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cylate conte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A Determination of the Salicylate Content of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Suggested for Allergic Patients

  • Myung, Choonok;Lee, Kiwan;Nam, Haewon;Hong, Chein-Soo;Lee-Kim, Yang-Ch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5호
    • /
    • pp.949-956
    • /
    • 1998
  • Salicylate from plant foods and histamine from animal foods have been suggested to cause various food allergic symptoms. Salicylate regarded as one of the inducing agents f3r chronic urticaria and asthma in allergic patients was studied. There is much interest about the effects of salicylate in food allergy. It it recently suggested that the intake of salicylate from foods may have contributed to chronic urticaria and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licylate content in various foods. 153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were analyzed by HPLC. Among the vegetables, chard(8.22$\mu\textrm{g}$/g), soybean sprout(5.13$\mu\textrm{g}$/g), perilla lean3.03$\mu\textrm{g}$/g), Chinese cabbage(2.25$\mu\textrm{g}$/g), carrot(2.16$\mu\textrm{g}$/g), and squash(1.33$\mu\textrm{g}$/g) con-rained higher amounts of salicylate a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Among fruits, oranges(5.13$\mu\textrm{g}$/g), grapefruits(2.90$\mu\textrm{g}$/g), and plums(1.65$\mu\textrm{g}$/g) contained the most. In animal foods, almost no salicylate was found except in chocolate milk(0.32$\mu\textrm{g}$/g). It was also found in black pepper(8.2$\mu\textrm{g}$/g), coffee(can)(5.00$\mu\textrm{g}$/g), mustard(4.16$\mu\textrm{g}$/g), curry powder(3.24$\mu\textrm{g}$/g), kochujang(2.37$\mu\textrm{g}$/g), cream powder(1.19$\mu\textrm{g}$/g), brown rice(1.04$\mu\textrm{g}$/g) and sesame oil(1.00$\mu\textrm{g}$/g). All information foun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in potentially allergic people for a prudent diet plan and can also provide proper dietary guidelines for these allergic patients. (Korean J Nutrition 31(5) 949-956, 1998)

  • PDF

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투여후 항염효과와 혈청 및 조직내 구리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the Change of Copper Content after Administr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Rats)

  • 허인회;임철빈
    • 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03
    • /
    • 1982
  • This paper present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their copper complexes, and the change of content of copper in serum, liver, brain and edema foot induced by 1% carrageenan in rats, and also investigation of stomach hemorrh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tent of copper decreased in liver and brain,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copp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rum and edema site after carrageenan injection in rats. 2. The content of copper in serum and edema site was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anti-inflammatory drugs. 3. Edema inhibition rate of aspirin was, higher than that of copper (II) aspirinate, but edema inhibition rate of copper complex of naproxen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naproxen. 4. Hemorrhage of stomach of copper salicylate was higher than that of sodium salicylate, but hemorrhage of stomach of sodium naproxen was higher than that of copper naproxen.

  • PDF

위액분비 및 실험적 위손상에 대한 해당근 엑기스의 효과 (Effect of the Rosa rugosa Extract on the Rat with the Alcohol-salicylate-induced Gastropathy)

  • 박희준;임상철;김동훈;이정희;강혜옥;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6권1호통권140호
    • /
    • pp.38-43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gastrotherapeutic effects of the extract of Rosa rugosa. It can be regarded that the antigastric and anti-ulcerative effect of Rosa rugosa is originated from the reduction of total acid output identified by gastric secretion test. To clarify the protective mechanism of the Rosa rugosa extract, the gastropathy was induced in rats with alcohol-salicylate and the activitie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were examined. The aci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total content of glutathione was recovered. We concluded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 of Rosa rugosa on gastropathy in rats is its abilit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마늘-죽염 제제가 위장 장애 유발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 of an Aged Garlic-bamboo Salt Mixture on the Rat with the Alcohol-salicylate Induced Gastropathy)

