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roxenous speci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금강수계의 토지이용 및 수질구배에 따른 돌부착 돌말류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Relation to Land-Use and Water Quality in the Geum River System, South Korea)

  • 조인환;황순진;김백호;김용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3-291
    • /
    • 2014
  • To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atom communities in relation to the gradient of water quality and land-use, water samples and epilithic diatoms were collected from 90 sites including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the Geum River System (GRS) during no rainfall, May 2011. Of 239 taxa identified, Achnanthes convergens and Cymbella minuta were dominated over all the sites. Cluster analysis on the GR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G1) is the mountainous upstream, a relatively good water quality, and mainly consisted of saproxenous species. Group 2 (G2) is the urban sites, polluted (high in electric conductivity, total phosphate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and saproxenous and common species. Group 3 (G3) is the agriculture sites, and polluted (turbidity, total nitrogen, nitrate), and saprophilous species.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abiotic and biotic variables in GRS; biologically similar between G1 and G2, but abiotically similar between G2 and G3. These differences may attribute to not onl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atom cells, but complicate relationships between microhabitat and water quality. Thus, an urgent development of generalized or standardized methods to diminish the differences between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environments is advent.

한탄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antan River)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91-199
    • /
    • 2003
  • 한탄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2001년 1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6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전기전도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기인 8월에는 전기전도도가 낮았다. 용존산소량은 전 정점에서 차이가 작았으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정점에서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계절성보다 정점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엽록소 a 농도는 정점간의 차이 뿐만 아니라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집중강우가 있었던 8월에는 낮았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354종류로서 99속 320종 19변종 3품종 및 12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있다. 녹조강이 135종류, 녹조강이 134종류 그리고 나머지는 유글레나강 남조강, 황색편모조강 등이었다. 현존량은 8,600${\sim}$337,100cells/mL로 계절적 및 정점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하류 수역에서 높았다. 우점종은 상류 수역에서 생태군중에 호청수종인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chnanthes convergens 및 Cymbella minuta var. silesiaca와 광적응성종인 A. minutissima등이었고, 하류 수역에서는 호오탁성종 및 부영양상태에서 생육하는 Cyclotella meneghiniana, Chlamydomonas pseudopertyi및 Nitzschia palea등이었다. 식물플랑크톤현존량과 전기전도도, BOD, 총질소 및 총인과의 상관관계는 0.6 이상으로 오염도 및 영양염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녹조강의 현존량과 전기전도도, 총인은 0.6이상으로 높았으며, 엽록소 농도와의 상관계수는 0.84로서 높았다. A.convergens는 전기전도도, BOD와의 상관성이 -0.6으로 역의 관계인 반면에 N. palea는 0.8로서 정의 관계였다. N. palea와 총인, 총질소와의 상관계수는 0.7이상으로 영양염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강원도 평창강과 유입천의 부착규조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 김지원;이용;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1-537
    • /
    • 2012
  • The information about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s,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community of the epilithic diatom cells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were studied for assess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from June 2008 to October 2010. Total 112 diatom taxa were identified with 2 orders, 9 families, 26 genera, 95 species and 17 varieties. Among the total taxa identified, 13 taxa, 52 taxa and 15 taxa represented the family Achnanthaceae, Naviculaceae and Bacillariaceae,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the water was found to be neutral to alkaline due to the limestone grounds of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The 13 taxa including Epithemia adnata, belonged to alkaline-water diatoms, and three species - Cymbella japonica, Eunotia major and Fragilaria capitellata - are known to be acidic-water species. The species, Hannaea arcus, known as a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was identified at IF2, IF3 and IF4 in low water temperature environments at high altitudes, being a dominating species in P1 and IF1. Four saproxenous species -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turgidula and Hannaea arcus - were dominant at some sampling sites. For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F2, IF3 and P3 showed low water quality class. The values of DAIpo and TDI were 10.6 ~ 98.0 and 13.8 ~ 94.2, respectively. Therefore, biological water quality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was relatively desirable.

한반도 남부지역의 저수지에서 계절 변화에 따른 규조류 변화 기록 (Modern diatom seasonal variation records from the bottom sediments of reservoirs, southern area in Korean Peninsula)

  • 박영숙;이상헌;김동욱;이은미;김용미;전창표;김진철;최한우;신문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2권1_2호
    • /
    • pp.1-29
    • /
    • 2018
  •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저수지로부터 규조의 계절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지저수지, 죽토저수지, 월정소류지(남동부), 화영과 화동저수지, 월용저수지(남중부), 원선2제, 장동제와 만년1제(남서부)등 총 8곳으로부터 계절별로 수거한 저수지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규조를 분석한 결과, 남동부 지역에서는 우점종으로서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tener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Gyrosigma attenuatum등이 산출되었다. 남중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ploneis finnica, Fragilaria crotonensis등이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arvulum, Stenopterobia curvular가 역시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대부분의 우점종들이 청정수역에서 서식하는 종(Saproxenous taxa)들로서 이들 저수지의 수질 환경은 오염되지 않은 수역으로 생각된다. 계절별로 규조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욱 풍부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남동부의 저수지들에서는 2월보다 5월에 채취한 시료들에서 규조의 개체수 농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금강권역 주요 하천의 돌 부착돌말류 분포 및 출현예측 (Distribution and Species Prediction of Epilithic Diatom in the Geum River Basin, South Korea)

  • 조인환;김하경;최만영;권용수;황순진;김상훈;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53-167
    • /
    • 2015
  • 금강권역 (금강, 만경강, 동진강, 삽교천)의 돌부착돌말류 분포와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146개 지점의 토지이용, 수질 및 돌말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서 출현한 돌말류는 총 183분류군으로 1강 2목 3아목 9과 35속 162종 18변종 2품종 1아종이었으며, 우점종은 Nitzschia palea (10.9%), Achnanthes convergens (8.4%)로 밝혀졌다. 돌말류의 현존량을 근거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25% 수준에서 4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지리적 특성 및 수질환경은 그룹 I, II는 각각 금강의 상류와 중류 지점으로 주변에 숲 구성비가 높고 수질이 양호하였다. 그룹 III은 도시를 관통하고 농경지였으며 수질은 영양염 (TN, TP), 전기전도도 등이 높았다. 그룹 IV는 대부분 평야지대로서 농경지로 구성되었으며 수질은 탁도, BOD, 영양염, 전기전도도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CCA 결과는 그룹 I은 호청수성종 Meridion circulare가 지표종으로 해발고도와 숲의 영향을, 그룹 II는 광적응성종 Navicula cryptocephala가 Chlorophylla, AFDM, DO의 영향을 각각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III, IV는 각각 광적응성종 Fragilaria elliptica와 호오탁성 종 Aulacoseira ambigua 등이 전기전도도, 탁도, 영양염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그룹 I, II, III의 지표종들의 발생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으로는 공히 전기전도도였으며 그룹 IV는 탁도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금강권역의 돌말류의 분포는 수계의 고유성 보다는 주변의 토지이용도와 그로 인한 수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미소서식처에 대한 제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돌말류 분포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