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 health education

검색결과 1,200건 처리시간 0.031초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적장애인의 생활체육 요구유형 탐색: Q방법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sports for all requirement typ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cused On Q methodology)

  • 김혜민;김소형;박진우;이현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97-60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생활체육에 대한 요구유형 탐색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관성 연구인 Q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Q방법론의 소표본 이론(small sample doctrine)에 근거하여 P복지관 장애대학생 16명과 직업적응훈련반 12명, 총 28명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인 Q분류(Q-sort)에 사용된 카드는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제시되어져 있는 27개의 생활체육 종목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QUANL pc grogram을 통해 코딩되고 분석되었으며 eigen value 1.00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생활체육 요구유형은 네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1유형; 5.6, 2유형; 2.3, 3유형; 1.9, 4유형; 1.7), 둘째, 다섯 가지 유형별 특성은 경험적 가치 추구형(1유형), 흥미적 가치 추구형(2유형), 목표 지향적 가치 추구형(3유형), 안전지향적 추구형(4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활체육에 대한 지적장애인의 요구도가 다양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병원 내 외래간호사의 포름알데히드 노출 평가 (Exposure to Formaldehyde of Ambulatory Car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

  • 구동철;이채관;이재환;이수연;윤순영;한아름;김현주;박영범;정성욱;문찬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6-452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xposure status of formaldehyde(FA) among the nurses in ambulatory care departments of university hospital. Methods: Two university hospitals were surveyed. The FA concentration in air were measured to target 62 nurses in 8 ambulatory care departments(89 samples). Air sampling and analysis of FA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OSHA Method ID-205.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asking about how to control FA and whether the nurses use the formaldehyde protectors or not. Results: FA was detected in all samples.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FA was 0.258 ppm and the geometric mean was 0.023 ppm. There was no sample that exceeded any of exposure standards by OSHA-TWA whereas there were 54 samples(60.7%) that exceeded the standards by NOISH-TWA. Among 62 nurses handling FA, 13 nurses(21.0%) used the protective gloves while nobody used a gas mask. It was assessed that any of 8 common ambulatory care departments did not use a safety cabinet for FA in which local exhaust ventilation was fixed. Conclusions: Nurses in ambulatory care departments were exposed to FA. Therefore, the environment management of a workplace, the health management of a nurses, FA handling education and installing a FA cabinet with a local exhaust ventilation were needed because FA as a carcinogen was able to cause any cancer to a human body if it was emitted in air for long time.

어린이 화상사고 유형과 어머니의 예방, 태도, 지식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the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Preventive Attitudes to, and Knowledge of Burns)

  • 한정석;김동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97-104
    • /
    • 1998
  • Burns in children result in the loss of precious life, or if the child survives, in much suffering from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se burn accidents to children happen in the bustle of family life and frequently without any warning.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ty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s towards, and knowledge of burn prevention, in order, to not only, in still a safety consciousness regarding the seriousness of burn accidents and the strengthening prevention, but also as basic data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aimed at prevention. From May 1 to May 25 in 199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five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which had been selected for the study. The tools used for the study,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urveyed the type of burns suffered by children, mothers' knowledge of burns and attitudes toward burn acc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s and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compu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burn accidents were those caused by hot water(55.4%) and these were frequently related to everyday habits that easily lead to danger. Further, the first aid treatment following a burn was weak. The majority of the mothers had not instructed their children on who to contact in the case of a fire, first aid for burns, or how to take escape in the case of a fire. This left the children in a defenseless position in case of a fire. The mothers showed a lack knowledge, on what to do when a blaze is discovered, how to put out a fire, first aid for burns, escaping from a fire and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in that 50% of the time they answered incorrectly. From this study a prevention program, HIPP (Home Injury Prevention Program) could be developed that includes fire prevention habits and first aid for burns. This program can be used wi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group education on fire prevention and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construction of a system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o prevent fires and also prevent injury from fires.