  • 허근;김영희;김대경
    • 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8-268
    • /
    • 2001
  • Garlic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against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which can be induced by production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 It has been shown that bamboo salt is effective o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arious gastrointestinal disorders. Bamboo salt is a processed salt invented by a Korean, ll-Hoon Kim. It has been reported that garlic and bamboo-salt are useful to the treatment of gastric disorders in Korea. To clarify the protective mechanism of the garlic-bamboo salt mixture, the gas-tropathy was induced in rats with alcohol-salicylate and the activitie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garlic-bamboo salt mixture reduced the severity of hemorrhagic lesion in gastric mucosa in the rats.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significnatly increased and the total content of GSH was recovered. From tho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garlic-bamboo salt mixture on gastropathy in rats is its ability to recover the level of GSH and to increase the activitie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SOD, GPx, GR).

  • PDF

오리엔탈 나리 '카사블랑카'의 개화단계별 향기성분 변화 (Change of Fragrant Components by Flowering Stag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 노아란;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63-169
    • /
    • 2001
  • 본 실험은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유용한 향기성분을 찾아내어 이 성분들의 개화단계별 정유함량과 정유성분 구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각의 이용 가능한 추출적기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asa Blanca'의 개화단계별 정유함량은 꽃봉오리 단계를 제외하고는 개화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만개 후 개화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정유성분을 분석해 본 결과 이들의 주성분은 각 단계에 따라 farnesol(18.96%), benzyl salicylate(13.81%), butyl-hydroxy toluene(12.87%), geranyl linalool isomer(7.46%), isoeugenol(7.17%)이었다. 이들의 개화 단계별 정유성분을 비교해 보면, fatty acid derivative류는 개화 초기와 개화 후기에 많은 반면 benzenoid류는 개화 중기, 만개 단계에서 많았다.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주성분 중 butyl-hydroxy tolune과 isoeugenol과 같은 benzenoid류 물질들은 대부분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식품의 첨가제나 방부제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Geranyl linalool isomer와 같은 monoterpene계 물질은 개화 후기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되었고 나리의 구성 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는 farnesol과 같은 sesquiterpene계 물질은 만개 시에만 나타났고 이는 geranyl linalool isomer와 함께 좋은 향기를 가져 중요한 향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유용한 주성분들의 개화단계에 따른 추출적기를 살펴보면 farnesol, benzyl salicylate은 만개단계, butyl-hydroxy tolune은 1/2 개화한 단계, geranyl linalool isomer, isoeugenol는 만개 후 단계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정유는 개화단계에 따라 정유성분과 정유함량에 변화가 있었으며, 이들 성분은 추출적기를 알맞게 고려한다면 향장류나 식품첨가제, 아로마테라피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확인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citrus fruits)

