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vary bacteri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3초

치주조직 상태에 따른 e-PTFE막 부착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Salivary Bacterial Adherence On e-PTFE Membrane According To Periodontal Status.)

  • 주재익;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117-13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cterial adherence on e-PTFE membrane immersed in whole saliva from subjects with different periodontal status. Experiment involved 3 subject groups: 5 persons with healthy periodontium(probing depth below 3mm and no signs of gingival inflammation including bleeding on probing), 10 patients with gingivitis(probing depth below 3mm and apparent signs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10 patients with advanced periodontitis(probing depth over 7mm and apparent signs of gingival inflammation). Each disease group was included before and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reatment. After obtaining whole saliva from each subject, e-PTFE membrane(Gore-Tex periodontal membrane : $GTPM^{(R)}$, W.L. Gore & Associates, Flagstaff, USA) specimens were immersed at room temperature in the saliva aliqouts for 1, 3, 7 days. The weight between pre - and post - immersion in saliva was measured with the analytical balance and the difference was recorded. The specimens were processed for SEM observation. The bacterial adherence on the membrane specimens was evaluat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eight of bacteria adherent to e-PTFE membrane specimens according to the periodontal status and the immersion periods. 2. As the exposure time to saliva increased, the bacterial adherence to the membrane specimen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P<0.005). 3. As the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increased, the bacterial adherence to the membrane specimens significantly increased(p<0.001). 4.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he bacterial adherence to the membrane specime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patient group(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cterial contamination on exposed barrier membrane surface be reduced through improvement of periodontal status and oral health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GTR procedure for the successful outcome.

  • PDF

유치원 아동의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Health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 문정순;송병선;박선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8-627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dental health status of kindergarten children according to their oral health behavior. Method: The subjects were 172 kindergarten children aged 5.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ent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by dentist and bacteria in salivary. Result: 1. Mean score of oral health behavior of children was 4.69 points (SD1.65)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1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except using tooth paste. A total 71.5% of subjects brushed their tooth twice a day, 9.9% of them once a day, 18.6% of them three times a day, 19.2% of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after breakfast and lunch, 89.5% of then after dinner, 5.8% of them before going to bed, 18.6% of children brushed correctly, 79.7% of them used tooth paste with fluorine, 3.5% of them regularly examined oral cavity, 84.4% of them took cariogenic food without any restrain, 67.1% of them were observed with oral cavity by their mother. 2.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i in the saliva was $3.66({\times}106CFU/m{\ell})\;and\;1.05({\times}103CFU/m{\ell})$,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while lactobacilli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children who had regular dental examinations. 3. The index of plaque was 1.56 and the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irls. The mean dft was 4.99.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while the children whose oral cavity was observed regula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ho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As a whole the practice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as poor, and regular dental examinations and oral cavity observations affect their dental health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nsive dental health education was needed not only for the pre-school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and teachers.

  • PDF

Relationship between Saliva Factors Measured Using the SILL-Ha Saliva Test System and Blood Cell Counts according to Perceived Stress Scale Scor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 Lee, Sun-Mi;Jung, Eun-Ha;Jun, Mi-K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0-157
    • /
    • 2021
  • Background: Stress as a cause of mental health problems is known to be more prevalent in women than in men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several aspects of physical health, such as the composition of blood and saliv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with blood cell counts, saliva flow rate, and saliva factors. Methods: We recruited women in their 20s with a high prevalence of stress. Stress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Blood tests included white blood cell, hemoglobin, and platelet. We then examined the saliva flow rate and cariogenic bacteria level, acidity, occult blood, buffer capacity, leukocyte level, protein level, and ammonia level using rinse water with the SILL-Ha saliva test system. Results: In a total of 70 participants, the average age was 21.64 years old, the average perceived stress score was 16.96±4.32, and high levels of stress were reported by 80% of the participants (n=56). The high-stress group had lower hemoglobin levels. In addition, the high-stress group showed a lower saliva flow rate than the low-stress group,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livary acidity and buffer capacity. The total perceived stress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idity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ffer capacity and the hemoglobin level.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tr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might affect the composition of blood and saliva. High levels of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moglobin level, saliva flow rate, and acid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uffer capacity.

