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mand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단계와 MNNG 및 retinol palmitate 처리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stages of larval hindlimb development in th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and the effects of MNNG and reinol palmitate treatment on the limb development)

  • 박인식;김원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6
    • /
    • 1993
  •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과정을 관찰하고 잠재적 돌연변이 유발물질인 제-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과 잠재적 기형 유발물질인 retinol palmitate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상적인 개체에서 됫다리의 발생 단계는 외부와 내부의 형태적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7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전연골세포의 밀집에 따른 골격형성은 다리 발생아의 근위부에서 시작하여 원위부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롱뇽 유생을 MNNG(10 rpm)나 retinol palmitate(37.5 lpm)로 처리한 경우, 공통적으로 다리 원위부의 골격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골격 형성 억제 현상은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을 저해하는 물질에 대한 미분화 상태의 세포들의 반응성이 발생과정 중 특정 단계에 국한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The Study of Spontaneous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nd Toxicology of Benomyl and Its Metabolite o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박용욱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45
    • /
    • 2005
  • The egg bags of Korean salamander(Hynobius leechii) were collected from farmlands in Gyeongsangnam-do area. The assumed breeding time, numerical variation of embryos in each egg bag, mortality and the rates of abnormalities wer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benomyl, the metabolite carbendazim and BIC which were frequently spread in agricultural area and caused spontaneous embryonic malformation was investigated. The assumed breeding time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the end of March has the difference about a month because of a habitat and it takes about 2 or 3 weeks from laying eggs to hatching. The length of each egg bag and the number of embryos were very varied in each area. It is due to geographical variation. Among egg bags in total study area, only 406 of egg bags(17.70% of total egg bags) developed all of embryos to normal larvae, and 78.49% of total embryos were normally developed. The patterns of spontaneous embryonic malformation were 26 species from A to Z and the abnormal patterns in individual were 8 species and above.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about the abnormal pattern were identified and 11 habitats categorized 4 groups. The most frequent abnormality in Gyeongsangnam-do area is the dysplasia of external gill. The caudal dysplasia, abdominal blister and dysplasia of fin were also frequently observed. Individuals showing severe external defect were histologically studied and they showed retinal hypo-pigmentation, thyroid carcinoma, somatic muscular dysplasia, degeneration of cephalic neuron and various organ dysplasia. Benomyl and carbendazim were treated by 10pM$^{\sim}$10uM and BIC was treated by 1$^{\sim}$40ppm to know the effect of toxicity about toxic substance of salamander. After benomyl was treated, a survival rate was sharply dropped from 2 to 8 days. $LC_{100}$ identified in $1{\mu}M$, $LC_{50}$ identified between 100nM and $1{\mu}M$. $EC_{50}$ was assumed between 10nM and 100nM. The prevalent external malformation was abdomen swelled abnormally and histo-pathological effects were abdomen, neural tube and lens hernia. This suggests that benomyl is the toxicitic substance which inhibits the development of digestive system and nervous system. The result of treated carbendazim was similar to that of the treated benomyl. The survival rate is sharply dropped between 2 and 6 days. $LC_{100}$ was identified $1{\mu}M$ and $LC_{50}$ was identified between 10nM and 100nM. This shows that cabendazim has stronger lethal toxicity than benomyl. Ventral blister, eye dysplasia and cephalic dysplasia in the individual of external malformation mean that cabendazim affected nervous system much more than benomyl. Because the toxicity of BIC affected less in the beginning but affected more in the near hatching period, the period causing toxicity is somewhat different. $LC_{100}$ identified near 40ppm and $LC_{50}$ identified near 25ppm. The external defect shows mainly ventral blister and histo-pathological results show intestinal deformities. This result suggests the BIC inhibited strongly the development of digestive system. These abnormal developments may be caused by antimitotic action, inhibition of tubulin complex, destruction of microtubule, inhibitions of neurulation and closing of neural fold, and by the inhibition of movement of neural crest cells of benomyl. These abnormal developments may be caused by the rupture of epithelium, the loss of microtubule, the reduction of spindle size, the inhibition of spindle assembly formation, the destruction of spindle poles of carbendazim. These abnormal developments may be caused cytotoxicity by inhibition of the synthesis of a number of macromolecules and similar reaction the inhibition of benomyl.