  • 홍영신;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77-988
    • /
    • 2016
  • 제주감귤류(천혜향, 한라봉, 진지향, 황금향 및 레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였다. 천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104종(4,939.77 mg/kg), 한라봉 98종(3,286.38 mg/kg), 진지향 105종(3,317.56 mg/kg), 황금향 102종(4,293.39 mg/kg) 및 레드향 108종(4,049.94 mg/kg)으로 확인되었다. Limonene, sabinene, ${\beta}$-myrcene, ${\alpha}$-pinene, ${\beta}$-pinene, linalool, 4-terpineol, ${\alpha}$-terpineol, (E)-${\beta}$-ocimene 및 ${\gamma}$-terpinene 등은 제주감귤류의 공통적인 주요 향기로 확인 되었다. Ethyl-benzene, nonanol, 1-p-menthen-9-al, (E)-isocarveol, methyl salicylate, ${\alpha}$-terpinen-7-al, perilla alcohol 및 ethyl dodecanoate은 천혜향에서만 확인된 휘발성 향기 성분이다. ${\beta}$-Chamigrene 및 ${\alpha}$-selinene은 한라봉에서만 확인되었으며, 3-hydroxybutanal, (E)-2-nonenal, isoborneol, octyl acetate, (E)-2-undecenal, ${\beta}$-ylangene 및 guaia-6,9-diene은 진지향에서만 확인되었다. ${\rho}$-Cymenene, ${\beta}$-thujone, selina-4,11-diene 및 (E,E)-2,6- farnesol은 황금향에서만 확인되었으며, ${\rho}$-cymen-8-ol, bornyl acetate, carvacrol, bicyclo elemene, ${\alpha}$-cubebene 및 7-epi-${\alpha}$-selinene 등은 레드향에서만 확인된 향기성분이다. Limonene은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율은 42.57%~62.18%이다. 본 연구결과 제주감귤류의 품종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과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유통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중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차단성분 사용실태조사 (Survey of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 박정희;김종필;김진아;서계원;김은선;서정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1-3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총 100건을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과 자외선차단성분 18종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살균보존제 성분 5가지는 페녹시에탄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사한 100건의 화장품 모두 검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일부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경우 포장 용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이 검출되었다. 100건 중 31건의 화장품에서 표시되지 않은 살균보존제 성분(벤질 알콜 등 6종)이 검출되었고, 2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자외선차단성분(호모살레이트 등 2종)이 검출되었다.

폐하수중 합성세제분해균의 분리(分離) 및 합성세제 (ABS) 분해특성(分解特性) (Isolation of Synthetic Detergent Decomposing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and Synthetic Detergent Decomposition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organisms)

  • 이홍재;허종수;조주식;한문규;최정호;이춘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4-152
    • /
    • 1993
  • 오염된 하천수, 토양 및 폐기물 침출수등의 미생물 분리원으로 부터 합성세제(ABS)를 유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들을 분리하여, 이중 합성세제(ABS)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한 종의 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P. fluorescen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밝혀졌으며, 최적 생장온도는 $30^{\circ}C$였고 최적 생장 pH는 pH 7.0이었다. 분리균주의 탄화수소 자화능 및 중금속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benzene, cyclohexane, xylene 및 catechol은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반면 phenol, toluene, salicylate, naphthalene은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중금속중 zinc chloride, lead nitrate, copper sulfate에 대하여는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mercury chloride, silver nitrate에 대하여는 내성이 약했다. 분리균의 합성세제(ABS) 분해율을 조사한 결과 ABS 20${\mu}g$/ml의 농도에서 4일후 약 55%, 100${\mu}g$/ml 농도에서는 약 60% 각각 분해되었다. 합성세제 (ABS) 분해에 따른 benzene ring의 분해율을 조사한 결과 시간이 경과 할수록 합성세제(ABS) 분해에 비례하여 benzene ring도 분해되었다. ABS 농도 20${\mu}g$/ml 및 100${\mu}g$/ml에서 benzene ring은 각각 38% 및 45% 분해되었다. COD의 분해와 ABS 분해를 비교검토한 결과 COD는 배양 24시간까지 급격하게 분해 되었으나 그 이후부터 서서히 계속해서 분해되었으며 ABS는 처음부터 서서히 계속적으로 분해되었다. ABS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균과 ABS를 1,000${\mu}g$/ml 농도가 되게 첨가하여 배양한 균과의 균체내 아미노산조성을 비교한 결과 아미노산총량은 각각 104.9mg/g 및 115.0mg/g으로서 ABS를 첨가하여 배양한 분리균에서 9.4% 증가 되었으며, 균체내에 Glx(Glu + Gln) 및 proline이 각각 11.1%, 9.2%로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특히 cysteine은 ABS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분리균에 비해 ABS를 첨가하여 배양한 균에서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ABS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분리균은 산성 아미노산인 Asx(Asp + Asn)와 Glx(Glu + Gln)가 비교적 많이 생성된 반면, ABS를 첨가하여 배양한 분리균에서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histidine, lysine 및 argnine이 비교적 많이 생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