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itiz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6초

초음파검사 시 기존 초음파젤과 비교한 손소독제의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and Sanitizer compared to Conventional Ultrasound Gel during Ultrasound Examination)

  • 서선열;이진옥;김영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57-964
    • /
    • 2023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성분과 제형의 손 소독제들을 전파 매질로 활용하여 초음파 검사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상을 평가·비교하여 기존의 초음파 젤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점도가 낮은 liquid type을 제외한 gel type, cream type, foam type의 제형의 제품들을 선정해 에탄올 62% gel type 1개와 cream type 1개, 벤잘코늄 염화물 0.066% cream type 1개와 foam type 1개를 각각 초음파 매질로 사용하여,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투과심도, probe와 phantom 사이의 공기층 형성유무에 관한 영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평가와 투과심도 평가에서 4개 실험군 모두 평가 기준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foam type의 경우 분해능과 투과심도의 평가 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영상 평가 시 관찰 중심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에서 어두운 음영으로 나타났다. 해당 실험을 통해 foam type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의 손 소독제는 초음파 젤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척란의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helf-life of Washed Shell Eggs)

  • 전기흥;박영신;유익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1
    • /
    • 1993
  • 세척란의 저장성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 중에서 저장중의 온도 및 습도는 계란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에서 저장하는 것이 품질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겠다. 또한 계란의 세척 시 사용하는 세척수의 온도, 이물질의 혼합 정도 그리고 세척방법도 계란의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세척 시 소독제를 처리한 시험구는 물만으로 세척한 처리구가 세척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계란의 부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난각의 표면에 도포제 처리를 한 경우에는 계란 내부의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외부로부터 미생물의 침투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와 세척란 또는 미세척란보다 저 장성이 연장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척란의 경우에도 난각의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고 적절한 처리를 할 경우 장기저 장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Ozone Micro-bubble Technique for Seed Sterilization in Alfalfa Sprouts

  • Kwack, Yurina;Kim, Kyoung Koo;Hwang, Hyunseung;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01-905
    • /
    • 2014
  • The efficacy of ozone micro-bubble water (OMBW)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s on alfalfa seed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surface of alfalfa seeds using microscopy and found that many cracks and crevices existing on the surface could harbor pathogens. Alfalfa seeds were treated with tap water (TW), micro-bubble water (MBW), ozone water (OW), ozone micro-bubble water (OMBW), and chlorine water (CL) for 5 min, and total microbial population, E. coli and Salmonella spp. colonies were determined. Also, the sterilized seeds were germinated and cultivated for 5 d after sowing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alfalfa sprouts. The treatments with OMBW and CL wer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otal microbial populations and E. coli was eliminated by OW, OMBW, and CL treatments. CL treatment reduced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and fresh weight of alfalfa sprouts, but OMBW did not cause any negative effects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alfalfa sprou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MBW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anitizer for eliminating seed-borne pathogens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seed viability.

He-Polymer Microchip Plasma (PMP) System Incorporating a Gas Liquid Separator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ne Levels in a Sanitizer Liquid

  • Oh, Joo-Suck;Kim, Y.H.;Lim, H.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595-598
    • /
    • 2009
  • The authors describe an analytical method to determine total chlorine in a sanitizer liquid, incorporating a lab-made He-rf-plasma within a PDMS polymer microchip. Helium was used instead of Ar to produce a plasma to achieve efficient Cl excitation. A quartz tube 1 mm i.d. was embedded in the central channel of the polymer microchip to protect it from damage. Rotational temperature of the He-microchip plasma was in the range 1350-3600 K, as estimated from the spectrum of the OH radical. Chlorine was generated in a volatilization reaction vessel containing potassium permanganate in combination of sulfuric aci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polymer microchip plasma (PMP). Atomic emission lines of Cl at 438.2 nm and 837.7 nm were used for analysis; no emission was observed for Ar plasma. The achieved limit of detection was 0.81 ${\mu}g\;mL^{-1}$ (rf powers of 30-70 W), which was sensitive enough to analyze sanitizers that typically contained 100-200 ${\mu}g\;mL^{-1}$ of free chlorine in chlorinated wat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devised PMP system in the food sciences and related industries.

