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see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동물성지방 대체제로서 홍화씨(Carthamus tinctorius L.)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with Safflower Seed Powder as an Animal Fat Replacer)

  • 박경숙;최영준;문윤희;박현숙;김민주;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28-935
    • /
    • 2012
  • 본 연구는 동물성지방 대체물질로서 홍화씨(Carthamus tinctorius L.)의 첨가가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 68%, 냉수 10%, 소금 2%에 돼지지방 20%(control), 돼지지방 10%와 홍화씨 10%(10% SS) 그리고 홍화씨 20%(20% SS)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생육 및 가열육의 수분, 단백질 및 회분함량은 20% SS가 가장 높았고, 지방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p<0.05). 수율, 수분보유율, 지방보유율 및 보수력은 20% SS가 가장 높았으며, 직경감소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외부 및 내부의 명도(L-value), 적색도(a-value) 및 황색도(b-value)는 대조군이 10% SS 및 20% SS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 10% SS 및 20% SS가 각각 50.85, 21.77 및 17.91 mg/100 g으로 20% SS가 가장 낮았다(p<0.05). Linoleic acid 함량은 대조군, 10% SS 및 20% SS가 각각 28.68%, 41.04% 및 54.26%이었다. 전체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군, 10% SS 및 20% SS가 각각 50.53%, 55.76% 및 64.93%이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linoleic acid 및 전체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20% SS가 가장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박준홍;김기재;김재철;김세종;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4-200
    • /
    • 2000
  •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circ}C$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circ}C$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 PDF

종실유(seeds oil)의 위치별 지방산 및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조성 연구 (Study on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and Triacylglycerol Separation, of Seed Oils)

  • 문준희;황윤익;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26-7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6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조지방 함량(crude fat content) 측정 및 총 지방산 조성과 위치별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triacylglycerol(TAG)의 조성과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Folch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조지방 함량은 들깨 21.64%, 홍화씨 13.85%, 고추씨 9.60%, 석류씨 8.85%, 녹두 2.25%, 결명자 2.00%로 나타났다. 추출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결과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가 81.57 wt%~46.17 wt%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88.30 wt%~15.99 wt%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riacylglycerol(TAG)의 조성은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artition number(PN)=36~48의 분포를 보였다. Total tocopherol의 함량은 석류씨에서 가장 높은 377.74 mg /100 g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각각 녹두(141.16 mg/100 g), 결명자(107.23 mg/100 g), 고추씨(33.88 mg/100 g), 들깨(30.05 mg/100 g), 홍화씨(29.80 mg/100 g) 순으로 측정되었다.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Seeds and Leave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Lee, Won-Jung;Cho, Sung-Hee;Lee, Jun-Young;Park, Sang-W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22-39
    • /
    • 2003
  •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seeds and leaves of safflower (Carthamu tinctorius L.) were evaluated using several in vitro and in vivo assays. Six phenolic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and identified as N-feruloylserotonia, N- (p-coumaroyl)serotonin, matairesinol, 8′-hydroxyarctigenin, acacetin 7-O-$\beta$-D-glucoside (tilianine) and acacetin. Six phenolic compounds exhibited considerable antioxidative activity, and especially two serotonins showed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peroxidative activity against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the hydroxyl radical generated via a Fenton-type reaction. Additionally, six phenolic compounds possessed comparable cytotoxicity against three cancer cells, Hela cell, MCF-7 and HepG2 cell, and particularly acacetin and its glycosides had the most potent cytotoxicity. Moreover, we found that feeding safflower seeds attenuated bone loss, and lowered levels of plasma and liver lipids in ovariectomized rats. Serotonins, lignans and flavones stimulated proliferation of the osteoblast-like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10$^{-15}$ ~10$^{-6}$ M), as potently as E$_2$ (17$\beta$-estradiol). Particularly, serotonin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bone-protecting and lipid lowering effects in ovariectomized rats. Meanwhile, eight flavonoids, including a novel quercetin-7-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and seven kown flavonoids, luteolin quercetin, luteolin 7-O-$\beta$-D-glucopyranoside, luteolin-7-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quercetin 7-O- -glucopyranoside, acacetin 7-O-$\beta$-D-glucuronide and apigenin-6-C-$\beta$-D-glucopyranosyl-8-C-$\beta$-D-glucopyranoside were first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safflower leaf. Among these flavonoids, luteolin-acetyl-glucoside and $\beta$quercetin- acetyl-glucoside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gainst 2-deoxyribose degrad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Luteolin, quercetin and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 also exhibit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while acacetin glucuronide and apigenin-6, 8-di-C-glucoside were relatively less active. Finally, changes in phenolic compositions were also determined by HPLC in the safflower seed and leaf during growth stages and roasting process to produce standardized supplement power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enolic compounds in the roasted safflower seed and leaf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therapeutic agents against several pathological disorders such as carcinogenesis, atherosclerosis and osteoporosis.

