함수율 분포를 보였다. 삼나무의 경우 심재부는 생재함수율이 매우 낮아 건조 초기부터 수축이 개시되지만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고 있는 변재부에 의해 수축이 억제되므로써 심재영역 또는 이행재 영역에 인장응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편백나무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심재보다 훨씬 낮아 침엽수재의 일반적인 함수율 분포와는 정반대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함수율 분포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1%까지도 지속되었다. 측백나무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2배 정도 더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건조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분포는 빠른 속도로 약화되었다.

Raffaelea quercus-mongolicae와 Raffaelea spp. 인공접종에 의한 신갈나무 줄기에서의 병원성 평가 (Assessment of Virulence of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affaelea spp. Isola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Quercus mongolica Logs)

  • 손수연;서상태;박형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70-27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갈나무에서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지역별 균주와 기타 Raffaelea 속 근연종의 병원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갈나무에 다양한 균주를 접종한 후, 변재부 내 변색정도로 각 균주의 병원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변색부의 평균 측면 확산 정도는 국내에서 분리한 Raffaelea quercus-mongolicae 병원균(8.69 cm)이 일본 병원균(7.51 cm)이나 기타 Raffaelea 속 근연종(3.35 cm)의 평균보다 높았고, 국내 지역별 Raffaelea quercusmongolicae 균주간에는 변색부 측면 확산정도가 4.71-14.90 cm로 병원성의 차이를 보였다. 균주간의 변색부 면적 확산정도는 $1.57-8.42cm^2$로 서로 다른 병원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병원성은 강원도에서 분리한 YY와 전라북도에서 분리한 wj43에서 나타났다.

가열처리 및 탄화처리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목분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I) - 원소 분석, SEM, 질소 흡착-탈착 실험 - (Analysis of Structure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arbonized Pine Wood (Pinus densiflora S. et Z) Powder (I) - Elemental Analysis, SEM, N2 Adsorption-desorption-)

  • 이인자;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44-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소나무재 심재부와 변재부 목분 탄화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탄화 온도의 영향을 원소 분석, 질소-흡착 실험,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탄화물의 표면 구조 및 특성은 탄화 온도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그 의존성은 변재부(swd)와 심재부(hwd)에 관계없이 정성적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심변재부간 경도, 성분 및 조직학적 차이 등의 영향 때문에 hwd를 탄화한 경우가 swd를 탄화한 경우보다 비표면적은 크고, 평균 pore 지름은 작았다. 예비 탄화 단계에서 대부분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므로, 탄화물의 주성분은 탄소였다. 탄화 온도가 $700^{\circ}C$가 될 때까지는 미미하나마 탄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비표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800^{\circ}C$ 이상에서는 pore filling 및 narrowing 효과에 의하여 비표면적은 감소하였고, 특히 $900^{\circ}C$ 이상에서는 공극의 안쪽에 뿌리를 둔 육각 기둥 형태의 새로운 탄소 구조체가 형성되었다. 탄화물의 흡착 등온선은 type I, 흡착 등온선에서 보인 이력 루프는 type H4로 분류되었다.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Gorden)의 심부재(心腐材) (On the Pith-damaged Wood of Larix leptolepis Gorden)

  • 민두식;이세표;최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19-423
    • /
    • 1990
  • 낙엽송의 심부후재(心腐朽材) 형성 원인과 성장상태(成長狀態) 및 그의 조성분(組成分) 차이를 구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1. 낙엽송이 정상적인 생장을 한 10년생 까지는 그의 성장율이 32.4% 이었으나 심부피해가 있는 11-13년 사이는 19.4%로 13% 점감하고 있다. 그리고 심부후재 형성은 산화(山火)에 의한 수피(樹皮)의 화상부분(火傷部分)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낙엽송 임지(林地)의 산화피해로 생기는 심부후재로 인한 재적(材積) 손실(損失)은 약 20% 이상이 되고 있다. 2. 조성분에 있어 탄분(炭分) 함유량은 심재가 0.05%, 심부후재부가 0.08%로 변재 0.29%에 비하여 적은데 이러한 원인은 유출성분(抽出成分) 함량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Holocellulose 함유량은 54.3%에서 59.3%로 심재, 심부후재부 그리고 변재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다. Pentosan 함유량은 심재 6.3% 및 심부후재부가 6.6%로 변재보다 많았다. Lignin 함유량은 심재 34.4% 보다 심부후재부에서 감소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목재의 제강도(諸强度)가 열화(劣化)된다고 본다.