Effective microbial molecular diagnosis of periodontitis-related pathogen Porphyromonas gingivalis from salivary samples using rgpA gene

  • Jinuk Jeong;Yunseok Oh;Junhyeon Jeon;Dong-Heon Baek;Dong Hee Kim;Kornsorn Srikulnath;Kyudong Ha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1호
    • /
    • pp.13.1-13.8
    • /
    • 2023
  • Importance of accurate molecular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of particular disease-rela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is highlighted as an introductory step to prevent and care for diseases. In this study, we designed a primer/probe set fo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targeting rgpA gene, known as the specific virulence factor of periodontitis-related pathogenic bacteria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evaluated its diagnostic efficiency by detecting and quantifying relative bacterial load of P. gingivalis within saliva samples collected from clinical subjects. As a result of qRT-PCR, we confirmed that relative bacterial load of P. gingivalis was detected and quantified within all samples of positive control and periodontitis groups. On the contrary, negative results were confirmed in both negative control and healthy groups.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based 16S metagenome profiling data, we confirmed relative bacterial load of P. gingivalis, which was not identified on bacterial classification table created through 16S microbiome analysis, in qRT-PCR results. It showed that an approach to quantifying specific microorganisms by applying qRT-PCR method could solve microbial misclassification issues at species level of an NGS-based 16S microbiome study. In this respect, we suggest that P. gingivalis-specific primer/probe set introduced in present study has efficient applicability in various oral healthcare industries, including periodontitis-related microbial molecular diagnosis field.

Streptococcus mutans GS5의 세포막 단백질 Ag I/II에 대한 단항체의 생산 (Generation of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AgI/II, a cellular surface protein of Streptococcus mutans GS5)

  • 전철완;백병주;양연미;한지혜;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87-596
    • /
    • 2006
  •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Streptococcus mutans의 여러 균주 중 GS-5균주는 AgI/II 유전자 내에 생기는 nonsense mutation에 의하여 절편의 분비형 AgI/II 단백질을 발현한다. 이러한 사실은 S. nutans GS-5가 독특한 임상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암시하며, 최근의 보고는 임상적으로 분리된 S. mutans 균주를 이용한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이러한 가능성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이전의 실험을 통하여 S. mutans의 agI/II 유전자를 확보한 후 재조합 단백질인 N-terminal AgI/II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이 후 하이브리도마를 통하여 1C11A라 명명되는 세포막 단백질 AgI/II에 대한 단항체를 생산하였으며, Western blot과 ELISA를 통하여 이 항체가 AgI/II 단백질에 매우 높은 특이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새로이 얻어진 단항체는 AgI/II와 관련된 질환의 기전을 규명하는데 기초 재료가 될 것이다.

  • PDF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mutans GS-5)의 항원단백질 AgI/II의 N-terminus절편에 대한 항체형성 (Generation of antibodies against N-terminus fragment of AgI/II protein from Streptococcus mutans GS-5)

  • 한지혜;백병주;양연미;박정렬;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01-410
    • /
    • 2006
  • 치아 우식은 구강 내 미생물에 의해 치아 석회 조직의 일부가 용해되고 파괴되는 감염성 질환이다. 치아 우식의 원인균은 Streptococcus mutans와 같은 Mutans streptococci로 알려져 있고, 이 미생물이 치면에 접착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능력이 균의 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mutans가 치면의 타액성 피막에 부착하는 데에는 AgI/II와 같은 세포표면의 섬유성 단백질을 매개로 한다. 그러므로, AgI/II는 S. mutans GS-5에 대한 백신 개발에 적절한 목표가 된다. 본 실험은 S. mutans GS-5로부터 AgI/II 유전자를 복제하고 염기서열분석을 하였다. 복제된 AgI/II와 앞서 보고된 S. mutans GS-5의 해당 부위의 280개의 핵산은 완벽하게 일치하였다. 복제된 유전자를 두 부위로 절단하여 형질전환을 통해 재조합 단백질인 AgI/IImr을 얻었고,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을 쥐에게 주입하여 다클론 항체를 얻었다. 추출된 다클론 항체는 AgI/IImr항원단백질에 반응하였고, 대조군으로 쓰인 단백질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 PDF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의 세균학적 조성변화에 대한 연구 (THE CHANGES OF SALIVARY MICROORGANISM COMPOSITION AFTER THERAPEUTIC RADIATION FOR ORAL CANCER PATIENTS)