살균제의 처리에 의한 신선엽채류의 미생물 감소 (Microbial Reduction of Fresh Vegetables by Treatment of Sanitizing Reagents)

  • 박헌국;김상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6-441
    • /
    • 2004
  •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부응한 고품질$.$안전 농산물 생산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미생물 안전성이 확보된 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생식으로 섭취되는 엽채류 중에서 상추에 잔류하는 미생물을 경감시키기 위한 살균액 처리방법들 중에서 농민들이 생산 단계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90% 이상(1/10 수준으로)의 효과적인 미생물 경감 효과를 보이는 3% 과산화수소수 용액에서 1분 이상 침지하는 방법을 최적의 미생물 경감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농산물 생산단계에서 농민들이 이용한다면 농산물의 안전성 증진 및 부가가치 향상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신선 농산물의 가공 연구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새싹채소 생산현장에서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in situ of Each Process in Seed Sprouting)

  • 전소윤;김태훈;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71-976
    • /
    • 2009
  • 건강 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류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산단계별 위해분석과 안전성 기준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장에서 새싹채소의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새싹채소 종자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각각 3.04~5.21 log CFU/g, 1.80~3.86 log CFU/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독유무에 관계없이 재배기간 동안 일반세균(6.99~8.26 log CFU/g) 및 대장균군수(3.70~7.15 log CFU/g)는 증가하였고, 최종 새싹채소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독된 종자의 발아 후 전 단계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종자소독을 하지 않은 국내산 무와 유채에서 E. coli가 검출되었고, 국내산 적무에서 E. coli와 식중독균인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es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종자생산에서부터 새싹채소의 생산 전 단계에 걸친 HACCP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에어로졸 형태의 상업적 살균소독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 평가 (Inhibitory Effect of Aerosolized Commerci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이선영;정진호;진현호;김영호;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5-242
    • /
    • 2007
  • Aerosolization 기술은 미생물 제어를 위한 살균처리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에 새로운 살균처리 방법으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종류의 상업적 살균소독제를 aerosol 형태로 model cabinet에서 처리하여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과산화수소계와 4급암모늄계를 aerosol 형태로 처리했을 때 세 가지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살균력을 관찰하였으며 반면에 다른 종류의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요오드계, 알콜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을 거의 저해하지 못하거나 아주 약한 저해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우수한 살균력(> 4 log reductions)을 나타냈으며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특히 aerosol형태의 4급암모늄계가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어 9 log 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1.6 MHz와 2.4 MHz 진동자를 비교하였을 때 살균소독제의 종류와 처리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처리 효과와 특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Aerosolization 기술은 새로운 살균기법으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나 응용되는 살균소독제의 종류에 따라서 살균효과에 차이가 크고 미생물이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표면 등의 처리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기술의 응용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조건과 다양한 미생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식품가공공장 현장에서의 살균소독제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 박희경;박병규;신혜원;박대우;김용수;조양희;이광호;강길진;전대훈;박기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42-1047
    • /
    • 2005
  •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사용되는 제품의 저장기간별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식품가공 시 살균소독제 사용전후 미생물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네 가지 대표 살균소독제의 보관기간 별 살균력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개월 간 저장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8개 식품가공공장에서 실제 사용 중인 살균소독제를 테스트한 결과, 살균소독제 사용 전 일반세균수는 $10^1-10^5CFU/cm^2$, 대장균군수는 $10^1-10^2CFU/cm^2$, 대장균은 $10CFU/cm^2$ 미만이었으며 살균소독제 사용 후 일반세균수는 $10^1-10^3$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모두 사멸시키지는 못하였다. 살균소독력 지속여부를 S. aureus 와 E. coli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권장사용농도에서 alcohol계, hydrogen peroxide계, QAC계 제품은 2개월간 그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chlorine계 제품은 개봉 2주 이내에 8 log에서 4 log로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법적으로 인정을 받은 살균소득제는 in vitro에서 S. aureus와 E. coli를 5 log 감소시켜 그 살균력을 인정받았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그 정도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개봉 후 즉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될 경우 그 효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살균소독력 시험법 확립 및 살균소독력 평가 (The Establishing Test Method of Bactericidal Activity and the Evaluating of Korean Disinfectants/Sanitizers Efficacy)

  • 김형일;이광호;곽인신;엄미옥;전대훈;성준현;최정미;강한샘;김용수;강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38-843
    • /
    • 2005
  • 살균소독제의 살균소독력 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세균현탁액 시험법(bacterial suspension test)에 대해 연구하였다. 살균소독력은 G(-)인 E. coli ATCC 10536과 G(+)인 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 $20{\pm}1^{\circ}C$에서 $5min{\pm}10^{\circ}sec$간 반응하였을 때 초기근수를 5 log이상 감소시키고, 또한, 시험검증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하여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유통 중인 살균소독제 제품 36종에 대하여 확립된 시험법으로 살균소독력을 시험한 결과 모든 살균소독제는 제조자가 제시한 사용농도에서 살균소독력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식중독 균에 대한 살균효과도 관찰되었다. 확립된 시험법은 살균소독력을 측정하는 국가표준시험법으로서 살균소독제의 살균소독력 평가에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