  • PDF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邊材) 침입경로(侵入經路)-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43-346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황장목(黃腸木)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Hearted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이애희;장재혁;박병호;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56-61
    • /
    • 2014
  •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Yellow-hearted pine and Red pine were investigated. Wood color, annual ring width and latewood percentage were observed by the naked eye. Anatomical properties as the structure of three sections and cell dimensions were examined by an optical microscopy. As a result, the color of bark in Yellow-hearted pine was Reddish-grey, and Red pine showed brown or gray. The color of heartwood and sapwood in Yellow-hearted pine was deep-yellow to brown and creamy-white. And the color of heartwood and sapwood in Red pine was light-brown and light-yellow. The annual ring width of Yellow-hearted pine was narrower than that of Red pine, and the latewood percentage of Yellow-hearted pine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Red p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Yellow-hearted pine and Red pine.

가구재 이용을 위한 백합나무 판재의 도장방법 (The Color Painting on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Board for Using Furniture Materials)

  • 박상범;이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49
    • /
    • 2013
  • Yellow poplar is well known commercial hardwood species in the world because of its availability, rapid growth, large size, excellent form, early natural pruning, and the good working quality of the wood. Therefore,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has been adopted in South Korea for decades ago, and its cultivating the saplings and silvicultural system have been studied. However, yellow poplar is still embroiled in controversy for utilization of use and worth. This species has not only advantages such as lower weight, light color, and higher machinability and bending processing, but also has disadvantages which are bad smell and different colors on heartwood and sapwood. In this study, the objective was that use of yellow poplar board as furniture materials by drying and painting process. Thirty years old yellow poplar was cut and dried for 7 days by high-frequency dryness. Adjustment of color tone to walnut color was conducted with multiple colorants and various number of spread times. Uniform color of yellow poplar on heartwood and sapwood was accomplished by applying 1 time stain (green), 2 times transparent primer, 1 time middle-painting (walnut), and 2 times top-painting (walnut) in sequentially. The painted yellow poplar board was used to manufacture table and dressing table. During the furniture manufacture process, no critical issues were occurred on part of jointing and painting. This painting method may be useful data for future use of yellow poplar as furniture materials.

  • PDF

Fungi Colonizing Sapwood of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 Kim, Jae-Jin;Ra, Jong-Bum;Son, Dae-Sun;Kim, Gyu-Hyeok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05-209
    • /
    • 2001
  • The Korean sawmills have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fungal discoloration due to increased losses in revenue. Before establishing integrated control strategies of fungal discoloration, more complete knowledge about causal organisms is needed. As a first step, we initiated a through survey of fungi colonizing commercially important softwood(Pinus dens flora, Pinus koraiensis, and Pinus radiata) logs and lumber in Korea. In this paper we report results obtained from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log study. In summer 2000, fungi were isolated from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595 fungi were isolated, representing 21 genera and 30 species. Mold fungi, mostly Trichoderma species,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ing fungi, representing more than half of all isolates. Dematiaceous fungi represented approximately one fifth of the isolates, and Rhinocladiella atorvirens was the most abundant in all samples. Opiostoma species represented 7% of all isolates from cores planted on malt extract agar(MEA) and the incidence of these species doubled with the addition of streptomycin and cycloheximide to MEA. The results indicate that Japanese red pine sapwood is susceptible to colonization by a variety of fungal species. As a result, control strategies that concentrate on one fungus may have limited success because of interference from competing flora.

  • PDF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辺材) 침입경로(侵入經路) -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5-328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 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