  • PDF

홍화씨 Youghurt 급여가 난소절제 Rat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fflower Seed Yoghurt on the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

  • 김기영;김상범;임종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69-76
    • /
    • 2004
  • 홍화씨 yoghurt가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ham-operation되어 6주간 정상식이한 군을 대조구로 하였고, 난소 절제하여 6주간 저칼슘식이한 군을 정상식이군(G I), yoghurt를 첨가하여 사육한 군(G II) 및 1%${\sim}$4%홍화씨yoghurt를 첨가하여 사육한 군(GIII${\sim}$GVI)으로 구분하여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효율을 알아보았고, 왼쪽 대퇴골의 무게, 밀도, 길이, 강도, 회분 및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오른쪽 대퇴골의 조직을 SEM으로 관찰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구조와 실험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효율 및 체중 증가량은 홍화씨 yoghurt 식이구가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며, 특히 GV와 GVI구가 높게 나타났다. 왼쪽 대퇴골의 밀도, 강도, 회분 및 미네랄 함량은 대조구와 G I간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홍화씨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무게와 길이는 전 실험구에 있어서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4% 홍화씨 yoghurt 식이구(GVI)가 가장 골다공증 치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홍화씨 yoghurt 식이가 난소 절제 및 저칼슘식이를 한 rat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정상식이 및 yoghurt 식이구보다 홍화씨 yoghurt 식이구가 높은 치유효과를 보였으며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잇꽃 종자의 발아에서 제(Hilum)의 형태적 특성과 기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Hilum in Safflower Seed Germination)

  • 안석현;정남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117-122
    • /
    • 2013
  • 본 실험은 경실 종자인 잇꽃의 종자구조와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잇꽃 종자의 외형적 특징은 단단한 종피 표면에 제(hilum)와 주공(micropyle)이 있으며, 제는 종자의 발달과정에서 태좌와 연결되어 있었고, 주공은 암술대와 연결되어 있었던 부분이다. 종자 침종 후 2-3시간 후에 제의 표면이 열렸으며, 발아 시 유아(embryo)가 제를 뚫고 돌출되었다. 잇꽃 종자의 흡습 전에 제와 주공에 파라핀을 처리하여 밀봉한 결과, 제 부위를 밀봉한 처리에서 종자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잇꽃 종자의 수분과 산소 교환이 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잇꽃 종자의 제가 물에 잠기도록 수분을 공급한 발아실험(top of paper method)에서는 $15^{\circ}C$에서 31.3%, $20^{\circ}C$에서 15.7%, 그리고 $25^{\circ}C$에서 6.0%가 발아하였으며, between-paper method에 의한 실험에서는 $15^{\circ}C$에서 45.5%, $20^{\circ}C$에서 30.0%, $25^{\circ}C$ 14.0%로 발아율이 나타났고, 토양에 파종한 종자는 온도에 관계 없이 80% 내외의 발아율을 보여, 잇꽃 종자의 발아에 수분공급 조건과 온도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제(hilum)의 내부 구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관요소를 구성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잇꽃 종자의 제(hilum)는 발아과정에서 수분흡수와 가스교환 통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 시용 형태 및 시용량이 홍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 and Amounts of Sulfur Fertilizer on Growth and Seed Yield of Safflower)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송범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03-506
    • /
    • 2004
  • 홍화 재배시 비효면에서 효과적인 황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황분말 20 kg/10a와 유안의 시용방법 및 시용량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 유형 및 시용 정도에 따른 생육은 황 시용시 무시용에 비하여 초장이 큰 경향이었으며, 경태와 경엽중이 굵거나 무거웠고,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 보다는 유안 처리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황을 시용함으로써 화두수 등 수량구성요소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종실 수량이 $4-10\%$ 증수되었다.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보다는 유안이 효과적이었으며, 유안 시비방법 간에는 엽면시비 8.3kg/10a과 토양시비 $33.0\~49.5kg/10a$ 시용구와 차이가 미미하였다.