  • PDF

캠프캐럴 인근 주민에서 다이옥신류 및 유기염소계 농약의 혈중 농도 및 노출력 (Serum Concentration and Exposure History of Dioxin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among Residents around the Camp Carroll Area)

  • 배상근;김근배;조용성;이유미;이덕희;양원호;주영수;이관;민영선;임현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7-28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could be detected among residents living near Camp Caroll in Waegwan and whether serum concentrations of dioxins, including 2,3,7,8-TCDD,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re associated with length of residence. Methods: Study subjects totaled 113 (for dioxins) and 190 (for OCPs) adults who were selected from participants in a medical investigation. Serum concentrations of dioxins and OCPs were measured using HRGC/HRMS. Information on length of residence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Results: 2,3,7,8-TCDD was not detected in serum among all subjects. When length of residence was classified as a categorical variable,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only residents living in Waegwan for 40 years or longer tended to have high total TEQ values and 2,3,4,7,8-PeCDF with marginal significances. There was no dose-response relation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serum concentrations of these chemicals.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continuous values of the length of residence, total TEQ value and 1,2,3,4,6,7,8-HpCDF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ngth of residence. However, they explained about 3-5% of total variations of serum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unds, while age, consumption of fatty fish, body mass index, alcohol drinking, and cigarette smoking were main variables affecting serum concentrations of dioxins or OCPs. Conclusions: In the current study, high concentrations of certain compounds were mainly observed among persons who lived in Waegwan for at least for 40 years without a dose-response relation. Therefore, it seems difficult to conclude that length of residence meaningfully contributed to the current serum concentrations of dioxins or OCPs among residents in Waegwan. However, considering the half-life of 2,3,7,8-TCDD and indirect exposure rout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desig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y findings.

제조업 근로자들의 작업과 연관된 요통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Risk Factors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Manufacturing Workers)

  • 김대환;김정호;신해림;전진호;김용완;이채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1호
    • /
    • pp.20-36
    • /
    • 1993
  • Work-related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cause the loss of working power especially in actively working age, therefore controlling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tecting the risk factors and proposing the efficient control program of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The subjects were male workers employ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usan with longer than 6 months' working dura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rom May 1 to October 31,1992.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low back pain within the recent one month, general characteristics(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religion, regular exercise), physical characteristics(height, weight), employment status(working duration, daily working hours, rest during work, satis(action fur the job),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posture, forward bending, lifting and movement, satisfaction for table and chair). The result was analyzed for 608 entire respondents by case-control comparative method. The number of cases was 152 with a history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so the relative frequency of self-reported work-related low back pain was 25.0%, and the number of controls was 344 without any history of low back pain. As a result, two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status(working duration, satisfaction fur the job) and all characteristics of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p<0.01). The Oddb ratios of these variables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were calculated. They were 7.88 for the satisfaction fur chair, 7.86 for lifting and movement,3.31 for satisfaction for table, and 2.22 fur bending forward(p<0.01). And for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unsatisfaction for table was independent risk factor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summary, though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ive complaints, the satisfaction for chair, lifting and movement, satisfaction for table, and bending forward concerned with the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were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and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may be preventable by the ergonomic control of these factors.

  • PDF

우리나라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분석: 생물분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ream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in Korea: Focus on the Biological Aspect)

