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factor and displacemen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9초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ㄱ 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 이흥수;정철헌;김병석;강재윤;손유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10-413
    • /
    • 2006
  • The ㄱ 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is a ㄱ type flat steel plate with a number of holes punched through. This connector can be effectively used in girder with high shear. The ㄱ 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exhibit very stiff behaviour under service load conditions and also had the characteristic of re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load after the attainment of ultimate capacity. The ㄱ 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with safety factor of 3 is applied shear connector of CFT composite girder. From static test result of CFT composite girder, relative displacement of 0.01mm measured at the service load moment. At design of the ㄱ 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applying safety factor of 3 was more conservative than test result.

  • PDF

Trawl 어선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QUALITIES TRAWLER)

  • 고장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7-292
    • /
    • 1976
  • 1) A선형은 배수량이 2,400톤인 경우 KG의 값이 3.40m, 3.70m때 안정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배수량이 1,600톤 1,900톤 2,200톤일 경우는 KG의 값이 3.40m때 어느정도 안정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2) B선형은 배수량이 2,400톤일 경우 KG의 값이 3.40m때 만이 어느정도 안정범위에 있으나 배수량이 1,30 $0\~2,200$톤일 경우 KG값이 $3.40\~4.60m$때는 모두 위험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3. A선형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395m때 안정범위에 있고 B선형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890m때 어느 정도 안정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끝으로 본연구를 하는데 지도하여 주신 부산공대 김진안 교수님과 자료를 제공해 주신 대양조선주식회사 정부장씨께 감사드리며, 계산과정에서 협조해준 양주호군에게 사의를 표한다.

  • PDF

후면 덧쌓기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제체의 안정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according to backside extension)

  • 이달원;노재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97-110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safety evalu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design method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according to backside extension. Seepage analysis,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Also, the pore water pressure, seepage quantity, safety factor and stress-strain behavior according to high water level and rapid drawdow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ore water pressure at contact region between backside extension and old embankment was kept high after rapid drawdown. Therefore, backside extension is recommended that design method is required to be improved and reinforced more than the others raising embankment. The hydraulic gradients before and after backside extension showed high value at the base of the core, but they showed stable state at the upstream slope and downstream slope. The seepage quantity per 1 day and the leakage per 100 m for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appeared to be safe against the piping. The safety factor of slope stability showed high at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did not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apid drawdown. The safety factor was appeared high at the upstream slope before backside extension and downstream slope after extension.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for steady 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showed negative(-) at the upstream slope, it was small at the downstream slope. The mean effective stress (p') showed high at the base of the core and to be wild distribution after the extension. The displacement after extension showed 0.02-0.06 m in the upstream slope, the maximum shear strain after extension was smaller than that before extension.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s Using Vertical Drain Methods)

  • 홍원표;김정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5-15
    • /
    • 2012
  •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안지역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연약지반 현장의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성토규모가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약층의 두께와 상대적 도로성토규모가 클수록 연약지반 속의 수평변위는 크게 발생하였다. 특히 연약지반이 두꺼우면 도로성토저면폭에 대한 연약층의 두께의 비인 상대적 성토규모도 자연 커지므로 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도로성토속도가 빠르면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이 크게 발생하였다. 그 밖에도 연약지반의 두께와 비배수전단강도, 지반계수 및 안정수는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즉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지반계수가 작을수록 그리고 안정수가 클수록 연약지반의 최대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3이하가 되고 지지 안전율이 1.7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연약지반 속에 전단파괴가 발생되는 불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5.14이상이 되고 지지안전율이 1.0이하가 되었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허용최대수평변위량의 기준은 5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약지반에 전단파괴가 발생됨이 없이 도로성토를 실시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 기준은 10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암반절리와 시공단계를 고려한 지하 구조체의 해석

  • 김문겸;장정범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지반공학에서의 컴퓨터 활용 COMPUTER UTILIZATION IN GEOTECHNICAL ENGINEERING
    • /
    • pp.179-194
    • /
    • 1991
  • This paper explains outline of a behavior analysis program for underground structures, and its application to a tunnel problem. The program can deal with elasto-plastic behavior of medium and supporting structures, discontinuous behavior due to existing joint, creation and propagation of cracks. in-situ loading condition, and incremental behavior due to stepwise excavation, etc. The program also has additional capabilities such as graphic output of mesh, displacement pattern, stress condition, and safety factor contour, and automatic mesh generation during the excavation steps.

