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score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27초

Improving the Workplace Experience of Caregiver-Employees: A Time-Series Analysis of a Workplace Intervention

  • Ding, Regina;Dardas, Anastassios;Wang, Li;Williams, Allis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3호
    • /
    • pp.296-303
    • /
    • 2021
  • Background: Rapid population aging in developed countries has resulted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increasingly being tasked with the provision of informal care. Method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delivered to 21 carer-employees employed at a Canadian University. Work role function, job security, schedule control,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were measured as part of an aggregated workplace experience score. This score was used to measure changes pre/post intervention and at a follow-up period approximately 12 months post intervention. Three random intercept models were created via linear mixed modeling to illustrate changes in participants' workplace experience across time. Results: All three model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dom and fixed effects intercepts, with a positive coefficient of change.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demonstrated an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experience score for participants over time, with the association particularly strong immediately after intervention.

영유아 사고실태와 영유아 어머니의 안전관련 태도, 지식 및 실천 (Child Injury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n Safety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 방경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40
    • /
    • 2005
  • Objectives: To describe the rate of injurie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n safety of their mothers. Methods: The total sample consisted of 308 mothers with infants or toddlers from two public health centers in two cities in Kyu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which was analyzed with SPSS 11.5 Win program. Results: Thirty-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d home accidents. Fall. burn. and lacer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home injuries. Most of the mothers were anxious for child accidents, and $59.4\%$ of mothers thought of safety as a primary concern. The mean score of knowledge on safety was 7.63. and the mean score of practice on safety was 34.76. Safety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and experience of having information on safety. but safety practice was not different depending on these facto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afety practice and child rearing burden. Conclusions: The rate of injuries among infants and toddlers was still high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about the accident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level of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actice of their mothers. The related factors foun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anticipatory guidance or developing injury prevention programs for mothers.

  • PDF

중환자실 욕창예방 프로그램 효과의 비교순위: 네트워크 메타분석 (Comparative Effects and Ranks of Pressure Ulcer Preventive Programs in Intensive Care Units: A Network Meta-analysis)

  • 고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3-57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환자실 환자들의 욕창예방 중재의 비교효과와 순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메타 분석은 R software의 "netmeta": 패키지를 이용한 빈도주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네트워크 메타 분석에 결과에 따른 욕창예방의 프로그램의 중재 간 비교우위는 욕창 표준중재와 비교하여 순위는 피부보호 용품 사용이(P-Score 85.3.%: OR=0.12, 95% CI: 0.03, 0.49) 가장 효과적일 확률이 높았으며 두 번째는 실리콘 폼 드레싱(P-Score 84.5%: OR=0.14, 95% CI: 0.05, 0.38)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통합중재 (P-Score 60.0%: OR=0.29, 95% CI: 0.07, 1.25), 체위변경 (P-Score 32.3%: OR=0.66, 95% CI: 0.21, 2.09) 그리고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직물의 사용(P-Score 23.8%: OR=0.85, 95% CI: 0.20, 3.65)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환자실 욕창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NN을 이용한 거리 사진의 분류와 안전도 평가 (Classification and Safety Score Evaluation of Street Images Using CNN)

  • 배규호;윤정언;박인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45-350
    • /
    • 2018
  •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최근 가장 주목받는 인공지능 기법 중 하나이며 특히 영상 분류에서 기존의 기법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CNN을 이용하여 다양한 거리 사진을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거리에 대한 안전도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CNN을 이용하여 총 네 가지 유형의 거리 사진에 대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과 학습된 네트워크 모델을 바탕으로 해당 거리 사진의 분류와 안전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거리 사진의 학습 과정에서는 네 가지 유형의 거리 사진 데이터셋을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증강시킨 후 CNN 학습을 수행한다. 학습된 CNN 모델은 주어진 입력 영상의 분류를 정확히 수행하고, 거리의 안전도는 각 유형에 대한 확률을 조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한다.

국립공원 안전관리전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실태 및 관련요인 (Post-traumatic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safety managers in Korea National Parks)

  • 김형욱;한미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4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safety managers in Korea National Park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09 safety managers working in Korea National Parks.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rough the mail. The associated factors with post-traumatic stress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Overall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10.32{\pm}11.37$ and 12.8% was the high-risk group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imple analysis,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drinking frequency, disease history, duration of career, delay of rescue, provided the break, rest space and the number of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Finally, the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ho experienced 3 (B=9.141, SE=3.538) or more than 4 (B=11.367, SE=3.063) traumatic events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 Conclusion: The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10.32{\pm}11.37$ and 12.8% was the high-risk group among safety managers in Korea National Parks.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Management of safety managers after mobilization or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will be helpful to decrease of post-traumatic stress.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Using GIS)

  • 여창건;서근순;송재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77
    • /
    • 2011
  •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은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홍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요인과 저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인자를 선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하여 모형의 시범적용을 수행하였다.

