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ral hiat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천미골 접합부를 이용한 외톨이 신경절 차단법 (Modified Approach through the Sacrococcygeal Junction to Block the Ganglion Impar)

  • 송선옥;권오득;김성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2호
    • /
    • pp.254-257
    • /
    • 1997
  • Ganglion impar lies immediately anterior to the sacrococcygeal junction and blockade of the ganglion is used to treat anorectal and perineal pain. Although the technique introduced by Plancarte et at is widely practised, the bent needle is sometimes difficult to position precisely and patients find the procedure painful. We modified this approach of block of ganglion impar by positioning the needle into the sacrococcygeal junction and using the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With the patient in the lateral position, a skin wheal was raised at 1-1.5cm below the sacral hiatus. Twenty-three gauge short needle was directly placed into the sacrococcygeal junction with aid of fluoroscopic guidance. From 1 cm behind the anterior margin of the vertebral body in lateral view, we used the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to confirm the retroperitoneal space. We found this modified approach easier to perform during six blocks for three patients with anorectal or perineal pain. Our modified approach through the sacrococcygeal junction may provide opportunity for wider administration of this procedure because of its simple technique, reduced pain during procedure and decreased risk of infection.

  • PDF

경막외 유착용해술시 투여되는 8%와 10% 고장성 식염수농도의 제통효과 및 부작용의 비교 (Comparative Study for Analgesic and Adverse Effects of 8% and 10% Hypertonic Saline in Epidural Adhesiolysis)

  • 오완수;홍기혁;이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74-78
    • /
    • 2000
  • Background: Epidural Adhesiolysis is an interventional pain management technique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n addition to local anesthetics and corticosteroid, hypertonic saline (NaCl) are used for the techniqu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algesic and adverse effects of two different concentration of hypertonic saline in Epidural Adhesiolysis. Methods: Fifty-three subjects with low back pain with radiculopathy were assigned to one of two epidural adhesiolysis treatment groups: 8% (Group I, n=26) or 10% (Group II, n=27) hypertonic saline. 17 G epidural needle was inserted at sacral hiatus and catheter was advanced untill its tip was located at lesion site under fluoroscopic guidance. Subjects in all treatment groups received epidural corticosteroid and local anesthetic. And then, hypertonic saline injection via catheter were carried out daily for 3 days. Evaluation included assessment of pain relief (Numerical Rating Scale; NRS) at post-epidural adhesiolysis 1, 2, 3 days, 1 week, and 1, 3 months. We also looked for complications of epidural adhesiolysis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hypertonic saline.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NR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during 3 months after epidural adhesiolysis.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of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and disappeard after a few months without residual sequelae.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epidural adhesiolysis using 8% hypertonic saline is effective for relief of low back pain with proven lumbosacral fibrosis without any residual sequelae compared with 10%.

  • PDF

미추마취시 혼합 주입한 Clonidine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Clonidine)

  • 서일숙;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57-62
    • /
    • 1989
  • 지연성 호흡저하의 위험성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혈압강하제인 Clonidine을 경막외강으로 주입한 강우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미추마취를 시행할 항문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I군(1.33% Lidocaine 15ml)과 II군(1.33% Lidocaine 15ml+Clonidine $75{\mu}g$.)으로 나누어 수술후 진통효과를 관찰해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idocaine단독 주입한 I군에서는 평균 마취시간이 2.42시간이었다. 2. Clonidine $75{\mu}g$을 혼합 주입한 II군의 경우에는 평균 진통시간이 7.32시간이었다. 3. Clonidine을 혼합 주입한 미추마취경우에 진정제 정주로 환자가 수면상태로 된 후 심한 혈압강하 및 맥박감소가 있었으나 Clonidine의 효과인지 진정효과에 인한 변화인지는 알 수 없었으며 진정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혈압강하 및 맥박 감소가 초래되지 않았다. 4. 수술후 Clonidine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문질환 수술후 특히 외래환자의 차원에서 술후 진통을 위한 방법으로는 지연성 호흡저하 및 뇨정체등의 부작용이 없는 Clonidine의 천골강내 투여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결과 비교 -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vs Spinal Stenosis -)

  • 김영태;조규정;안치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2014
  • 목적: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효과적으로 외래환자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시술되어도 25%의 실패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유효성을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를 복와위 자세로 눕힌 후 방사형 탐지자(round probe)를 이용하여 22게이지 바늘이 천-미추막을 통과한 것을 확인 후 약물을 투여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은 31명이었으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은 24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시행 전, 시행 후, 시행 2주 후, 시행 4주 후 전화 인터뷰와 외래 방문 시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55예 중 53예에서 바늘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어 9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는 추간판 탈출증군에서 $42.3{\pm}10.8$세로 척추관 협착증군의 $62.8{\pm}15.1$세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각통증척도는 추간판 탈출증 군에서 시행 전 6.8, 시행 후 3.1, 시행 2주 후 1.8, 시행 4주 후 1.77로 나타났으며, 척추관 협착증 군에서 시행 전6.9, 시행 후 3.6, 시행 2주 후 4.3, 시행 4주 후 4.9로 나타났다.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시각통증척도는 양 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나이를 보정한 후의 결과, 시간에 따라 양 군간 시각통증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 비해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