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and fermented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초

염농도가 다른 새우젓에 존재하는 유해가능 세균의 초고압 살균 (High Hydrostatic Pressure Sterilization of Putrefactive Bacteria in Salted and Fermented Shrimp with Different Salt Content)

  • 목철균;송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98-603
    • /
    • 2000
  • 열처리에 의한 식품의 성분변화 손실을 줄이기 위한 비열처리 기술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초고압 처리를 적용하여 저염발효 새우젓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염농도 8%로 $20^{circ}C$에서 6주간 발효한 새우젓의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은 $1.6{\times}10^3\;CFU/g$,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9.3{\times}10^3\;CFU/g$이었고 18%의 새우젓에서의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은 $1.4{\times}10^4\;CFU/g$,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1.7{\times}10^\;CFU/g$이었다. 새우젓을 압력 $3,500{sim}6,500$기압, 시간 $5{\sim}40$분의 범위로 초고압 살균하였을 때 압력과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살균효과가 증가되었으며 사멸패턴은 1차반응으로 확인되었다. 압력을 6,500기압으로 고정하고 10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유해가능 세균은 본 연구방법의 검출한계인 $10^2\;CFU/g$수준에서는 경출되지 않았다. Vibrio선택배지 검출균의 $D_p$값은 염농도 8%보다 18%에서 더 높았으며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18%보다 8%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과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 모두 염농도 8%에서의 $Z_p$값이 염농도 18% 경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초고압 공정은 저염발효 새우젓의 살균에 응용될 수 있었으며 최적 고압살균조건은 6,500기압에서 10분간 처리하는 것이었다.

  • PDF

감자 마쇄물을 이용한 멸치젓갈의 숙성 조절 (The Control of Fermentation Conditions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by Homogenate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 변한석;이태기;여생규;박영범;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26
    • /
    • 1994
  • 감자 마쇄물을 이용하여 멸치젓갈의 숙성조절에 관하여 연구 검토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 마쇄물 $8\%$(w/w) 첨가구(P)가 숙성 전 기간에 걸쳐 육과 액즙에서 아미노 질소 함량이 낮게 유지되었으며 육의 외관도 거의 변화없이 유지되어 숙성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숙성초기 아미노 질소 함량이 낮게 유지되고 pH 및 생균수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이 숙성억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염 오이지의 최적 발효기간에 대한 연구 (Optimization of the Fermentation Period of Lightly Salted Oiji (Traditional Korean Cucumber Pickles))

  • 김금정;양지원;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3-360
    • /
    • 2019
  • To optimize the fermentation period of lightly salted Oiji, 3% salt was added to cucumbers that were fermented at $27{\pm}1^{\circ}C$ for 3, 4, 5, 6, or 7 days, after which their physical properties (moisture content, salinity, pH, acidity, hardne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cceptance test, difference test) were evalu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at day 6. Hardness slowly increase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 pH was highest after 3 days of fermentation, and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with the largest drop occurring between 4 and 5 days, and the lowest pH occurring between 6 and 7 days. Acidity was lowest after day 3 of fermentation and highest after day 7. Acidity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eriod lengthened. The L-value tended to decrease as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value declined from day 3 to day 5, then increased significantly by day 7. The b-value was highest after 7 days, with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Acceptance test results were highest f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The difference test showed that the optimal lightly salted Oiji fermentation period was approximately 5 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ghtly salted Oiji fermented for 5 days produced the highest acceptance.

한일양국(韓日兩國)의 전통식품에 관한 식품학적(食品學的) 비교연구(比較硏究) -한국김치, 일본지물(漬物)과 젓갈류(類) 중(中)의 무기질 함량의 차이(差異)- (Food Scientific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Korean and Japanese Foods -Difference of inorganic cation contents between Kimchi, Japanese pickles and Salted and fermented fish intestines-)

  • 김자헌태랑;김천호;김전상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5-222
    • /
    • 1991
  • 한국의 김치와 일본의 지물(漬物), 그리고 한일양국의 젓갈류는 공통(共通)의 전통식품이다. 이들 식품을 식품학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은 한일양국간의 식문화의 공통성과 상위성 그리고 독자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고 보아 금번 이들 전통식품의 무기질을 분석, 비교 검토했다. 1. 한국의 김치 중의 식염농도는 1.8%이고 일본지물(日本漬物)는 $1.8{\sim}5.3%$(저농도 조미지물(漬物) : 2.8%, 일본산김치 : 1.8%, 간장지물(漬物) : 5.3%)이다. 2. 김치의 Na/K치는 1.7이고 지물(漬物)의 Na/K치는 $2.6{\sim}27.3$(저조미농도지물(漬物) : 4.6, 일본산김치 : 2.6, 간장지물(漬物) : 27.3)이다. 3. 김치는 지물(漬物)보다 식염이 적고 Na/K치가 낮으므로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식품으로 볼 수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4. 김치 중의 K, Ca, Mg는 지물(漬物)보다 현저하게 높다. 5. 김치 중에는 어개류를 통해 들어온 Ca량(量)이 높고 지물(漬物)에는 식물성식품에 의한 Ca이 들어 있다. 6. 한국의 젓갈은 일본에 비해 식염과 Na양이 많고 Na/K치도 높다. 이상의 결과에서 양국간에 유사성이 보이는 김치와 지물(漬物)에서 그 재료와 식습관상의 차이점이 나타났고 김치는 다양한 식품이 혼합되어 복합적인 맛을 내나 일본은 단순, 단백한 맛을 기호하는 각각(各各)의 특징이 보이고 있다.

