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e subject

검색결과 1,274건 처리시간 0.028초

슬괵근 단축이 있는 27세 남자 만성요통환자의 ATM, 슬링운동치료 적용 후 통증수준의 변화-사례연구 (Change to Pain's Level of Chronic Back pain patient With Hamstring Shortening in 27year's old After Application to Active Therapeutic Movement (ATM) and Sling Exercise-Case study)

  • 유웅식;전차선;원상희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4-71
    • /
    • 2009
  • Purpose: to purpose prevent to dysfunction and decrease to pain level use to active therapeutic movement and sling manual, stability exercise in shortening hamstring chronic back patient. Methods: The patient's complain was Buttock and Lower Back Pain due to dysfunction posture work. The subject's initial Pain Scale was 60 of 100(VAS). The Subject Treatment to Sling Mobility exercise, Home exercise, ATM, Sling Stability exercise, sensory motor training During 8weeks for 18 times. Results: The result was Visual Analog Scale(VAS)was decreased 10 of 100 after treatment. Conclusion: Visual Analog Scale(VAS)was decreased 10 of 100 after treatment. Functional Leg Length Was recover to same level. Trunk Flexibility was increase to 18cm. Active Knee Extension ankle was decrease to $15^{\circ}$ limit range of motion due to Lt. Hamstring Shortening limit range of motion $30^{\circ}$. GPS(Gobal Postural System)test was recover to same level. This case study need to sufficient data and times.

  • PDF

앉은 자세에서 동적 작업을 수행할 때 작용하는 관절 모멘트의 통계학적 해석 (A Statistical Analysis of Joint Moments Acting on Men Performing a Seated Dynamic Task)

  • 정호일;손권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권2호
    • /
    • pp.161-173
    • /
    • 1991
  • 앉은 자세에서 동적 작업을 수행하는 6명의 실험대상자에 작용하는 관절 모멘트에 대해 통계학적인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곧게 앉은 자세에서 1kg의 물체를 오른손에 들고 가슴 앞쪽에서 어깨 높이로 물체를 왕복으로 움직이는 작업에 대하여 미시간대학 생체역학 실험실에서 얻은 실험자료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대상자에게 동일한 작업을 3 번씩 수행하게 하여 얻은 자료를 기초로 3 차원 생체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손목, 팔꿈치, 어깨관절, 세번째 요추관절, 고관절, 무릎 및 발목과 같은 주요 관절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계산하였다. 관절 모멘트의 실험대상자 사이의 차이와 수행 사이의 차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선형상관계수와 이원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세번째 요추관절에서 가장 큰 크기의 모멘트가 작용하였고 가장 큰 변화량을 나타내었으며, 모멘트와 본 연구에서 시도한 모멘트의 차원을 갖는 량 사이에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으며, 각 관절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최대값과 변화량은 3번의 수행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동일하지만 6 명의 실험대상자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동일하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I) -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Aesthetic Images in Men s Bodies and Fashion(I) - Focused on Eroticism in Men s Fashion-)

  • 이민선;김민자
    • 복식
    • /
    • 제51권1호
    • /
    • pp.163-17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eatures of eroticism expressed in men's fashion, to explain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xts which engender eroticism and to analyze in what way eroticism is portrayed in men s fashion in this context. Eroticism as the metonymy of forbidden sexual desire, has been embodied mostly in visual forms such as picture and photo. From a psychoanalytic view, the context in which eroticism is formed can be explained by primary narcissism and fetishism. Primary narcissism is the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the self in which the subject who is admiring and the object of admiration are one and the same. Accordingly, in order to give rise to eroticism, both subject and object have to exist. Fetishism, the metonymy of castrated penis, is also one of the factors to produce eroticism. Metaphorically seen as a woman who has a penis, a man who dresses in the same manner as a woman dresses can be a source of eroticism to gays. From a sociological view, the context in which eroticism is fostered depends on the dynamic relations among social powers. In these relations, who is a subject or who is an object has been continuously changing. In the Post-modern culture appearing in the late 20th century, power begins to take various forms, and gays and women who had never been subjects begin to make man an object of eroticism. The other point is that social morality, ignoring desire itself, objectifies sexual desire and seeks to remove It by exchanging it for objectified symbols. The design elements provoking eroticism in men s fashion are exposure and decoration. In particular, models in exposure and decorative fashion have been objectified through the methods of fragmentation rather than showing the whole figure or removing a person s individuality or will,.

