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ype and Amounts of Sulfur Fertilizer on Growth and Seed Yield of Safflower

황 시용 형태 및 시용량이 홍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o clarify the efficient application method of sulfur in safflower, we investigated the growth and seed yield as affected by ammonium sulfate (AS) and sulfur powder. AS was applied to the soil with four levels of 0, 4, 8, and 12 kg/10a and was applied by foliar application with 2 kg/10a as sulfur content compared with sulfur powder 20 kg/10a. By the application of sulfur fertilizer,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weight of stem and leaves tended to be greater than control. AS was more efficient than sulfur powder in growth of safflower. Sulfur applica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yield components and seed yield was increased by $4-10\%$ compared to control. In application effects, AS and foliar application were more efficient than sulfur powder and soil application, respectively.

홍화 재배시 비효면에서 효과적인 황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황분말 20 kg/10a와 유안의 시용방법 및 시용량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 유형 및 시용 정도에 따른 생육은 황 시용시 무시용에 비하여 초장이 큰 경향이었으며, 경태와 경엽중이 굵거나 무거웠고,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 보다는 유안 처리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황을 시용함으로써 화두수 등 수량구성요소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종실 수량이 $4-10\%$ 증수되었다.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보다는 유안이 효과적이었으며, 유안 시비방법 간에는 엽면시비 8.3kg/10a과 토양시비 $33.0\~49.5kg/10a$ 시용구와 차이가 미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복진, 백준호, 최혁 1997 질소 및 유황시용이 수도의 수량과 함유황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0(2). 122-128
  2. 김재길 1992 원색천연약물대사전. 남산당. 서울. 上 . 82-83
  3. 김준한 1998 한국산 홍화 종실의 골절치유 및 지질대사 개선 효능과 가공식품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창민, 심민교 , 안덕균, 이경순(완역). 1998 중약대사전 정담. 서울 10 6357-6362
  5. 김창배, 박선도, 박노권, 최대웅, 손삼곤 1987 낙동강유역 사질땅콩재배지 가리 및 유황분말 시용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0(2) 161-168
  6.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VI.298
  7.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 분석법
  8. 박준홍, 김기재, 박소득, 박만, 이동훈, 최승렬, 최정. 2000 유황시용이 토양화학성 및 홍화종실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4). 378-385
  9. 박향미, 김정옥, 강위금, 강항원, 박경배 1997 마늘품종별 황 및 황산가리의 시용 이 수량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농업환경논문집 39(2) . 35-39
  10. 서현주, 김준한, 곽동윤, 전선민, 구세광, 이재현, 문광덕, 최명숙 2000 늑골 골절을 유도한 흰쥐에서 홍화씨 분말 및 분획들의 급여가 골절 회복 중 골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3(4) 41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