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y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6초

도시지역 미취학 어린이의 Na 섭취 및 배설에 관한 연구 (Soldium Intake &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Urban)

  • 김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6호
    • /
    • pp.669-678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sodium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 To determine the sodium intake &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 dietary behaviors, anthropometry, intakes of dietary nutrients,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preference for salty foods were measured in 42 preschool children (male 26 , female 16, average6.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daily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52.7 mEq(1,212.1mg). This value did not show remarkable change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d that were accomplished in the similarage group for about the last ten years. And the subjects showed lower preference for salty taste than tho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ults. Mean daily lower preference for salty taste than tho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ults. Mean daily urinary sodium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eating out (p<0.01), potassium intake(p<0.001) and urinary sodium to potassium excretion ratio(p<0.001). But there weren't any correlations with mean daily sodium intake, blood pressure, dietary nutrients intake and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 PDF

혈액투석 환자 대상 영양교육과 상담이 짠맛 미각, 영양지식 및 식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the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Hemodialysis Patients)

  • 이영미;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2-41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the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21 hemodialysis patients. Five times of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hree times of nutrition counseling were performed for a period of 5 months. Bi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high (p < 0.001),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albumin were significantly low (p < 0.05, p < 0.01) and Na, K, Cl, K, P and uric ac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tribution rate of unsalty tas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salty tas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low after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 < 0.001).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improved following 5th month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 < 0.01). Particularly, the scores for questions related to sodium were improved. The dietary attitu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counseling period (p < 0.05). There were improvements in responses to 'use food exchange list on diet' and 'habitually add salt or soy sauce before the meal'. According to these results,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hemodialysis diet therapy practices of hemodialysis patien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re was a need for low-salt diet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to help them recognize the taste of low-salt foods and strive towards a preference for less salty tasting foods and the consumption of a low-salt diet.

태풍 볼라벤에 의한 제주도 방풍림 조풍(潮風) 피해 (Salty Wind Damages in Windbreak Forests of Jeju Island by Typhoon Bolaven)

  • 최광희;최광용;김윤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3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서 태풍에 의해 야기되는 조풍(潮風) 발생 및 식생에 나타난 피해의 시 공간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8월 하순 제주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BOLAVEN)의 통과시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이후 야외답사를 수행하여 제주도 식생에 나타난 조풍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풍해는 주로 제주도 남부 및 동부 해안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풍이 동반한 강한 남동풍과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이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조풍에 의해 해안에서 약 8km 범위 내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와 해안지역의 곰솔(Pinus thunbergii)을 포함한 대부분의 식생이 피해를 입었으나, 그 피해정도 및 회복력은 수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조풍에 의한 식생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강풍성 마른 태풍이 접근 시 조풍해 발생을 예측하고 방제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high sodium foods and dish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ong Malaysian subjects

  • Choong, Stella Sinn-Yee;Balan, Sumitha Nair;Chua, Leong-Siong;Say, Yee-How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238-24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a list of 15 commonly available high sodium Malaysian foods/dishes, dis cretionary salt use, and their possible association with demographics, blood pressu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ong 300 Malaysian university students (114 males, 186 females; 259 ethnic Chinese, 41 Indians; 220 lean, 80 overweight). French fries and instant soup noodle were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and most frequently consumed salty food, respectively, while salted fish was least preferred and least frequently consumed. Mal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frequency of at least 6 of the salty foods, but the preference of most salty foo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Ethnic Chinese significantly preferred more and took more frequently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Malaysian foods like asam laksa (a Malaysian salty-sour-spicy noodle in fish stock), salted biscuits and salted vegetable, while Indians have more affinity and frequency towards eating salty Western foods.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frequency of canned/packet soup and salted fish while wai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ference of instant noodle. Also, an increased preference of potato chips and intake frequency of salted biscuits seemed to lead to a decreased WHR. Other than these, all the other overweight/obesity indicators did not seem to fully correlate with the salty food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Nevertheless,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asam laksa seemed to be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s for blood pressures. Finally, increased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high sodium shrimp paste (belacan)-based foods like asam laksa and belacan fried rice seemed to discourage discretionary salt use.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the high sodium belacan-based dish asam laksa seems to be a good predictor for ethnic difference, discretionary salt use and blood pressures.

