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y sediment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Sediments of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 Park, Yong Ahn;Song, Moo Yo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24
    • /
    • 1971
  • Over 40 bottom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detailed textural characteristic of the sediments, percent calcium carbonate and heavy and light mineralogy were determined. Seaward of these sediments is a nearly broad belt of sandy sediments. In a broad outline it is considered to constitute a near-shore deposits left from a Pleistocene time of eustatically lowered level of sea water, because the sediments on the outer half of the continental shelf are much coarser than that nearer shore. The carbonate content increases strongly to the southeast and northwest of Cheju Island. It is believed that the high calcium carbonate content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availability of carbonate materials.

  • PDF

한국 대한해협 대륙붕 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세립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ottom sediments from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Korea Strait and some geochemical aspects of the shelf fine-grained sediments)

  • 박용안;김경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56
    • /
    • 1987
  • 한국 동남해역의 일부, 남해해역의 일부 및 대한해협의 대륙붕에 관한 해양지 질학적이며 지구화학적 관점의 기초 해양학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해서의 대륙붕은 미세지형도인과 표층 퇴적물의 분포패턴등으로 내 대륙붕과 외대륙붕으로 구분되었다. 즉 내 대륙붕과 외 대륙붕의 경계지형은 약 80m수심의 해서이며 내 대륙붕의 해저는 해안선의 방향과 평행하는 발달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외 대륙붕 의 해저는 한국해협 해곡(KSR)등을 크고 작은 기복지형을 나타낸다. 내 대륙붕의 표층 퇴적물은 이토(mud)와 사질 실트로 구성된 세립질 퇴적상이며 외 대륙붕은 조립질 퇴적물(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잔류퇴적상(relict sediment facies)을 나타낸 다. 내 대륙붕의 퇴적물은 외 대륙붕의 퇴적물보다 높은 $\varepsilon$$_{A1}$ 보이나 Ni, Cr, Cu 등의 오염영향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Zn, Pb 등의 원소에 관한한 오염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지역의 탄성파층서는 음향기 반암과 강한반사면 R에 의한 3층서단위로 구성된다. 이들은 하부로부터 기반암(음향), 하부퇴적층(B) 및 상부퇴적층(A)이며 상부퇴적층은 현세 퇴적층이며 하부퇴적층은 선 현세(pre-Holocene)퇴적층이다.다.

  • PDF

한국 서안 장구만에 발달한 조간만대의 퇴적상 및 퇴적구조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 김준래;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1985
  • 서해안 장구만에 발달하는 조간대에서 24개의 표층시료 및 18개의 코아를 채 취하여 퇴적물의 조직 및 퇴적구조를 조사하였다. 이 조간대 지역은 대체로 silt flat, sandy-silt flat, silty-sand flat 으로 구분되며 해안선에서 바다쪽으로 갈수 록 입도가 조립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코아의 X-ray촬영에 의해 나타나는 퇴적구 조는 bioturbation, current ripple laminae, parallel laminae등이며 지역에 따라 현저 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Bioturbation구조는 1차적으로 형성된 물리적 퇴적구조를 파괴하고 있으며, 만조선 쪽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current ripple laminae 는 bioturbation정도가 비교적 적은 silty-sand, sandy-silt지역에 잘 나타나 며, 몇번의 창조류와 낙조류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사층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내 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ilt/clay호층의 두께 1mm이하의 층리로이루어 져 있는 반면, 외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and/silt/호층의 두께 1~5mm 의 층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The Occurrence of Glauconite Grains on the Continental Shelves off the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Morphology and Origin

  • Lim, Dhong-Il;Park, Yong-Ahn;Cho, Ju-Whan;Choi, Jin-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2호
    • /
    • pp.113-121
    • /
    • 1999
  • Glauconite grain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outer shelf surficial sandy sediments of the Korean continental shelves. Morphologically, these grains are characterized by ovoidal-shaped pellets with bulbous exterior, greenish color and moderately well polished surface. In thin sections, the glauconite grains are massive and contain numerous impurities composed mainly of quartz, feldspar and mica. The morphologies and microscopic examinations indicate mainly fecal pellet as a parent matierials for glauconite. SEM examination shows that glauconitic smectite crystals grow in pores and along fractures of the host grains, commonly as a boxwork arrangement or rosette clusters of blades. Bulbous external shape, high potassium content and rosette-shaped smectite structure, reflect the evolved stage (more than 10$^4$ years in age) of glauconite authigenesis. Moreover, the association of the glauconite grains with the relict sandy sediments on the outer shelf, impliesthat the glauconite grains are geologically old, or at least have formed un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different from the present shelf.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the glauconite grains, therefore, might be primarily related with redeposition of sediments transported from the outer shelf during Holocene transgression.