Effect of Extracts from Safflower Seeds 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Intracellular Free Calcium Concentration in MC3T3-El Cells

  • Jang, Hye-Ock;Eom, Hyun-Sup;Roh, Sung-Bae;Yun, l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1호
    • /
    • pp.55-62
    • /
    • 2005
  •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safflower se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bone deficiency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which are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s. In the present study, $3{\mu}l$ of 0.1% dried crude extract or $2{\mu}l$ of 0.1% dried aqueous fraction were shown to significantly accelerate the rate of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Also, the crude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increased the $[Ca^{2+}]_i$ of the cultured osteoblast cells: $3{\mu}l$ of 0.1% dried crude extract and $2{\mu}l$ of 0.1% dried aqueous f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a^{2+}]_i$ of the cultured osteoblast cells ($8{\times}10^{-4}$) to the extent that it deserves a considerable attention. Furthermore, the crude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increased the $[Ca^{2+}]_i$ of the cultured osteoblast cells, and $300{\mu}M$ $Cd^{2+}$, specific calcium channel blocker, completely blocked the increase. Therefore, the increased $[Ca^{2+}]_i$ of the cultured osteoblast cells by safflower seed component continued to activate calcium channel.

하우스 재배(栽培) 잇꽃의 생육(生育) 및 종실수양(種實收量) (Growth and Seed Yield of Safflower in Plastic house)

  • 김기재;신종희;박준홍;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9-274
    • /
    • 1999
  • 홍화(紅花)의 안전다수확(安全多收穫) 재배기술(栽培技術) 확립(確立) 일환(一環)으로 무처리(無處理), 파종시(播種時), 개화시(開花時), 개화기(開花期), 개화후(開花後) 10일부터 수확기(收穫期)까지 비가림재배의 효과를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홍화(紅花)는 일찍 비가림 재배에 의하여 출아기(出芽期)와 개화기(開花期)가 빨랐으며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다. 10a당 종실(種實)은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일찍 비가림한 것이 387kg으로 노지재배 198kg에 비해 95%증수 되어 비가림 적기로 판단되었다. 홍화 종실의 색도는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 한 것이 명도가 가장 높고 적색도와 총색도가 가장 낮아 거의 횐색 을 나타내었다. 비가림 시기에 따른 경제성(經濟性)은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이 가장 높았는데 노지재배 10a당 소득 3,675천원에 비해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은 6,705천원으로 82%정도 소득이 향상되었다.

  • PDF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Roas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 Kang, Ga-Hwa;Chang, Eun-Ju;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21-225
    • /
    • 1999
  • Antioxidative compounds contained in roasted safflower seeds were investigated. Six phenolic compounds, N-feruloylserotonin, N-(p-coumaroyl) serotonin, matairesinol, 8'-hydroxyarctigenin, acacetin 7-Ο-β-D-glucoside(tilianine) and acacetin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extract of seeds. The inhibitory effects of six phenolic compounds on 1,1-dipheny1-2-picrylhydrazyl(DPPH) radical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₂O₂/FeSO₄in rat liver microsomes were determined. Two serotonins showed more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 stronger inhibitory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than that of α-tocopherol. In addition, acacetin and matairesinol also considerab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while 2-hydroxy-arctigenin and tilianine were inac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serotonins, lignans and flavonoids in the roasted safflower seeds can be used as potential dietary natural antioxid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