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y-clay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7초

Release Pattern of Urea from Metal-urea-clay Hybrid with Montmorillonite and Its Impact on Soil Property

  • Kim, Kwang-Seop;Choi, Choong-Lyeal;Lee, Dong-Hoon;Seo, Young-Jin;Park, M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5-550
    • /
    • 2011
  • Urea intercalated into montmorillonite (MT) exhibits remarkably enhanced N use efficiency, maintaining its fast effectiveness. This study dealt with the release property of urea from metal-urea-clay hybrid with MT (MUCH) under continuous-flow conditions and the cumulative impacts of its successive applic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Releases of urea were completed within 4 hrs under continuous-flow condition regardless of the types and the leaching solutions. However, urea release proper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both the form of fertilizer and the presence of electrolytes in solution. The fast release property of urea from MUCH in continuous-flow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and soil texture. In addition, its successive application did not lead to any noticeable change i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ter stable aggregate rat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n both sandy loam and clay loam soils. Therefore, this study strongly supported that urea intercalated into MT could be applied as fast-effective N fertilizer, in particular for additional N supply.

$B_t$ Band의 형성 과정 (Origin of Banded $B_t$ Horizons in Sandy Deposits)

  • 오경섭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5
    • /
    • 1989
  • 한국과 서부 유럽의 사질층에 발달해 있는 $B_t$ band의 성인은 퇴적학적인 현상과는 무관하다. 그렇다고 토양학적인 사고만으로도 설명될 수 없다. 본 연구 결과 $B_t$ band는 사질층이 형성된 후 시기를 달리하여 다음과 같이 두 부류의 물질이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이동.집적되어 형성되었다. 1)먼저 silt중심의 heterometric fine grains과 운모류들이 결빙과 관련된 cryophoresis에 의해 이동되어 이들이 사질층 단면에서 밴드 형태로 집적되었고 2)다음에 철분을 함유한 점토가 토양수에 의해 이미 형성된 맨드에 집적되어 결국 적색의 $B_t$ band가 형성되었다. 이 두 과정에서 전자는 토양의 결빙이 지표에서 3m 정도 이상까지 진전될 정도로 한랭하고 습윤한 환경과, 후자는 podzolization이 진행되는 정도의 냉량.습윤한 환경과 관련된다. 오늘날 갈색토화작용(brunification)이 진전되는 우리나라와 서부 유럽의 경우, $B_t$ band의 polygenetic한 성인과 관련된 한랭.습윤한 환경들은 제4기 근자(주로 Wurm빙기 이래)의 고환경으로 추정된다.

  • PDF

해안구조물 축조를 위한 해양연약지반의 강제치환 특성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Centrifuge Model Tests on Characteristics in Forced Replacement Method for Soft Ocean Ground to Build Coastal Structures)

  • 박병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8
    • /
    • 2006
  • This paper shows the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a replacement method in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For this experimental work,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a replacement method in soft clay ground. Basic soil property tests were performed to fi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lay soil sampl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ich was used for the ground material in the centrifuge model tests. The reconstituted clay ground of the model was prepared by applying reconsolidntion pressure in a 1 g condition with a specially built model container.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artificially accelerated gravitational level of 50 g. Replacement material of lead with a certain degree of angularity was used and placed until the settlement of the replacement material embankment reached a state of equilibrium.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eplacement material was monitored during tests. The depth and shape of the replacement, especially the slope of the penetrated material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clay ground were measured after finishing tests. Model tests for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an embankment after backfilling were also perform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a dike treated with replacement and backfilled with sandy material. As a result of the centrifuge model test, the behavior of the replacement, the mechanism of the replacement material being penetrated into clay ground, and the depth of the replacement were evaluated.