  • PDF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의 농경지에서의 배 발생 이상과 살균제 Benomyl의 독성효과 (Developmental Abnormality in Agricultural Region and Toxicity of the Fungicide Benomyl on Korea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최영주;윤춘식;박주흥;진정효;정선우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98-212
    • /
    • 2002
  • 한국산 도롱뇽의 알주머니를 농경지에서 채집하여 그 길이와 배의 수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배의 이상 발생 패턴과 조직학적 이상을 연구하였다. 아울러 비 농경지로부터 채집한 도롱뇽의 배에 살균제 benomyl을 처리하여 기형발생을 비롯한 독성효과를 밝혔다. 알주머니의 길이 변이 폭은 10${\sim}$23 cm이었으며 상대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19cm길이였다. 알주머니 당 배의 수는7${\sim}$43개의 변이 폭을 나타냈으며 22${\sim}$26개 사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조사된 층 144개의 알주머니, 3418개을 일으킨 배중에서 116개의 알주머니, 406개의 배에서 발생정지 또는 외형적 이상 발생을 일으킨 배가 나타났다. 외형적 이상발생은 미부형성부전, 외새형성부전, 복부수포 등 24종류의 발생이상 패턴으로 정리되었다. 그 중 외형상 심각한 이상을 보이는 개체들의 조직절편을 관찰한 결과 눈의 불완전 발달, 갑상선종, 중배엽성 체절의 불완전 발달, 부분적인 이 축 발생, 심장의 비정상 발달, 적혈구 감소증, 뇌의 붕괴와 장의 발달부진 등이 관찰되었다. 포배 또는 낭배 초기 단계에 있는 도롱뇽 정상 배에 12일 동안 200 nM${\sim}$ 1 ${\mu}$M의 benomyl을 처리하였으며 모든 배는 1 ${\mu}$M의 농도에서 치사되었다. Benomyl처리의 특징적인 이상은 머리의 발달이 부진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이며, 이러한 이상은 benomyl이 도롱뇽의 발생과정에서 신경계의 발달을 크게 저해한다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조직발달의 비정상 현상은 benomyl의 유사분열억제, tubulin중합의 저해, microtubule의 파괴 등과 같은 세포내 작용과 신경배형성, 신경습의 폐쇄, 신경제세포의 이동을 저해하는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의 4종이었다.. 결과적으로, 조사기간 중 하계에 지속적으로 관찰된 DO와 pH가 감소하는 것은 수생부유식물의 번성과 수중 퇴적물의 분해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낮게 나타났다. 정화효율과 수리학적조건간의 상관계수($R^2$)는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0.016-0.731,일처리유량과는 0.015-0.868을 나타내었으며, 시간당 정화량과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계수($R^2$)는 수리학적 체류시간과는 0.173-0.763,일처리유량과는 0.209-0.77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정화효율과 수리학적 부하조건간의 상관계수($R^2$)Tt 0.5 이상을 나타내는 각 수생식물 습지별 수질항목은 체류시간과 일처리유량에 대해각각 20%,정화속도와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계수는 체류시간에 대해 53%, 일처리유량에 대해73%가 0.5이상을 보이고 있어 시간당 정화량과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관계가 정화효율과의 상관관계보다 좀더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이것은 높은 수리학적 부하조건이 영양염류 등의 정화효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비교적 낮은 농도의 영양염류를 가지고 있고, 많은 처리수량을 요구하는 부영양화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높은 수리학적 부하조건에서 시간당 정화량을 늘리는 관리방법이 경제적이며, 이에 초점을 맞추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도로 검출되어 이를 고려한정수공정의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yr^{-1}$)의 71%가 감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름철 심층 산소 고갈이 야기되었고, 이 시기에 퇴적물로 용출된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될 수 있기때문에 퇴적물에 대한 관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rsity)지수는 2000년 7월에 2.22로 가장 높았으며, 생물량도 조사기간중 36,640 cells ${\cdot}\;mL^{-1}$로 가장 많았다.의 후기에 광(光)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the G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and Climate Factors)