  • PDF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원소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Size and Element Distribution in the Coastal Bottom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 은고요나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195-204
    • /
    • 2000
  • order to investigat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 concentrations of sediments, coastal bottom sediments were collected at 20 stations in the vicinity of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After air drying of samples in the laboratory. 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examined by Master sizer (X-350F), radio-activity by HPGe ${\gamma}$-spectrphotometer, and element concentrations by ICP-AES and AAS.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alysis , sediments are mainly composed of silt fraction weith 23% of sand, 65% of silt and 12% of clay on average. Most sediments are derived from muddy environment that silt dominat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5.3${\varsigma}$ mean particle size, poorly sorted, very fine skewed and lepto-kurtic. Only two sediments are well sorted with sandy silt owing to wind, winnowing action, tide and current andits complex reactions.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coastal bottom sediments are relatively high at finer sediment and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in size. Index of geoaccumulation by heavy metals at every sampling station is classified as practically unpolluted. The radioactivities of the sediments were measured for 15 isotope elements, and 2 elements of K-40 and Cs-137 were detected in most sediments. The K-40 is the natural nuclide and the artificial nuclide of Cs-137 was thought to be derived from the fallout of past nuclear weapon te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rain size and radioactivity shows that the activity of Cs-137 significantly increases in finer grain.

  • PDF

임자도-낙월도간 해역의 퇴적환경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Coastal areas of Imja to Nakweol Islands)

  • 유환수;고영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1-258
    • /
    • 1993
  • 우리 나라 서남해안의 임자도와 낙월도 주변해역은 해안선의 굴복이 매우 복잡하 며 북동-남서 방향으로 대상의 사퇴가 잘 발달되어 있어 이 해역에 분포하는 표층퇴적 물의 특성과 퇴적환경을 규명하기 위해 총 40개소에 걸쳐 채니기 등으로 시료를 채취 하여 퇴적학적 및 미고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해역은 퇴적물의 입도 분포상 니질 사 역 퇴적상, 사 퇴적상, 실트질 사 퇴적상, 사질 실트 퇴적상, 실트 퇴적상의 5개 퇴적상으로 분류되었으며,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 결과 평균입도, 분급도, 왜도 및 첨도 등은 광역적으로 산포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입도특성은 일반적으로 천해퇴 적상이 지니는 특징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의 퇴적물 중 사질퇴적상을 보이는 부분에서 산출된 석영립들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들은 대체로 고에 너지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한때는 대기 중에 노출되었을 가능성 등이 시사되며 전체 적으로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 중에는 다양한 기원의 쇄설성 입자들이 혼재된 것 으로 해석된다. 연구해역에서 산출된 규편모류와 mammoplankton은 각각 1속 6종과 5속 5종이 산출되었는데 이들 미생물 유해들의 군집 분석 결과 연구해역의 퇴적물들은 온 난수괴의 영향아래 퇴적물의 재동현상이 비교적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다. 또한 유기물 및 탄산염의 함량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설정하기는 어려웠다.

  • PDF

조간대 퇴적 환경에 따른 저서미세조류 색소와 총 아데노신 3인산(ATP: Adenosine-5' triphosphate)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Total Microbial Biomass by ATP in Intertidal Sediments)

  • 하선용;최보형;민준오;전수아;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39-50
    • /
    • 2013
  •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os in tidal flats were studied by HPLC analysis and also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Adenosine-5' triphosphate (ATP) as an index of total microbial biomass in intertidal environments (muddy and sandy sediment) of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ATP concentration in muddy sediment were the highest at the surface while the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in sandy sediment was the highest at the sub-surface (0.75 cm sediment depth). The detected pigments of microphytobenthos were chlorophyll a, b (euglenophytes), $c_3$, peridinin (dinoflagellates), fucoxanthin (diatom or chrysophytes), diadinoxanthin, alloxanthin (cryptophytes), diatoxanthin, zeaxanthin (cyanobacteria), ${\beta}$-carotein, and pheophytin a (the degraded product of chlorophyll a). Among the pigments which were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was the highest, indicating that diatoms dominated in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of the tidal flats.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C (Organic Carbon) and ATP in both sediments. However,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ATP concentration was found in sandy sediment, suggesting that microbial biomass could be affected by labile OC derived from microphytobentho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help u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and microbial biomass in different intertidal sediment environments.

