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e soil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101초

한국 중부 서해안 경기만 일대 3개 간척지의 토양 염농도와 식생의 연속분포 (Soil Salinity and Continuum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the Thre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천소을;주영규;정영상;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3-93
    • /
    • 2008
  •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에 대한 평가는 토양관리 및 환경적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중부 서해안 경기만 내의 3개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생이 연속분포를 보이는 지점에서 토양 염농도를 측정하고 출현식물종을 분류하여 연속분포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간척지 내에 나타나는 식생의 공간변이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각각의 공간변이를 토양 염농도를 기준으로 연결한 결과 토양 염농도 구배와 내염성 식물종의 분포가 일치하는 연속분포(continuum distribution)를 보여, 토양 염농도가 높은 곳은 내염성 식물종이, 낮은 곳은 비내염성 식물종이 분포하였다. 연속분포는 간척 경과 년 수가 오래된 곳에서 유형이 다양하고 명확하게 구분되나, 간척 초기 지역에서는 연속분포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연속분포 유형은 순차적 유형과 비순차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순차적 유형은 토양 염농도가 높은 곳을 기점으로 할 경우 토양 염농도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어지며 식물종도 이에 따라 선구종 염생식물(pioneer halophyte)에서 저염생식물(facultative halophyte), 중성식물(glycophyte)의 순으로 변화하였다. 비순차적 유형은 비연속적 토양 염농도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며, 식생의 분포도 단계적 변화를 보이지 않고 비정형적이다. 간척 경과 년 수가 오래된 지역에서는 토양 염농도가 높은 식생 고사지역이 있고 식생 비분포지와 함께 이 지점을 기점으로 식생의 연속분포가 형성되었다.

Efficiency of Various Nutritional Source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Saline-Sodic Soil

  • Noor-Us-Sabah, Noor-Us-Sabah;Sarwar, Ghulam;Ibrahim, Muhammad;Tahir, Mukkram Ali;Iftikhar, Yasir;Haider, Muhammad Sajjad;Han, Kyung-Hwa;Ha, Sang-Keun;Zhang, Yong-S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3-9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various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Saline sodic soil (saturation percentage = 40.36%, $EC_e=5.15dS\;m^{-1}$, $pH_s=8.70$, $SAR=18.84(m\;mol\;L^{-1})^{1/2}$, bulk density =$1.49Mg\;m^{-3}$) was collected, brought to wire house and filled in pots after laboratory analysis for various parameters. Different sources of organic nutrients like farm manure (FM), press mud, compost, poultry manure and sesbania green manure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e experiment comprised of 12 treatments replicated thrice; $T_1$: control (recommended NPK), $T_2:{\frac{1}{2}}$ recommended NPK, $T_3$: FM at 1.5% by soil weight, $T_4$: pressmud at 1.5% by soil weight, $T_5$: compost at 1.5% by soil weight, $T_6$: poultry manure at 1.5% by soil weight, $T_7$: sesbania green manure at 1.5% by soil weight, $T_8:T_2$ + FM at 0.75% by soil weight, $T_9:T_2$ + pressmud at 0.75% by soil weight, $T_{10}:T_2$ + compost at 0.75% by soil weight, $T_{11}:T_2$ + poultry manure at 0.75% by soil weight, $T_{12}:T_2$ + sesbania green manure at 0.75% by soil weight. These treatments were applied using completely randomized (CR) design and appropriate time was given to decompose these organic nutritional sources. Seeds of wheat cultivar Sahar-2006 were sown. After harvesting the wheat,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pot and analyzed for various physical properties like bulk density, porosity and saturation percentage. An improvement in physical properties (bulk density, porosity and saturation percentage) of soil was noticed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organic nutritional sources but role of compost alone ($T_5$) remained prominent.

Hydraulic Property and Solute Breakthrough from Salt Accumulated Soils under Various Head Pressures

  • Lee, Sanghun;Chung, Doug-Young;Hwang, Seon-Woong;Lee, Kyeong-Bo;Yang, Chang-Hyu;Kim, Hong-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17-724
    • /
    • 2012
  • Salt accumulated soil should be reclaimed to lower salt level for crop prod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flow and transport of mono and divalent solutes on salt accumulated soils with different head pressures.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as measured by constant and falling head methods with maintaining different head pressures.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as influenced by bulk dens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 soils, but it had different elusion patterns between saline and sodic soil. While the quantity of water necessary for reclamation could be varies with soil type, it was considered that the supply of one pore volume of water was affordable and economic. Additional head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olume of leachate at a given time and it was more effective at low organic matter soils.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al head pressure would be one of the best irrigation practices on desalination method for salt accumulated soils.