Effects of Lifestyles, Dietary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n Sensitivity to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s of Korean Women

  • Lee, Hong-Mi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8권4호
    • /
    • pp.185-192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ensitivity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s of Korean adult females. Sensitivity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s were determined as detection threshold concentration of NaCl solution and the optimally-preferred NaCl concentration of the bean sprout soup, respectivel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the information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self diagnosis of stress, health-related lifestyle practices,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s. Dietary intake using 24-hours recall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Salty taste detection thresholds and optimally-preferred NaCl concentrations were 0.0197% and 0.357%,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ptimally-preferred salt concentration and age, despit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ither sensitivity or preference for salty taste and sodium intake, which was 3,605mg/day. Those who had bread or cereal with milk as breakfast instead of a traditional Korean meal and those who preferred jjigae to soup had significantly higher NaCl preferences for bean sprout soup. Going to bed after midnight and skipping meals (${\geq}3/week$) decreased salty taste sensitivity without reac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Self awareness of one's own health, recent weight changes,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sleep quality, getting-up time, rate of eating and other food preferences did not affect either perception. Stress level, TV watching, BMI and sodium intake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to sensitivity or preference. Further research including a large number of well-controlled subjects and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sodium intake should be directed to find other factors affecting salt preference and sensitivity in order to decrease Na intake and related diseases.

서울시 일부 학부모의 나트륨 관련 식행동 및 미취학 자녀의 식행동과의 관련성 (Sodium-related Eating Behaviors of Parents and Its Relationship to Eating Behavior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예슬;이홍미;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thers' eating behavior and salty taste and its relationship to their preschool children's eating behavior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self-report after getting permission from sixty one mothers who had preschool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focused on mothers' salty test and salt-related eating behavior of both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Results: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score between mother and their preschoolers showed that mothers' score was lower than their preschoolers' one. Salty foods with high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by mothers and preschoolers were 'salted dry fish, stock fish' and 'soup, stew, noodle soup'. In addition,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n most of the salty food items. Intake of Ramen s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01) between the two groups. Preschoolers ate less ramen soup compared to their mothers. Conclusion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better than the mothers' one. However,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Therefore, mothers should have an appropriate eating behavior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채식을 하는 여승과 비채식 성인여성의 혈중 지질수준, 혈당, 혈압에 관한 연구(II) -짠맛에 대한 기호를 중심으로- (A Study of Serum Lipid Levels, Blood Sugar, Blood Pressure of Vegetarian Buddhist Nuns and Non-Vegetarian Female Adults (II) - Based on Favored Salty Taste -)