  • PDF

널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굴착사면의 안정해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Excavation Slope on Soft Ground using Sheet Pile)

  • 강예묵;조성섭;이달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3-24
    • /
    • 1996
  • 널말뚝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굴착할 때 굴착단계에 따른 지반의 변위 변형 및 안정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평방향의 변위는 버팀대 설치전에는 굴착면 상부에서 크게 나타났으나, 버팀대 설치 후는 굴착저면의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집중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2. 버팀대 설치후에 널말뚝의 변위는 설치 전보다 1/2정도로 급격히 감소함을 나타냈고, 지반의 안정한 굴착깊이의 한계는 2단 버팀대 설치후는 GL-8.0m정도로 나타났다. 3. 최대전단변형은 굴착깊이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고, 또 굴착저면에서 나타나는 전단변형에 의한 국부적인 파괴가능성은 버팀대로 보강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었다. 4. GL-7.5m에서 널말뚝의 최대수평변위는 탄소성법에서는 굴착깊이의 0.2%, 유한요소법에서는 0.6%로 나타났으며, 굴착저면부근에서 최대변위를 나타냈다. 5. 해석모델지반에서 근입깊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버팀대 1단 설치의 경우는 D/H가 0.89이상, 2단설치의 경우는 D/H가 0.77이상이 될수 있도록 근입깊이를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근입깊이에 대한 안전율과 D/H와의 관계에서 버팀대 1단 설치의 경우는 Fs = 0.736(D/H) + 0.54, 버팀대 2단 설치의 경우는 Fs = 0.750(D/H) + 0.62의 관계식을 나타냈다.

  • PDF

Performance Modeling of a Pyrotechnically Actuated Pin Puller

  • Jang, Seung-Gyo;Lee, Hyo-Nam;Oh, Jo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02-111
    • /
    • 2014
  • An analytical model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physics and predict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a pin puller. The formulated model is based on one-dimensional gas dynamics for an ideal gas. Resistive forces against pin shaft movement were measured in quasi-static mechanical tests, the results of which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The expansion chamber pressure and the pin shaft displacement were measured from an actual firing test and compared to the model prediction. The gas generation rate was adjusted by a correction factor, and the heat transfer rate was obtained through parametric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model is assessed for additional firing tests with different amounts of pyrotechnic charge. This model can provide knowledge on how the pin puller functions, and on which design parameters contribute the most to the actuation of the pin puller. Using this model, we estimate the functional safety factor by compar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pyrotechnic charge to the energy required to accomplish the function.

교량용 탄성받침의 설계압축응력에 대한 고찰 (The Design Criteria of elastomeric Bearing for Highway Bridges)

  • 전규식;이병진;조해진;정명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II)
    • /
    • pp.481-488
    • /
    • 1998
  • Elastomeric bearing is used as one of the most useful way for isolation structures, because the horizontal stiffness is much lower than the vertical stiffness. In the design criteria of Elastomeric bearing, the stability of the bearings is evaluated by shear strain due to compression, lateral displacement, and rotation. The question how soft rubber can sustain heavy structure is now able to be solved by Ultimate capacity test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which results 1,200kg/$\textrm{cm}^2$ of the max. compressive stress and this shows what a sufficient safety factor Elastomeric bearing has !

  • PDF

일정 및 변동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Constant and Varying Axial Forces)

  • 이도형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59-65
    • /
    • 2024
  • This paper describes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under constant and varying axial forces. For this purpose, nine identical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ere designed seismically by KIBSE (2021) and KCI (2021). A comparison of lateral forces with theoretical strength shows that the safety factor for columns under varying axial forces is less marginal than those under constant axial forces. In addition, columns under varying axial forces exhibit significant fluctuations in the hysteretic response due to continuously varying axial forces. This is particularly prominent when many varying axial force cycles within a specific lateral loading cycle increase. Moreover, the displacement ductility of columns under varying axial forces does not meet the code-specified required ductility in the range of varying axial forces. All varying axial forces affect columns' strength, stiffness, and displacement ductility. Therefore, axial force variat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lateral strength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퇴적암 지역에서의 산사태 원인 및 특성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nalysis of Cause and Characteristics of a Landslide at the Sedimentary Rock Area)

  • 송영석;홍원표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01-113
    • /
    • 2007
  • 본 연구는 동해고속도로 확장공사구간에서 도로시공을 위한 사면 절개시 산사태가 발생된 현장을 대상하였다. 대상현장의 산사태 규모는 평면적으로 사면 폭이 100m, 사면높이가 87m로서 전체면적은 약 $9,550m^2$ 정도이다. 대상현장의 산사태는 지반 내 점토층이 존재하는 취약한 지질구조에 의한 내적요인과 사면절개 및 지속적인 강우에 의한 외적요인에 의해 발생된 것이다. 산사태 발생 직후 현장계측결과 사면지반의 수평변위는 우기철의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누적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산사태 발생시 측정된 사면지반의 수평변위를 통하여 사면활동면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장계측을 통하여 사면활동면 발생 깊이에서부터 사면지반의 수평변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면활동면 발생 깊이는 점토층이 분포하고 있는 깊이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Bishop의 간편법을 이용한 사면안정해석결과 강우시 사면안전율은 0.53으로 산사태가 발생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면활동면의 발생 깊이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측정된 점토층이 분포하고 있는 깊이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