염류집적 농경지의 전기동력학적 정화 (Electrokinetic Restoration of Saline Agricultural Land)

  • 조성웅;김도형;양중석;정근욱;백기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19-26
    • /
    • 2012
  • The influence of operation time on electrokinetic restoration was investigated to remove salts from sulfate-accumulated greenhouse soil. Operation time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 cost, therefore,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 time and removal of salts. Nitrate and sodium were removed almost completely within 2 weeks, chloride and calcium was removed in proportion to the operation time. Sulfate was accumulated at the center of anode and cathode. The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 indicator for soil salinity, showed similar shape with the residual sulfate after electrokinetic treatment. The soil EC was not changed after 2 weeks, however,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with operation tim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most salts except sulfate were removed within 2 weeks, but sulfate was not removed during same time period. For the further removal of sulfate, longer operation time is in need.

양식장 용수 추가 확보를 위한 수압파쇄 적용성 평가 (Feasibility of Hydraulic Fracturing for Securing Additional Saline Groundwater in the Land-based Aquaculture Farm)

  • 이병선;김영인;박학윤;조정환;송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7호
    • /
    • pp.34-42
    • /
    • 2015
  • Feasibility tests for the hydraulic fracturing were conducted in order to secure additional saline groundwater for irrigating to the land-based aquaculture farm. Two boreholes were placed to the aquaculture farm A and B, respectively. A hydraulic fracturing using single packer was applied to major fracture zones within two boreholes. To identify effects of hydraulic fracturing on securing additional saline groundwater, some selective methods including well logging methods, pumping tests, and groundwater quality analysis were commonly applied to the boreholes before and after the hydraulic fracturing. Enlarging/creating fracture zones, increasing water contents in bedrock near boreholes, and increasing transmissivity were observed after the hydraulic fracturing. Even though the hydraulic fracturing could be an alternative to secure additional saline groundwater to the land-based aquaculture farm, salinity of the groundwater did not meet optimal thresholds for each fingerling in two farms: Fres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flowed the more into borehole of the farm A that resulted in decreasing a salinity value. Increased saline groundwater quantity in the borehole of the farm B rarely affect to the salinity. Although salinity problem of groundwater limited its direct use for the farms, the mixing with seawater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fingerlings during the early stage. A horizontal radial collector well placed in the alluvial layer could be an alternative for the farms as well.

간탁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발달에 미치는 물 관리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Management to Root Development of Rice Plants (Oryza saliva L.) at the Saline Paddy Field)

  • 김봉구;정원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3-228
    • /
    • 1982
  • 간탁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형성과 물관리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이한 물관리를 한 간탁답과 상시담수를 한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을 채취하여 비교ㆍ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탁지상시담수구와 간탁지 2일환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표층부에 분포되어 있었나, 간탁지암거배수구와 숙답상시담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심층부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2. 간탁지상시담수구와 간탁지 2일환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간탁지암거배수구나 숙답상시담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보다 관근수가 적었다. 3. 재배지나 물관리에 관계없이 유수형성기 이후에 발근하는 요소에서는 생장중지형 관근의 비율이 생육 초 중기의 그것보다 높았다.

  • PDF

지하수 검층을 위한 새로운 유전율 추적자 시험법의 개발 (A development of new dielectric tracer test method for groundwater logging: laboratory soil column test)

  • 김만일;김형수;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4권3호
    • /
    • pp.301-311
    • /
    • 2004
  • 다공질매질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매질들의 전기적 특성 중의 하나인 유전율상수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동 및 매질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율추적자시험법(dielectric tracer test method)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추적자물질로는 비중이 물과 동일한 에탄올혼합액체(ethanol mixing liquid, EML)를 제작하였으며, 각기 다른 공극률을 갖는 포화 표준사 및 강모래 층에 대해 매질의 유전율상수를 측정할 수 있는 FDR system및 측정센서를 적용해 추적자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추적자물질인 염분농도 $3\%$를 갖는 염분수용액의 농도 변화를 electro multi-meter로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두 시험결과에서 EML추적자시험의 경우, 각각의 포화 흙칼럼에서의 EML 농도변화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염분수용액을 적용한 시험에서는 이들이 지속적으로 칼럼 내 하단부로 침전되어 염분농도 변화에 의한 물의 침투 이동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염분수용액의 비중이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포화토 내 물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하단부로 침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의 비중과 동일한 EML 추적자물질과 이들의 유전율상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FDR system을 적용하여 유전율추적자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실내추적자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간척지 토양개량을 위한 내염성 식물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Salt-Tolerance Plant for Improving Saline Soil of Reclaimed Land)