  • 이종호;김명진;정필훈;최진영;서병무;송노헌;안강민;김종원;남일우;김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18-23
    • /
    • 2000
  • 방사선 조사로 인한 치아우식증 및 점막염 등에 대한 병인 이해 및 예방과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하고자, 1997년에서 1998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구강암 환자 중 방사선 치료 예정인 자 7명에서 방사선 조사전부터 조사 중 및 조사후 6개월까지 타액의 total aerobe, candida, Staphylococci, lactobacilli, S.mutans, S. salivarius(mitis, sanguis)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의 세균 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의 타액내 세균의 동정과 조성 변화에 대한 본자료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두경부 악성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구강청결용으로 사용할 약제의 항균 범위를 정하는데 기준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방사선 조사 후 타액의 면역화학적 조성 성분의 변화에 따른 기회감염의 증가와 특정 세균에 의한 감염과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방사선 조사에 따른 면역저하 환자에서 예방적인 항생제 투여시 유의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구강 상주균에 대한 편백 피톤치드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Normal flora of Phytoncide from Chamaecyparis Obtusa)

  • 어규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53-362
    • /
    • 2009
  • 본 연구는 편백 피톤치드에 의해 사멸되지 않는 구강 상주균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세균이 구강 병인균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편백 피톤치드에 구강 내 세균에 대한 지속적인 이차적 효과를 구명한 실험적 연구이다. 이에 건강한 사람의 타액에 1% 피톤치드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생존해 있는 200개의 구강 상주균을 확인하여 이를 분석한 후 이들이 치주질환과 입냄새의 중요한 원인균인 F. nucleatum에 대한 억제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선택된 200개의 잔존 세균 중, 70개(35.0%)가 F. nucleatum을 억제하였다. 2. F. nucleatum을 억제하는 70개의 잔존 세균 중, Streptococcus salivarius가 41.3%(45/109), Streptococcus sanguinis가 28%.(7/25), Streptococcus mitis가 20%(3/15), Streptococcus parasanguinis가 33.3%(3/9), Streptococcus alactolyticus가 100%(8/8), Streptococcus vestibularis가 28.6%(2/7), Streptococcus sp.가 50%(2/4)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피톤치드 처리 후의 잔존 세균이 F. nucleatum을 억제함으로써 피톤치드가 구강 건강, 특히 치주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구강 상주균을 건강하게 유지시킨 채로 병인균 만을 억제시킨다는 차원에서 향후 구강내 유익균의 배양가능성을 실용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식이 당 대체제인 자일리톨의 구강건강 증진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 (The Various Effects of Xylitol as a Dietary Sugar Substitute on Improving Oral Health)

  • 황윤숙;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7-113
    • /
    • 2022
  • 현재까지, 식이 당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대체당으로서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총설논문에서는 자일리톨의 구강건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 예방 기전, 치아우식증 예방, 치아우식증 유발균의 모자전염 예방, 노인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이 정리되었다. 식품에 함유된 탄수화물 및 식이 당은 구강 내에서 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치석 및 산을 생성하여 치아우식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 대부분은 자일리톨을 대사하여 산을 만들어 낼 수 없다.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에 의한 비대사성 대사물로서 세포 내에 축적된 자일리톨은 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하고 치석 형성을 억제하여 치석과 타액 중 S. mutans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자일리톨은 치아의 재광화(remineralization) 과정에 작용한다. 자일리톨은 치아우식증 예방, S. mutans의 모자감염 예방, 노인의 충치예방 및 타액분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일리톨은 남녀노소 구분 없이 구강건강에 효과적이며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자일리톨의 과량섭취에 따른 부작용과 구강 및 장내 환경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검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