  • 차복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71-876
    • /
    • 2002
  • 우리나라에도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채식과 짠맛에 대한 기호와 혈청 지질 수준 및 혈당, 혈압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채식을 하는 비구니스님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조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채식인 44.2세, 비채식인 40.5세, 채식인의 평균 채식기간은 13.2년이었으며, 채식인은 주로 매운맛, 단맛, 신맛의 순으로 비채식인은 단맛, 신맛, 매운맛의 순서로 좋아하였다. 채식 기간별로는 10년 이하인 군과 20년 이상인 군에서는 매운맛,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느끼하고 기름진 맛의 순으로 좋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20년 사이인 군에서는 매운맛, 쓴맛, 신맛, 단맛, 짠맛, 기르지고 느끼한 맛의 순으로 좋아하는 맛이 바뀌었는데 이는 건강지식과 건강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대상자중 ‘식사시에 짜게 먹는 편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채식인 38.8%, 비채식인 52.8%로 비채식인이 짜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다.’고 한 사람이 채식인 33.9%, 비채식인 33.6%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싱겁게 먹는다’고 한사람은 채식인 27.3%, 비채식인 13.6%로 채식인이 싱겁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 점수는 채식인은 25.1, 비채식인은 23.1로 채식인의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또한 채식기간별로는 채식기간이 10년 미만인 군에 비해 10년 이상인 군의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동맥경화지수는 두 군 모두 싱겁게 먹는다고 한 군에 비해 짜게 먹는다고 한 군에 비해 짜게 먹는다고 한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압은 두 군 모두 짠맛에 대한 기호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중성지방, HDL-cholesterol, 혈당은 두군 모두 짠맛에 대한 기호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본 연구와 동일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I에서 본 바와 같이 채식군은 비채식군에 비해 BMI, RBW, WHR, %BF가 유의적으로 높았음(p<0.05)에도 심혈관 질환 관련인자인 총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AI, 수축기 혈압 및 혈당이 비채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을 뿐만 아니라 (p<0.01) 짠맛에 대한 기호는 혈중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AI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채식인은 비채식인에 비하여 식사시에 싱겁게 먹고 식습관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지만 채식을 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수준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의 예방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젊은 여성에서 짠맛 역치 및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나트륨 섭취 간의 상호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resholds and self-assessed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 심유진;양윤정;양윤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88-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 한국 여성의 짠맛 역치 및 선호도를 측정하여 음식섭취빈도법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관련되어 있는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섭취 기여 음식을 조사하였다.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음식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나트륨 증가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나트륨 감소 식행동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중에는 식탁에서 소금과 양념간장의 사용, 외식과 배달음식의 빈도, 국, 찌개, 국수류의 국물 섭취, 레토르트나 가공 식품의 이용, 생채소의 섭취, 싱거운 맛에 대한 수용태도 등의 항목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나트륨 섭취 기여음식 중에는 라면, 순두부찌개, 총각김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등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어, 짠맛 선호도가 이들 식행동 및 음식을 통해 높은 나트륨 섭취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상과는 달리 짠맛 검출 및 인식 역치는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 증가 및 감소 식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식품체계가 아닌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한 짠맛 역치보다는 자기 평가된 짠맛 선호도가 개인의 평상시 나트륨 섭취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더 좋은 지표로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평상시 나트륨 섭취 정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나트륨 섭취 수준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강도평가를 통한 짠맛증진효과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 윤소정;차경희;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51-756
    • /
    • 2015
  • 소금의 과량 섭취가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간장, 액젓 등이 짠맛을 증진한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간장과 액젓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 멸치를 효소 가수분해한 eHAP의 짠맛 증진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일한 소금농도의 용액에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짠맛 증진효과도 증가하여, 50 mmol/L의 용액에 2%의 eHAP를 첨가하였을 경우 $67.79{\pm}6.35%$의 짠맛 강도를 인지하였으며, 용액의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eHAP의 첨가에 따른 짠맛 증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짠맛 증진 효과는 멸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다량 함유하고 있는 $\small{L}$-lysine과 $\small{L}$-arginine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에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0.1%에서 2%까지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 최소 0.37%에서 최대 35.58%의 짠맛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멸치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이 염미 증진제로서 향후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직장인 대상 저염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Salt Reduction Program for Employees)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4호
    • /
    • pp.350-357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시 8개 병원과 사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 251명을 대상으로 교육집단 166명, 비교육집단 85명으로 나누어 5주간 저염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화 교육프로그램 실시 결과 교육전 두 집단간의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치에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후 교육집단의 경우 미각판정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또 한 교육 후 영양지식, 짜게 먹는 식태도 및 식행동이 비교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2) 교육집단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외식 빈도가 잦을수록, 외식비가 높을수록 짜게 먹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각판정치와 짜게 먹는 식행동 및 식태도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짜게 먹는 식태도와 나트륨 섭취량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태도가 나쁠수록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