  • PDF

에릭 휘슬(Eric Fischl)의 "비둘기의 삶", 구조분석과 해석 (A Structure Analysis & Interpretation of Eric Fischl's $\lceil$The Life of a Dove$\rfloor$)

  • 오세권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4권
    • /
    • pp.123-146
    • /
    • 2002
  • [ $\lceil$ ]The Life of Pigeons$\rfloor$ consists of seven different canvases without a leading image It contains fragments of disassociated ordinary subjects from a capitalistic and consuming society. In this respect, the text itself attains multiple meanings throughout with inner disharmony, disassociation and relationships of differences. The divided seven images look as if they are connected as one and are connected events that are happening at the same time and in similar places. A liberal interpretation of this work is given to viewers when the seven canvases have both relations and gaps at the same time. $\lceil$The Life of Pigeons$\rfloor$ attempts the viewer's disruption through its middle stratum of meaning structure, which is a device for viewers to rearrange and deeply analyze the seven images. As a result, the artist allows the viewers to get lost in self-contradiction. A fundamental formal structure adopting post-modernism and abandoning modernism is what we can detect with detailed analysis of the work. For instance, changing surface style appears by dividing or putting images in obliquely, furthermore it clearly shows that the main subject is divided in form such as the subject's division into seven spaces. There 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First, the form of the images is divided and composed through oblique and overlapped images. Second, the main content of the subject tends to be scattered. Third, the subjects are interpreted in multiple meanings due to their allegory and symbolism. The inquiry of $\lceil$The Life of Pigeons$\rfloor$ proves that it takes a post artistic spirituality as its basis and its subjects are divided by the differences and surrounding relationships.

  • PDF

굽힘 하중을 받는 딤플형 내부구조 금속 샌드위치 판재의 최적설계변수의 수식화 및 파손선도 (Formulation of Optimal Design Parameters and Failure Map for Metallic Sandwich Plates with Inner Dimpled Shell Structure Subject to Bending Moment)

  • 성대용;정창균;윤석준;안동규;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27-136
    • /
    • 2006
  • Metallic sandwich plates with inner dimpled shell subject to 3-point bending have been analyzed and then optimized for minimum weight. Inner dimpled shells can be easily fabricated by press or roll with high precision and bonded with same material skin sheets by resistance welding or adhesive bonding. Metallic sandwich plates with inner dimpled shell structure can be optimally designed for minimum weight subject to prescribed combination of bending and transverse shear loads. Fundamental findings for lightweight design are presented through constrained optimization. Failure responses of sandwich plates are predicted and formulated with an assumption of narrow sandwich beam theory. Failure is attributed to four kinds of mechanisms: face yielding, face buckling, dimple buckling and dimple collapse. Optimized shape of inner dimpled shell structure is a hemispherical shell to minimize weight without failure. It is demonstrated that bending stiffness of sandwich plate is 2 or 3 times larger than solid plates with the same strength. Failure mode boundaries and iso-strength lines dependent upon the geometry and yield strain of the material are plotted with respect to geometric parameters on the failure map. Because optimal parameters of maximum strength for given material weight can be selected from the map, analytic solutions for maximum strength are expressed as a function of only material property and proposed strength. These optimal parameters match well with numerical optimal parameters.

공공도서관 동시 대출 도서의 주제 연관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opical Associations of Simultaneously Borrowed Books in Public Libraries)

  • 강우진;정인영;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3-55
    • /
    • 2023
  • 공공도서관 대출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행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동시에 대출한 도서들의 주제 분야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이루어진 대출 도서 984,790권의 한국십진분류기호를 활용하여 같은 날 동일한 이용자에 의해 대출된 도서 목록의 집합인 동시 대출 건수 22,443,699에 대해 ITEM2VEC 기법을 적용하여 분류기호를 벡터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연관성이 높은 분류기호를 10개씩 추출하였으며, 총 522개의 분류기호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네트워크에서는 15개 커뮤니티를 식별하였으며, 커뮤니티별 주요 특성을 파악하였다. 15개의 커뮤니티 가운데 두 개 이상의 주류로 구성된 커뮤니티에서는 요목 수준에서 의미 있는 주제적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도서 이용행위에 기초하여 함께 대출될 가능성이 있는 자료의 주제를 파악한 것으로 도서관 장서 구성 및 배치, 관련 주제 분야 자료 추천, 분류표 개정 등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Teacher's Recognition and Needs about STEA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 성용구;김방희;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8-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16개 시 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750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655매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611매(보통교과 234매, 전문교과 377매)의 응답지를 바탕으로 실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교과 교사에 비해 전문교과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TEAM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보통교과 교사가 전문교과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요구에서는 보통교과 교사는 참고자료 보급을, 전문교과 교사는 동일 교과 간 STEAM 수업 및 자료 공유 시스템 마련이 최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 재정적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행정적 업무경감이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음악요법의 한의학적 활용을 위한 신뢰도 및 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Oriental Medical Music Therapy Using)

