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environment of Standard Precaution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영향요인 : 지식, 안전환경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e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Infection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ocusing on Knowledge and Safety Environment)

  • 이지인;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38-247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염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지식, 안전환경, 수행도를 조사하고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S시, N시의 2개의 공공의료기관 간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지침 지식은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은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지식 정도는 평균 21.98(25점 만점), 안전환경은 평균 5.68(7점 만점), 수행도는 평균 40.28(60점 만점)이었으며,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r=.21,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𝛽=.22, p=.00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의료기관에서 간호사의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 및 지지적 안전환경을 제공하고 현 상황을 고려한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안전 환경이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Moral Sensitivity and Safety Environment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 한달롱;서경산;김은숙;김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64-37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병원 안전 환경이 간호사의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개 종합병원 간호사 214명이었으며 2017년 8월 1일부터 15일까지 도덕적 민감성, 표준주의 안전 환경,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에 관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등 서술통계, 독립표본 차이 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5.05점이었으며, 표준주의에 대한 안전 환경은 7점 만점에 5.76점,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는 5점 만점에 4.50점이었다.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는 도덕적 민감성 및 표준주의 안전 환경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 부서(응급실, 중환자실), 나이, 표준주의 안전 환경이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5.3%였으며, 도덕적 민감성은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염 표준주의 이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규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부서별 특성에 따른 맞춤 증진활동이 필요하며 표준주의 안전 환경 확립을 위한 기관의 인적,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혈액 및 체액 노출과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대한 영향 요인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 박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63-572
    • /
    • 2016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주사바늘이나 날카로운 상처 경험과 혈액 및 체액의 접촉 경험을 알아보고,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소재하는 3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4명으로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이행도, 안전환경 및 태도에 대해 설문조사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지난 1년 동안 주사바늘이나 날카로운 기구 등에 의한 상처 경험은 대상자의 40.3%에서 보고되었고, 평균 경험 횟수는 1.01회였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환자의 혈액, 체액 및 상처의 접촉 경험은 대상자의 29.2%가 경험하였고, 평균 1.06회를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접촉종류는 혈액(22.9%)이 가장 많았다.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는 총 4점 만점 중에 3.77점, 이행도는 3.45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이행도는 인지도보다 더 낮았다. 표준주의지침 이행도는 인지도 및 안전환경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와 안전환경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6%로 나타났다. 이에 표준주의지침의 이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무에서 병원감염의 예방을 위해 표준주의지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병원의 지지적인 안전환경 증진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 태도 및 준수 정도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 이경희;최주옥;이경수;허지안;황태윤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4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The study subjects were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South Korea, and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from 1st to 15th August, 2012. A total of 1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ose who were injured by a syringe needle for the last year accounted for 29.96%, and those exposed to patients' blood or body fluid on their damaged skin/mucous membranes accounted for 26.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and compliance according to safety environment for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The knowledge score of the subjects about standard precautions was $15.30{\pm}1.51$ on a 19 point scale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s' education level. The attitude score was $2.86{\pm}0.49$ on a 4 point scale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how experienced they were on the career. The compliance score was $3.41{\pm}0.38$ on a 4 point scale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age and their experience on the career.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practical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Particularly, it is needed to provide less experienced nurses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along with their supervisors' ongoing attention and position personnel appropriately.

  • PDF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안전환경과 인지도, 수행도 (Nursing Students' Safety-Climat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 차지은;조지영;김유경;남국희;이서영;이선영;이아림;이지예;채수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72-83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안전환경과 표준주의 인지도, 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 되었다. 2016년 7월부터 9월까지 D광역시의 9개 간호대학에서 3, 4학년생 246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 안전환경은 7점 만점에 4.63점이었고, 표준주의 인지도는 5점 만점에 4.67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3.79점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인지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개인 보호구와 안전한 주사행위영역 이였다. 표준주의의 안전환경은 수행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인지도와 수행도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환경과 학년으로 10.7%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방법의 인지교육과 함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안전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 감염관리에 보다 지지적인 실습환경의 조성이 요구되며 시뮬레이션 수업과 같은 새로운 교육 전략과 병원과 학교의 상호협력 시스템을 통한 안전환경구축을 위한 노력 등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EMC Safety Margin Verification for GEO-KOMPSAT Pyrotechnic Systems

  • Koo, Ja-C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1-15
    • /
    • 2022
  • Pyrotechnic initiators provide a source of pyrotechnic energy used to initiate a variety of space mechanisms. Pyrotechnic systems build in electromagnetic environment that may lead to critical or catastrophic hazards. Special precautions are need to prevent a pulse large enough to trigger the initiator from appearing in the pyrotechnic firing circuits at any but the desired time. The EMC verification shall be shown by analysis or test that the pyrotechnic systems meets the requirements of inadvertent activation. The MIL-STD-1576 and two range safeties, AFSPC and CSG, require the safety margin for electromagnetic potential hazards to pyrotechnic systems to a level at least 20 dB below the maximum no-fire power of the EED. The PC23 is equivalent to NASA standard initiator and the 1EPWH100 squib is ESA standard initiator. This paper verifies the two safety margins for electromagnetic potential hazards. The first is verified by analyzing against a RF power. The second is verified by testing against a DC current. The EMC safety margin requirement against RF power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the electric field coupling analysis in differential mode with 21 dB both PC23 and 1EPWH100, and in common mode with 58 dB for PC23 and 48 dB for 1EPWH100 against the maximum no-fire power of the EED. Also, the EMC safety margin requirement against DC curren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the electrical isolation test for the pyrotechnic firing circuits with greater than 20 dB below the maximum no-fire current of the EED.

Comparative Analysis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Control Guidelines from Seven Countries: Implications on COVID-19 Response and Future Guidelines Development

  • Jeong, Yoolwon;Lee, Sun-Hee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4-316
    • /
    • 2022
  • Background: As prevention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ransmission in healthcare settings has become a critical component in its effective management, COVID-19 specific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C) guideline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numerous countries. Although largely based on the current evidence-base, guidelines show much heterogeneity, as they are influenced by respective health system capacities, epidemiological risk, and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ariations and concurrences of these guideline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OVID-19 response and future guidelines development. Methods: The contents of the COVID-19 IPC guidelines were analyzed using the categories and codes developed based on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on core components." Data analysis involved reviewing, appraising and synthesizing data from guidelines, which were then arranged into categories and codes. Selection of countries was based on the country income level, availability of COVID-19 specific IPC guideline developed at a national or district level. Results: The guidelines particularly agreed on IPC measures regarding application of standard precautions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patients and visitors, monitoring and audit of IPC activities and staff illnesses, and management of built environment/equipments. The guidelin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certain components, such as workplace safety measures and criteria for discontinuation of precautions. Several guidelines also contained unique features which enabled a more systematic response to COVID-19. Conclusion: The guidelines generally complied with the current evidence-based COVID-19 management but also revealed variances stemming from differences in local health system capacity. Several unique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for benchmark in future guideline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