  • 김자경;박대식;이헌주;정수민;김일훈
    • 생태와환경
    • /
    • 제47권3호
    • /
    • pp.194-201
    • /
    • 2014
  • 번식 시작 전 어느 기간의 어떠한 기후요소가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부산시 기장군 봉대산 일대에서 고리도롱뇽의 자연번식지와 인접한 대체번식지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의 번식기 동안 날짜에 따라 번식지에 출현한 개체들을 기록한 개체군 모니터링 자료와 조사지로부터 약 25 km 떨어진 기상대에서 획득한 기후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번식 시작 전 약 1달 동안의 평균기온 및 평균최저기온은 대체번식지 내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번식 전 2~4달 동안의 겨울철 평균일교차와 평균강수량은 각각 자연번식지의 수컷과 자연번식지와 대체번식지의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쳤다.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 요소와의 관련성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자연번식지에서보다는 대체번식지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년도에 걸친 단순한 평균온도의 상승보다는 겨울철을 포함하는 기간 동안의 평균강수량과 평균일교차의 변동이 유미양서류 번식이주 시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가 수컷에 비하여 기후요소에 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며, 특별히 이주된 유미양서류의 개체군들에서 이주시기는 기후요소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미양서류 다리 재생 기간중 탈분화 시기 특이적 트립신, 키모트립신 유사 단백질 효소의 활성도 증가 (Dedifferentiation State Specific Increase of Trypsin- and Chymotrypsin-like Protease Activities during Urodele Limb Regeneration and Their Enhancement by Retinoic Acid Treatment)

  • 이은호;김원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5-74
    • /
    • 1996
  • 재생중인 양서류의 다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면 패턴 복제가 유발되며 이러한 현상은 탈분화 정도와 깊이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과 멕시코산 도롱뇽의 일종인 엑소로틀(Ambystoma mexicanum)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탈분화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과 유사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도를 재생 단계에 따라 조사해 봄으로써 이들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도와 레티노익산에 의해 증가되는 탈분화 상태의 정도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으며 다리 생산 기간중 상기 효소의 활성도 변화에 종 특이적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효소의 활성도는 탈분화시기에서 최대에 도달함을 알수 있었고 레티노익산 처리는 트립신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한국산 도롱뇽에서 두드러졌고 이는 레티노익산 처리에 의한 반응에 종 특이적 차이가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가 재생중인 다리의 탈분화 과정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으며, 이들 단백질 분해 효소가 레티노익산 처리에 의한 탈분화 과정의 강화에 관여하리라는 것을 암시한다.

  • PDF

한국산 도롱뇽의 구애 행동, 싸움행동 및 신체적 특징 (Courtship, Fighting Behaviors and Sexual Dimorphism of the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박시룡;박대식;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37-446
    • /
    • 1996
  •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의 암수의 신체적 특성 및 구애,싸움 행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몸의 길이, 코부터 총배설까지의 길이, 몸의 길이에 대한 코부터 총 배설강까지 길이의 비에 있어서 암컷이 수컷보다 더 길었으며, 수컷들은 몸의 길이, 코부터 총배설까지의 길이, 머리의 넓이, 꼬리부터 총배설까지의 길이, 꼬리의 넓이의 5개 요소에 있어서 모든 요소들이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반면, 암컷에 있어서는 꼬리의 넓이를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의미 있는 상관을 보였다. 체외수정을 하는 한국산 도롱뇽의 성적인 행동은 암컷을 확인하는 단계,암컷을 유인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 단계로 구성되어진다. 안컷을 확인하는 단계는 암컷에게로 접근 행동 및 서로 코를 맞대는 행동으로 구성되며, 유인단계에서는 턱부비기, 꼬리치기, 냄새맡기, 파기의 네 가지의 과시 행동이 나타났다. 수정의 과정은 포집, 암컷으로부터 알주머니의 분리, 알의 수정, 수정 후 과시행동으로 구성되었다. 싸움 행동은 간단한 편으로, 공격하는 개체는 상대편의 위턱이나 뒷다리 부근을 주로 물었으며, 문 상태에서 자신의 머리를 2-3회 흔드는 행동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개체의 크기에 상관없이 공격을 당한 개체는 공격한 개체로부터 재 빨리 회피를 하였으며, 승리를 한 개체는 빠른 꼬리치기 과시 행동을 보였다.

  • PDF

Genetic and Ph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Forms of Korean Salamander Hynobius Ieechii

  • Yang, Suh-Yung;Kim, Jong-Bum;Min, Mi-Sook;Suh, Jae-Hwa;Suk, Ho-Y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247-257
    • /
    • 1997
  • Genet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of Korean Hynobius leechii were surveyed.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study genetic variation at 23 loci. H. leechii is genet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of which is named as Form-A, Form-B, and Form-C. These forms are clearly separated with 4-5 fixed or nearly fixed allelic differences. At a sympatry near Jangseong, Jollanam-do, a significant deviation from random mating between Form-A and Form-B was observed. Therefore, they are considered as two distinct taxi of specific rank. Form-A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inland of Korea, whereas Form-B is distributed in the islands or near the coastal regions of Western and Southern Korea. Form-B had, in addition, a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 from Form-A. On the other hand, Form-C was restricted to an area near Kori atomic power plant, Kyongsangnam-do, and the genetic similarities between this form and Form-A and Form-B were 0.742 and 0.736, respectively. Moreover, Form-C had a unique color pattern, short body and small coccyx. Thus, it seems reasonable to assign this form as another new species.