  • 송민선;최찬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4-68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pplying oriental music therapy and reliability of electroencephalogram(EEG) equipment.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critical trial judge committee from ${\bigcirc}{\bigcirc}$(IRB No. 2013-07) university. In order to measure test-retest reliability for 15 subjects, EEG for sam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same method mentioned above after 2 hours from the first measurement. Same provider implemented to each person at same time. Firstly, EEG was measured for 5 minutes after the subject with attached electrodes sat on chair comfortably for 10 minutes. Then, the subject was given mental stress using the four 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s for 5 minutes, and measured EEG for another 5 minutes. After that the subject sat on the chair comfortably listening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for 5 minutes, and EEG was measured for 5 minutes again. There was no side effect regarding music therapy reported. Raw data, which was measured in each step, were converted through FFT(fast fourier transform) and analyzed after divided into certain frequency including ${\alpha}$ wave, ${\beta}$ wave, ${\theta}$ wave, immersion wave, stabilization wave, sef100 wave, and sef95 wave.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e SPSS program. In test-retes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lpha}$ wave, ${\beta}$ wave, immersion wave, stability wave, ${\theta}$ wave, sef100 wave, sef95 wave. ICC has shown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that it was ${\alpha}$ wave .877, ${\beta}$ wave .855, ${\gamma}$ wave .895, immersion wave .897, stability wave .816, ${\theta}$ wave .904, sef100 wave .910, sef95 wave .776.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pha}$ wave after applying oriental music therap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average of the channel EEG and application of oriental music therapy would be practiced by increase of sample size using this machine.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 신은지;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소재의 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STS 관계와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후 학생들은 STS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과학 영재 학생들은 실험 도구와 기술이 과학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과학 기술만으로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과학이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들은 동일 주제로 여러 시간 진행한 집중 탐구, 동료 평가 등을 이용한 다른 조원과의 의사소통, 같은 조원과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탐구 과정에서 도구를 개선하는 활동, 익숙한 재료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등을 통해 STS의 관련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중학생 대상의 과학 영재 수업에서 학생들이 STS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 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 동일 주제로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경험,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구의 개선 경험, 동일한 주제로 탐구 활동을 진행하는 동료와의 의사소통경험, 다른 조와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경험, 학생에게 익숙한 소재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활동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농업계 고등학생들의 동일계 대학 전공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방안 탐색 (Exploration on the Strategies of Organizing Curriculum for Improvement of Major Basic Competencies in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o University by Departments Identical to Their Major)

  • 김진구;이건남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61-83
    • /
    • 2010
  • 이 연구는 농업계열 동일계 대학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는데 필요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의 보통교과목 및 전문교과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계 대학 전공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방안 모색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유의 표집을 통해 선정된 8개 농업계 대학의 116개 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계 대학 전공 학과들의 보편적인 학문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체적으로 기초과학능력에 해당되는 생물 및 화학 교과목이 전공기초능력과 관련성이 높았지만, 농업기계와 농업토목 기준학과에서는 수학 및 물리, 농산물유통정보 기준학과에서는 경제 및 수학 교과목의 관련성이 높았다. 둘째, 동일계 대학 전공교과목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는 데에는 언어능력 및 외국어능력과 같은 기초수학능력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식물자원은 재배, 동물자원은 동물자원, 식품가공은 식품위생, 농업기계는 농업기계 등과 같이 전공기초능력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농업생명산업계열 전문교과목은 교육과정상의 9개 기준학과별로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동일계 대학 전공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반드시 선 이수해야 할 전문교과목 및 중요도 역시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넷째, 동일계 대학 전공기초능력 향상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농생명산업계열 전문교과목들이 대체적으로 기본 개념 및 원리, 법칙 등을 실생활에 응용 또는 탐구할 수 있는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지만, 식품가공 및 조경 기준학과에서는 실험 실습 내용을 중심으로, 생물공학 기준학과에서는 학문 이론적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