열수변질 점토맥이 사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델링 연구 (Modeling Study for Effects of Hydrothermal Clay Vein on Slope Stability)

  • 조환주;조호영;정경문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2호
    • /
    • pp.185-196
    • /
    • 2010
  • 열수변질에 의한 점토맥이 존재하는 사면 발생시 사면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괴면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접촉면 조건과 비접촉면 조건으로 분류하여 점토맥의 점착력, 내부마찰각, 방향성, 지하수위, 강우강도, 강우 지속시간 등의 인자에 따라 점토맥이 사면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 모델링 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지반 정수가 클수록 사면 안전율이 증가하였다. 사면 내 지히수위가 상승하면 사면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토양에 대한 강우 침투 모델링 결과 이질토는 강우강도에 따라 다양한 지하수위 발달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사질토는 빠른 배수로 인해 지하수위의 상승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점토맥이 존재하는 사면에서 사질토는 이질토에 비해 사면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사질식양토와 식토토양에서의 중금속의 용탈과 파쇄곡선 (Breakthrough Curves and Elut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Sandy Clay Loam and Clay Soils)

  • 정덕영;노현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28
    • /
    • 2006
  • 본 실험은 포화수분상태에서 두개의 서로 다른 토양의 흡착가능장소에 대한 흡착능과 경쟁에 따른 Cd, Pb, 그리고 Cr 이온의 이동성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수용성상태로 단일, 이중, 삼중의 중금속 조합을 이용하였다. 두개의 토양시료는 밭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20 cm 이내에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공극수량에 따른 출현과 용출곡선을 중금속용액과 치환용 K 이온용액을 가하여 각각의 곡선이 최대와 최소치에 이은 시점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출현과 용출곡선은 대칭을 이루지 않았으며 용액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의 종류가 증가됨에 따라 용출곡선의 미행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극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출현과 용출곡선을 기준하여 곡선의 위와 아래의 면적을 비교하여 본 결과 출현 후 K에 의한 용출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아 K에 의한 중금속 탈착은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중금속이온이 가지는 전기음성도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토양내에서 중금속이온의 이동은 토양내에서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의 종류가 2개 이상 존재하는 한 토양의 물리적 비평형과 용액상태의 화학적평형이 중금속이온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사질식양토와 식토에서 중금속 이온의 다중 경쟁 흡착 (Competitive Adsorption of Multi-species of Heavy Metals onto Sandy Clay Loam and Clay Soils)

  • 정덕영;노현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38-246
    • /
    • 2005
  • 두 가지 이상의 중금속이온이 토양에 존재할 때 토양입자표면에 흡착되는 중금속 이온은 복합적인 경쟁이온치환과 특정결합기작에 따라 흡착량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충남 논산과 대전시 유성에 소재하는 밭토양에서 채취한 사질식양토와 식토를 공시토양으로 하여 중금속의 다중경쟁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경쟁흡착은 조사 대상 중금속인 Cr, Cd, 및 Pb를 토양용액에 처리 농도를 달리하여 단일, 이중, 삼중체계로 처리하였다. 등온흡착은 평형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중과 삼중체계에서는 동일 평형농도에서 흡착량은 각각의 중금속이온의 농도와 중금속 전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가지 중금속이온의 이중경쟁 흡착특성은 전기음성도는 낮으나 이온포텐셜이 높은 Cr 이온이 경쟁이온 보다 선택적 흡착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Cd와 Pb가 Cr 흡착에 미치는 영향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3중 경쟁 흡착 시 중금속 이온의 흡착량이 단일과 이중 경쟁흡착보다 증가하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다중 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의 흡착기작과 다중 형태상의 중금속이온의 반응식, 그리고 반응식에 따른 가수분해상수를 구하여 흡착정도와 경쟁 상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다중 중금속이온이 존재하는 상태 하에서 흡착친화도는 토양 내 중금속이온의 이동성과 불용화 및 가용화 사이의 분배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methyl 토양중(土壤中) 흡착(吸着), 이동(移動) 및 분해성(分解性) (Adsorption, Movement and Decomposition of New Herbicide Bensulfuron-methyl in Soils)