  • PDF

Male Hynobius leechii (Amphibia: Hynobiidae) Discriminate Female Reproductive States Based on Chemical Cues

  • Park, Dae-Sik;Sung, Ha-Cheo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137-143
    • /
    • 2006
  • A series of no-choice olfactory response tests using water pre-conditioned with females, with intact and surgically removed ventral glands, at various reproductive stat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male Hynobius leechii discriminates among females in different reproductive states based on chemical cues. Similarly, ventral gland extracts were tested, and ventral gland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Males’ responses to putative odors of females in four (ovulating, ovulated, ovipositing, and oviposited) reproductive states were independently measured by: i) the latency time to initiate male behavioral response, ii) the arrival time at a fixed point of putative odor source, and iii) the staying time close to the odor point source. Male salamanders showed significant olfactory responses to recently ovulated and ovipositing female odors by quickly arriving at odor sources and staying longer at the origin of the source, but the olfactory responses to the earlier staged ovulating females and the later stage of already oviposited females were not different from controls. Olfactory responses of test males to water preconditioned by intact females or females with ventral glands excised were not different. In addition, ventral gland extracts did not induce significant olfactory responses of test males although the lumens of alveoli in ventral glands of oviposited females were smaller than those of ovulated fema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le H. leechii recognizes ovulated and ovipositing females based on chemical cues released but not from the ventral glands.

Echinostoma hortense의 인체감염 2례 (Two Cases of Natural Human Infection by Echinostomu hortense)

  • 이상겸;정락승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77-81
    • /
    • 1986
  • 1986년 4월부터 5월사이에 인제대학부속 서울백병원에 내원한 2명의 남자 환자로부터 극구흡충류의 충란을 발견하고 praziquantel(10~12mg/kg 단회투여)로 치료한 후 1명의 설사변으로부터 5.9~7.5mm 길이의 충체 21마리를 얻었던 바 27~28개의 두극(collar spine), 난소의 위치, 고환의 배열 및 크기, 충란의 크기 등을 근거로 Echinostoma hortense Asada, 1926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환자는 38세 및 20세 남자로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나 고향은 경북 청송 및 성주이며 각종 담수어 또는 도롱뇽 등을 생식한 경험이 있었고 하복부 통증, 설사 등을 호소하였다. 두번째 환자에서는 충체수집에 실패하였으나 치료전 22%의 eosinophilia가 치료 후 5%로 감소되었고 두 환자 모두 치료 후 충란이 검출되지 않아 완치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증례들은 국내에서 E. hortense의 인체감염 제 4 례 및 제 5 례에 해당된다.

  • PDF

경안천 고수부지에 조성한 금어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 시스템의 수질정화 및 생태복원 효과 (Water Purific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Effects of the Keumeo Stream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Established on the Floodplain of Kyungan Stream)

  • 변찬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35
    • /
    • 2010
  • A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was constructed on the floodplain of Kyungan stream in December, 2006. It purifies polluted water of Keumeo stream which flows into the stream. Water were sampled once a month at inlet and outlet from December, 2007 to December, 2008. $BOD_5$, SS, T-N and T-P were analyzed. Plant and fish species of the system were monitored twice during the period.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BOD5 concentration was 6.2 and 2.2 mg/L, respectively and BOD5 removal was 50.8%. SS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was averaged 10.1mg/L and 1.5mg/L, respectively and SS abatement amounted to 77.0%.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T-N concentration was 4.9mg/L and 2.9 mg/L, respectively and T-N retention was 50.8%. T-P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was averaged 0.386mg/L and 0.107mg/L, respectively and T-P removal amounted to 77.0%. Twenty two plant species were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system, however, they didn't m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lant populations compared with the planted species. Dominant plant speci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Phragmites communis > Typha latifolia > Iris pseudoacorus > Persicaria thunbergii. Five families and 15 species of fish were observed in the system including Chinese minnow (Moroco oxycephalus) which inhabits in clean water. Six more fish species were monitored in the system compared with ones living in Kyungan stream. Amphibia and reptiles accounted for 11 species of 4 orders and 7 families including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 which also lives in clean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