  • 이경보;강종국;;이덕배;박찬원;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3-180
    • /
    • 2007
  • 본 연구는 간척지 친환경농업 기반조성을 위하여 신간척지 토양개량을 위한 내염성 식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국내외에서 내염성 식물 18종을 수집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신간척지 토양에서 파종된 식물의 출현율은 FL478(벼)>Barnyard grass>Pokkali>Atriplex>Sesbania>Rumex>Alfalfa>Tall Fescue>Ryegrass>Sudan grass의 순이었다. 신간척지 토양에서 생육후기까지 생육이 가능한 식물은 Limonium, Atriplex, Barnyard grass 및 Sesbania 등 4종이었다. Barnyard grass의 생체중은 $1.21kg\;m^{-2}$, 건물중은 $0.48kg\;m^{-2}$이었다. Sesbania의 생체중은 $1.55kg\;m^{-2}$, 건물중은 $0.68kg\;m^{-2}$로 가장 많았으며, Atriplex의 생체중은 $1.04kg\;m^{-2}$, 건물중은 $0.42kg\;m^{-2}$이었다. 그리고 Limonium의 생체중은 $1.04kg\;m^{-2}$, 건물중은 $0.32kg\;m^{-2}$이었다. Sesbania와 Barnyard grass를 시용한 결과 인산함량은 시험전 $62.5g\;kg^{-1}$에 비하여 각각 $76.1g\;kg^{-1}$, $78.1g\;kg^{-1}$으로 증가하였다. 유기물함량은 시험 전 토양이 $2.65g\;kg^{-1}$이었지만 내염성 식물을 시용함으로서 $2.81{\sim}4.60g\;kg^{-1}$으로 증가하였다. 녹비 시용 전 토양 용적밀도는 $1.42Mg\;m^{-3}$이었으나 Sesbania와 Barnyard grass를 시용한 토양의 용적밀도는 $1.39Mg\;m^{-3}$로 낮아졌다.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Content on Soil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 권병선;백선영;신정식;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2003
  •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석회(石灰)의 종류(種類)와 해성간척지(海成干拓地) 토양(土壤)의 제염(除鹽) (Liming Materials and Desalinization of Marine Originated Tidal Soil)

  • 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3
    • /
    • 1990
  • 주요(主要) 석회물질(石灰物質)이 해성염토(海成鹽土)의 제염(除鹽)에 주는 효과(效果)를 밝히기 위(爲)하여 염토(鹽土)가 함유(含有)하는 Na + Mg와 당량(當量)의 Ca를 탄산(炭酸)칼슘, 수산화(水酸化)칼슘, 규산(珪酸)칼슘 또는 석고(石膏)로 시용(施用)하여 유리원통시험(圓筒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최상층(最上層) 1/10염토(鹽土)에 석회물질(石灰物質) 반량(半量)을 혼합(混合)하고 남은 반량(半量)을 표면(表面)에 덮은 후 (後) 증류수(蒸溜水)를 주가(注加)하면서 연속적(連續的)으로 3차에 걸쳐 여과수(濾過水)를 받아 세척(洗滌)한 층별토양(層別土壤)과 함께 분석(分析)하였는 바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CaSO_4$는 투수(透水)와 제염(除鹽)(Na)을 용역(容易)하게 하였으나 Mg를 하층(下層)에 집적(集積)시켰다. 2. $Ca(OH)_2$, $CaCO_3$, $CaCO_3$는 표층(表層)에 Mg를 침전(沈澱)시키고, 하위층(下位層)에서 Mg를 세탈(洗脫)하였는데, 특(特)히 표층직하(表層直下)에서 더 세탈(洗脫)하였다. 이 세탈(洗脫)은 $Ca(OH)_2$처리(處理)에서 가장 현저(顯著)했고, $CaSiO_2$, $CaCO_3$의 순서(順序)로 약(弱)해졌다. 3. 치환성(置換性) Na의 해리(解離)에 더한 석회(石灰)의 알칼리성(性)은 토양(土壤)의 pH를 높였으며, 투수속도(透水速度)를 낮추고 Na의 제염(除鹽)을 저해(沮害)하였다. 이 영향(影響)은 $Ca(OH)_2$처리(處理)에서 더 컸다. 4. 세탈(洗脫)된 토양(土壤)의 pH는 치환성(置換性) Na 및 Mg와 다음 회부관계(回復關係)를 보였다. $$pH=7.77+0.489Na/\sqrt{Mg}\;r=0.84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