  • 전승훈;김채백;김우람;박상길;채수권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08-117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수계의 하천환경 관리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평가체계를 법제도적 기준과 실행계획 측면에서 검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하천법과 하천사업의 계획 설계과정의 관련 지침, 수질 및 수 생태계 보전법과 수 생태계 건강성 평가 기준을 중점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하천환경평가 관련 법제도적 근거가 미흡하고 관련 기준과 지침이 구체적이지 못하여 하천환경 관리의 실효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된 하천수계 관리체계를 반영하듯 생물 분야의 평가항목과 기준이 수자원 관리와의 통합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채 두 부서의 사업추진 과정에서 단편적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특히 생물 중심의 평가항목과 기준은 물리구조적 서식환경 또는 수질과 연관된 수생생물에 국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다수 생물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필요로 하는 환경영향평가의 과정으로 고려되는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하천수계를 대표할 수 있고 비교적 변동성이 적은 식생, 어류, 조류 등 고등생물을 지표화한 신속하면서도 공간 정보화된 정량적 평가기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 방사선사의 초음파진단검사 직무역량에 관한 고찰 (Job Competency in Ultrasonography of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 임창선;김축복;남궁장순;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57-864
    • /
    • 2019
  • 캐나다 등 많은 국가들이 초음파사(sonographer) 면허제도를 방사선사면허와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방사선사가 의사의 지도아래 초음파영상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방사선사의 초음파영상검사에 대한 직무역량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할 기회를 갖기 위하여 캐나다 초음파사의 표준직무역량(National Competency Profile)을 토대로 한국에서 방사선사가 초음파영상검사를 수행함에 있어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세부역량들에 대한 직무 내용타당도를 측정하였다. 한국 방사선사 직무역량에 포함된 핵심역량의 중요도과 직무수행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전체 중요도의 평균은 4.087점, 전체 수행도의 평균은 3.640점으로 중요도가 더욱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 결과 'A 의사소통', 'B 전문가적 책임', 'D 장비취급', 'G 근무 장소의 건강 및 안전'은 직무 내용타당도가 높았다. 그러나 'C 환자 평가와 돌봄', 'E 비평적 사고와 문제해결', 'H 영상'은 직무 내용타당도가 낮게 나타나 이들 역량을 강화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국가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른 생산 및 조리 주체별 나트륨 섭취 감소 기여 요인 분석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food manufacture and cooking venu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odium reduction policies)

  • 김기랑;박소현;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648-662
    • /
    • 2020
  • 국내 나트륨 평균 섭취량은 2017년 3,477 mg으로 2010년 4,876 mg 대비 7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나트륨 섭취량 감소 추이에서 생산 및 조리 주체별 구분에 따른 기여도에서는 산업체에서 생산된 식품과 가정에서 조리한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이 단체급식과 외식업체에서 조리하여 제공하는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보다 컸다. 식품군과 음식군으로부터 나트륨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요인은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산업체 생산에서는 김치류에서, 가정과 단체급식에서는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에서, 외식업체에서는 조리한 면/만두류였고, 나트륨 기여도가 가장 높았던 이들 식품 및 음식들은 연도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 감소 폭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와 면/만두류의 나트륨 함량 감소 폭은 외식업체 및 단체급식에서 조리한 음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에 주로 기여하는 주요 식품군과 음식군의 종류는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트륨 급원 식품이 특정 식품 위주에서 다양한 식품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여, 향후 나트륨 저감 대상 품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됨을 시시하였다. 국내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은 가공식품을 완제품 형태로 섭취하는 것 외에도 조리 단계에서 식재료로 다양하게 사용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식품군 또는 음식군을 분류하여 나트륨 섭취 주요 급원 및 감소 요인을 파악한 결과는 저염 식품의 개발 및 생산, 저염 섭취와 관련된 식생활 교육 등과 같은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식문화를 고려한 다양한 식품 분류체계 방법을 마련하여 나트륨 섭취량 분석 및 저감 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 입원 환자의 낙상전후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 (Differences in Health Status-relate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Falls in Adult Hospitalized Patients)

  • 김묘연;이미준;소혜은;윤병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51-5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환자가 낙상사고 전후에 따라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입원 후 낙상사고가 발생하여 환자안전보고시스템에 보고된 환자 328명의 데이터를 활용한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68.57±14.13세로서 70대가 30.49%로 가장 많았고, 입원 이후 평균 13.86±25.03일이 경과 시에 낙상사건이 발생하였고, 발생 시간대는 야간(22:30- 06:59)이 42.99%로 가장 많았다. 입원 후 낙상 전후에 배변문제(x2=314.0, p<.001), 배뇨문제(x2=284.0, p<.001), 정맥수액요법(x2=85.16, p<.001), 걸음걸이의 허약감(x2=69.77. p<.001), 와상(x2=51.60, p<.001), 의식이 불명하거나 자신의 기능을 과대평가한 경우(x2=17.52, p<.001) 비협조적 태도(x2=220.1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 전후 환자의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낙상예방 및 개별적인 교육중재활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