  • 장익선;문영희;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5-170
    • /
    • 1987
  •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신규제초제(新規除草劑) bensulfuron-methyl의 흡착(吸着), 이동(移動), 분해성(分解性)을 화학적(化學的)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연구(硏究)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흡착(吸着)은 토양중(土壤中)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점토(粘土) 함량(含量), C.E.C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으며, 분배계수(分配係數) Kd 값은 식양토(埴壤土), 양토(壤土), 사양토(砂壤土)의 순위(順位)였으며, 점토광물(粘土鑛物)에서는 zeolite, bentonite, halloysite의 순위(順位)로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내었다. Bensulfuron-methyl은 2종(種)의 토양중(土壤中)에서 0~2cm층(層)에 농밀(濃密)한 처리층(處理層)을 형성(形成)하였으며, 식양토(埴壤土)에서는 3cm까지 사양토(砂壤土)에서는 4cm까지 이동(移動)되었다. 토양중(土壤中) bensulfuron-methyl의 분해속도(分解速度)는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따라 약간의 차이(差異)를 보였고, 살균토양(殺菌土壤)에서는 비살균토양(非殺菌土壤)에서 보다 분해(分解)가 아주 느렸다. 토양중(土壤中)에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는 분해속도(分解速度)를 촉진(促進)시켰으며, $20^{\circ}C$의 토양(土壤)에서보다 $30^{\circ}C$의 토양(土壤)에서 분해(分解)가 월등히 빨랐다.

  • PDF

저시멘트 소일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특성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Low-Cement Soil Concrete)

  • 박종범;양근혁;황철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다량 활용한 소일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발현에 대한 결합재-흙의 비(B/S) 및 물-결합재비(W/B)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부분 치환재로서 바이패스 더스트 10%, 고로슬래그미분말 40%,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 25%가 사용되었다. 저시멘트 결합재와 함께 사질토 또는 점성토를 사용하여 18 소일콘크리트 배합이 실험되었다. 실험결과 소일콘크리트의 유동성은 대상토(점성토 또는 사질토)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W/B에서 B/S가 클수록 증가하였다. 압축강도는 점성토 콘크리트보다 동일 배합조건을 갖는 사질토 콘크리트에서 컸다. 산업부산물 다량 활용 소일콘크리트의 배합은 압축강도 및 고유동성을 고려하면 대상토에 관계없이 B/S가 0.35 그리고 W/B는 175%가 추천될 수 있었다.

토양에서 유기화합물질의 침투 거동 연구 (Analysis on the Seepage Behavior of Organic Contaminants in Soil)

  • 이준호;한선향;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9-496
    • /
    • 2013
  • 지하수계의 근간을 이루는 토양시스템은 유기화학물질에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 놓인다. 이러한 토양의 유기화학물질 침투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점토, 실트 및 모래로 구성된 실험장치에 유기화학 물질 이동실험을 하였다. Chloroform, 1,1,1-trichloroethane 및 trichloroethylene은 토양을 통해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며, 투과된 오염물질의 질량은 전체 질량의 최소 4.6에서 최대 19.2% 범위를 보였다. Tetra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1,2-dichlorobenzene 및 1,3-dichlorobenzene은 토양 흡착에 의해 이동이 지연되어졌으며, 각 매개체의 0.6 ~ 4.8%가 표층에서 여과되는데 이용되었다. Carbon tetrachloride는 거의 투과되지 못하였고, 단지 0.1 ~ 0.4% 질량만이 침투거동에 도달하였다. Bromoform은 거의 투과되지 못하였으며, 브롬화(Br) 화합물의 중간 전환물질로도 확인되었다. 유기화학오염물들의 이동은 토양입자크기 및 수리전도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여겨지나 본 연구에서는 유기화학오염물들의 이동은 점토, 실트 토양보다 모래 토양에서 더욱 빠르게 나타났다.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 (Growth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Affected by Soil Texture and Ground Water Levels)

  • 이호진;김수형;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85-593
    • /
    • 1994
  • 사양토와 식양토 두 토성에 대하여 각각 25, 35, 50, 70, 100cm의 지하수위가 조절가능한 시험구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가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용되는 두가지 청예사료작물인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작물별 적정지하수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작물 모두 사양토에서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며 옥수수는 사양토의 지하수위 100cm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며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은 사양토 지하수위 70cm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2.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토성차이 및 지하수위 차이에 따른 생육의 변이가 적어서 옥수수에 비해 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뿌리 해부구조 관찰결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찾아내기는 어려웠으며 옥수수에서 피층조직이 파괴된 경우가 더 많았고 부위별로는 중간부분과 끝부분에서 피층조직이 파괴된 경우가 더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