보행자안전지수 개발 - 경남도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edestrian Safety Index - Focused on Gyeongnam Province -)

  • 김경환;오일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D호
    • /
    • pp.497-509
    • /
    • 2011
  • 보행은 인간의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최근 보행자 사고와 관련하여 보행안전이 중요시 되고 있지만, 보행자안전에 대한 노력과 관심은 매우 미미한 실정으로 경남의 보행안전의 계획 수립과 보행사고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사용될 보행자안전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안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인구10만명당 5년 평균보행자사고, 인구10만명당 2009년 보행자사고,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 무단 횡단율, 14세 이하 어린이 및 65세 이상 노인인구 2009년 보행자사고의 5개 인자를 사용하여 경상남도의 10개시를 대상으로 보행자안전지수를 개발하였다. 이 지수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보행자안전이 양호함을 나타낸다. 창원시, 김해시, 마산시의 보행자안전이 양호한 반면 사천시, 통영시의 보행자안전은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영시의 보행자안전지수가 낮은 것은 높은 보행자사고율에 기인하며 사천시는 5년 평균보행자사고와 어린이 및 노인 보행자사고율이 높고 무단 횡단율이 높은데 기인함을 볼 수 있다. 경남도 10개 군의 보행자안전지수를 산정하면 함양군과 합천군의 보행자안전이 양호한 반면 함안군, 하동군, 고성군의 보행자 안전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A Comparison of the Clinical Competence,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onfide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Lim, Jae-Ran;Song, Hyo-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환자안전관리지식 및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73명,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못한 35명으로 총 108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동질성 검정은 X2-test, 두 그룹간의 차이비교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두 그룹간의 임상수행능력(t=.88, p=.377), 환자안전관리지식(t=-.29, p=.773) 및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t=1.11 p=.267)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 그룹에서 각 변수의 하위영역별 가장 점수가 낮은 항목을 살펴보면, 첫째, 임상수행능력에서는 간호과정에 대한 영역에서 대체로 점수가 낮았고, 둘째, 환자안전관리 지식은 근접오류에 대한 개념에 대한 지식 측정 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셋째,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서는 오류 발생 시 사건 보고서 작성에 대한 수행 자신감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임상실습교육환경 개선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역량 증진 및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올바른 태도 함양을 위해 전략적인 교육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al Safety Climate, Pati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Aghaei, Hamed;Asadi, Zahra Sadat;Aliabadi, Mostafa Mirzaei;Ahmadinia, Hass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6호
    • /
    • pp.447-45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hospital safety climate, pati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outcomes among nurses. Methods: In the current cross-sectional study, the occupational safety climate, pati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of nurses were measured using several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al safety climate, pati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Results: A total of 211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ver half of them were female (57.0%). The age of the participants tended to be between 20 years and 30 years old (55.5%), and slightly more than half had less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51.5%). The maximum and minimum scores of occupational safety climate dimensions were found for reporting of errors and cumulative fatigue, respectively. Among the dimensions of patient safety climate, non-punitive response to errors had the highest mean score, and manager expectations and actions promoting patient safety had the lowest mean sco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afety climate and patient safety climate was 0.63 (p<0.05). Occupational safety climate and patient safety climate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afety performance. Conclusions: Clos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occupational safety climate, patient safety climate, and nurses' safety performance. Therefore, improving both the occupational and patient safety climate can improve nurses' safety performance, consequently decreasing occupational and patient-related adverse outcomes in healthcare units.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알아보고 환자안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자안전문화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의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0일부터 11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46점이었고, 세 가지 영역에서는,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점수와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점수 및 병동의 안전의식 수준의 점수는 각각 $3.59{\pm}0.3$점, $3.41{\pm}0.5$점, $3.41{\pm}0.4$점 이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 경험과 병원근무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점수는 간호사의 결혼상태, 안전교육, 직무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경험과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의 안전사고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병동의 안전의식수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환자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직업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간호사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