  • PDF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lted Seafood (jeotgal)-Originated Strains with Excellent S-adenosyl-L-methionine (SAM) Production and Probiotics Efficacy

  • Kim, Min-Jeong;Park, Sunhyun;Lee, Ran-Sook;Lim, Sang-Dong;Kim, Hyo Jin;Lee, Myung-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5-72
    • /
    • 2014
  • This study is executed to develop probiotics which produce S-adenosyl-L-methionine (SAM), a methyl group donor of the 5-methyltetrahydrofolate methylation reaction within the animal cell. SAM is an essential substance for the synthesis, activation, and metabolism of hormones, neurotransmitters, nucleic acids, phospholipids, and cell membranes of animals. The SAM is also known as a nutritional supplement to improve brain functions of the human. In this study, the SAM-producing strains are identified in 18 types of salted fish, and then, the strains with excellent SAM productions are being identified, with 1 strain in the Enterococcus genus and 9 strains in the Bacillus genus. Strains with a large amount of SAM production include the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En. faecium and En. durans, En. sanguinicola, as well as various strains in the Bacillus genus. The SAM-overproducing strains show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certain harmful microbes in addition to the weak acid resistances and strong bile resistances,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It is possible that the jeotgal-originated beneficial strains with overproducing SAM can be commercially utilized in order to manufacture SAM enriched foods.

주정을 이용한 멸치액젓의 탈염공정 및 품질특성 (Desalting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a Spirit)

  • 장미순;박희연;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3-9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멸치액젓에 주정을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소금의 용해도를 낮춤으로서 소금을 석출시키는 탈염방법을 활용하여 저염 멸치액젓의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주정을 활용하여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성분,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대장균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판 멸치액젓에 대해 주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멸치액젓의 염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멸치액젓 100 mL에 대해 주정을 각각 100% 및 300%(v/v)를 첨가한 경우에 멸치액젓의 염도는 14.3% 및 10.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염도 23%인 식염수 용액의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탈염처리 한 멸치 액젓의 총질소 함량은 1.20%이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784.03 mg/100 g으로, 시판 멸치액젓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및 leucine이었고,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탈염처리 한 멸치액젓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valine, lysine 및 isoleucine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정을 이용하여 소금을 원하는 농도만큼 특별한 장비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멸치액젓의 탈염공정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을 사용하여 멸치액젓을 탈염하는 방법은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맛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저염 멸치액젓 상품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인류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즙장의 전통적 유형과 제조방법의 고찰 (A Review on Preparing Methods of Traditional Jeupjang)

  • 정순택;박양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3
    • /
    • 1999
  • Jeupjang like salted soybean paste with vegetable is the Korean traditional side order eating at table. Bibliographical studies on the Jeupjang in historic books such as Jeungbo-Sanlim-Keongjae(Re-edition of agriculture economic), Imwon- Keongjae Ji(Book of country economic) and Keuhap-Chongseo(Handbook of household) described the Korean food in the 18 century carried out. In addition, investigation and analytical studies on various home-made Jeupjang in present was accomplished. Jeupja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variety preparing methods. Three types were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type using traditional Meju(soybean cake stater) for Jeupjang, salted pickle (Jangachi) type buried cucumber and eggplant into soybean paste or soysauce (Kanjang), and salted sauer kraut (Kimchii) type prepared vegetable in Jeupjang-Meju mash. The procedures for producing Jeupjang were Jeupjang-Meju making, and mixing vegetable with Meju powder into brine. At last process was fermented in horse wastes or grasses for 7-14 days. But manufacturing methods of Jeupjang before the 18 century were different in present. Nowadays glutinous rice, red pepper powder and various vegetable were used for domestic Jeupjang.

  • PDF

Starter를 이용한 속성발효김치의 제조 (Production of Rapid-Fermented Kimchi with Starter)

  • Choi, Shin-Yang;Lee, Shin-Ho;Koo, Young-Jo;Shin, Dong-Hw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3-406
    • /
    • 1989
  • To establish tile standard condition of uniformed Kimchi product,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starter and studied the preparation of rapid-fermented Kimchi. Of the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Kakdugi and infant's feces, M7 strain grew effectively on aseptic Chinese cabbage juice and on salted Chinese cabbage, the growth of M7 was decreased severely. Inoculated with M7 in salted Chinese cabbage, appropriate range of pH and lactic acid content were reached at 8-13 hrs and 12 hrs after addition of spices, respectively.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as not significant at 5% level.

  • PDF

침채류의 Textur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연화 방지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exture of Salted Vegetables and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 이영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3-169
    • /
    • 1992
  • The changes in the various chemical compositions and textural properties of salted vegetables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were reviewed with 25 papers published from 1981 to 1991 The changes in the texture of vegetables were largely affected by the properties of pectic substances, and additional factors such as salt type, salt concentration, salting time, temperature, preheating treatment, enzyme, salt mixtures, salt-fermented fish and garlic contents, were concerned complexly.

  • PDF

여러 종류의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이강덕;최차란;조정용;김학렬;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3-59
    • /
    • 2008
  •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소금(한국산 천일염, 정제염, 함초 해수농축염, 함초 스프레이 천일염, 해수농축염, 분무건조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새우젓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효 60일까지는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이 다른 소금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으며 아미노태 질소 역시 발효기간 동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 90일에는 함초 성분이 포함된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아미노태 질소 값이 약 980 mg%로 가장 높았고 분무건조염은 680 mg%로 가장 낮아 소금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 VBN은 발효 14일부터 60일까지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며 TMA는 발효 180일 후 정제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소금의 종류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80일 동안 발효시킨 새우젓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평가의 결과 짠맛,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천일염 및 가공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정제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