동해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에 관한 지구물리해석 (Geophysical study about gas hydrate formation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강동효;류병재;유동근;박장준;구남형;김원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0-681
    • /
    • 2009
  • On the basis of seismic interpretation, seismic indicators of gas hydrate and associated gas such as bottom simulating reflector (BSR), acoustic blanking, column structure, gas seepage, enhanced reflection were identified in the Ulleung Basin. Fractures, faults, sandy layer could be the migration pathways transporting fluid and gas to stability zone. The formation of gas hydrate in the Ulleung Basin include: (1) nodules, veins, layers in muddy sediments and disseminated forms in sandy layer within localized column structure, (2) disseminated forms in sandy layer, and (3) disseminated forms in sandy layer just above BSR.

  • PDF

아산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s in the Asan Reservoir)

  • 기보민;임보미;나은혜;최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10
  • 하구형 호수인 아산호(평택호)에서 방조제 근처의 A지점과 상류 하천이 유입되는 B지점을 선정하여, 퇴적물 성상과 퇴적물에서 발생하는 영양염 용출량을 측정함으로써 퇴적물이 아산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산호의 퇴적물은 sandy loam으로 이루어져있고, 대부분의 인이 Nonapatite-P(64.7%)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수중의 pH 상승이나 혐기성 상태로의 전환 등에 의해 다량의 인이 퇴적물에서 용출되어 수체의 부영양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4월이 6월에 비해 용출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방조제 근처인 A지점에서는 질소, 유입지천의 합류점인 B지점에서는 인의 용출이 활발히 일어났다. 용출율과 퇴적물의 표면적을 이용해 일일 평균 용출량을 계산해보면, TN는 6,609 kg/d, TP은 3,877 kg/d로 유입지천으로부터 유입되는 TN의 93,616 kg/d 중 7.06%, TP의 17,590 kg/d 중 22.04%에 해당되는 값으로, 아산호의 퇴적물이 저수지 수질에 미칠 영향은 적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서해 강화 갯벌의 퇴적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in the Kanghwa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박장준;이연규;제종길;최재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7-178
    • /
    • 2004
  • 강화 남단 갯벌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가장 규모가 큰 갯벌 중의 하나이다. 조석은 전형적인 반일주조로 최대조차가 약 10m 이다. 강화 남단 갯벌은 한강 수계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이 유입된다. 연구지역에서 2003년 8월에 83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 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래 펄 퇴적물은 강화 남단 갯벌에서 우세하였고, 반면에 모래 퇴적물은 강화도 서부의 수로와 조하대에서 우세하였다. 이 지역의 1997년 8월 퇴적상과 비교하여 모래 펄 퇴적물은 갯벌의 동쪽으로 확장 되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채취한 3점의 주상 시료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 결과, 사층리 모래층,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생물교란 실트등 세 개의 퇴적상이 인지되었다. 이들 퇴적상의 분포는 조수로 인근 지역이 전반적으로 퇴적률이 높으며, 특히 동검도 동쪽 갯벌에서 최근 급격한 퇴적 작용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수리학적 관측을 위하여 2003년 6월에 염하수로의 초지대교 부근(K1)과 동검도 남부 수로(K2)에서 12시간 30분 동안 정선 관측을 실시하였다. 잔여유속 계산 결과 이 지역은 썰물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 수층의 부유물질 양에 의하여 계산된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은 한 조석 주기 동안 염하수로에서는 외해로 309,217.9kg/m가 유출 되며, 동검도 남부 수로에서는 외해로 128,123.1kg/m가 유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검도 남부 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의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이 높은 것은 갯벌의 동부에 한강에서 유입된 많은 부유물질이 퇴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