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RI

검색결과 1,220건 처리시간 0.033초

우심실에 발생하여 우심방을 침범한 원발성 비호지킨씨 림프종 -1예 보고-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in Right Ventricle with Right Atrial Invasion -Report of 1 case-)

  • 박기성;안욱수;이섭;권오춘;고무성;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76-381
    • /
    • 2004
  • 원발성 심장 림프종은 원발성 심장 종양의 1.3%를 차지하는 드문 악성 종양으로, 절외성 림프종(Extronodal Lymphoma)의 한 형태로 심장 및 심장막에 발생한다. 급격히 진행하는 심부전, 부정맥, 심낭 삼출 및 심장 압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원발성 심장 림프종의 진단은 심초음파 및 흉부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 등이 이용되며, 종양에 대한 경정맥하 조직 생검과 심낭 삼출액의 세포학적 및 면역생화학 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원발성 심장 림프종은 진단이 지연되거나, 진단 시 이미 장기 내침범으로 인한 진행된 단계로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완전한 심장 종양의 절제가 필요하며, 수술 후 생존율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전신 항암 요법 및 방사선 요법이 보강요법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우심실 유입로와 방실구에 종괴의 광범위한 침윤이 있었고, 우심방 내로 침범이 되어 있어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였다. 종괴의 조직생검으로 확진 후 항암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증상의 개선 및 종괴의 크기 감소 소견을 보였다. 저자들은 우심실에서 발생하여 우심방을 침범한 원발성 심장 비호지킨써 림프종을 경험하였으며 그 조기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수술적 치료 결과 (Surgical Outcomes of Schwannoma Occurred at the Brachial Plexus)

  • 이혁진;이영호;공현식;이승환;이준오;노영학;김강욱;백구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0
  •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is very rare. There has not been general agreement in terms of surgical outcome from limited number of studies. We analyzed surgical outcomes from 11 cases of schwannomas which occurred in the brachial plexus. From February 2000 to August 2009, 11 patients with schwannomas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were surgically treated by a single surge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of our cases, and evaluated the neurologic deficit and the recurrence of tumors after surgery. All the cases were proven histologically as schwannoma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36~67) years old, 4 of them were male and 7 were female. The tumor was located in the left side in 9 patients, and right in 2.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was 24.7(6~78) months. Initial presentation was usually painless, palpable mass. The mass was located in various level of the brachial plexus such as root, trunk, cord, or terminal branch level. The size of mass was from $1.5{\times}1.5{\times}0.5$ cm to $11.0{\times}10.0{\times}6.0$ cm. Eight of 11 patients showed no neurologic deficit. Three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neurologic deficit; two of them had transient sensory deficit, and one of them had weakness of flexor pollicis longus and 2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There were no recurrences. The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curable lesion with an acceptable surgical risk of injury to neurovascular structures. With precise surgical techniques, these tumors can be removed to improve patient's symptoms with minimal morbidity.

  • PDF

One vs. Two Burr Hole Craniostomy in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 Han, Hong-Joon;Park, Cheol-Wan;Kim, Eun-Young;Yoo, Chan-Jong;Kim, Young-Bo;Kim, Woo-K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2호
    • /
    • pp.87-92
    • /
    • 2009
  • Objective: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trau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usually occurring in the older patients, with a good surgical prognosis. Burr hole craniostom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neurosurgical treatment of CSDH.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to assess the role of the number of burr holes in respect to recurrence rat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s between one and two burr craniostomy with closed-system drainage for CSDH.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6, 180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burr hole craniostomy with closed-system drainage for the symptomatic CSDH were enrolled. Pr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and/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used for radiological evaluation. The number of burr hole was decided by neurosurgeon's preference and was usually made on the maximum width of hematoma. The patients were followed with clinical symptoms or signs and CT scans. All the drainage catheters were maintained below the head level and removed after CT scans showing satisfactory evacuation. All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 month after discharge. Results: Out of 180 patients, 51 patients were treated with one burr hole, whereas 129 were treated with two burr holes. The overall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was 5.6% (n = 10/180) in our study. One of 51 patients (2.0%) operated on with one burr hole recurred, whereas 9 of 129 patients (7.0%) evacuated by two burr holes recurred. Although the number of burr hole in this study is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p> 0.05), CSDH treated with two burr holes showed somewhat higher recurrence rates. Conclusion: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burr hole craniostomy with closed drainage achieved a good surgical prognosis as a treatment of CSDH in this study.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burr hole craniostomy with one burr hole would be sufficient to evacuate CSDH with lower recurrence rate.

Development of Birdcage RF coil for 3T Animal MR Imaging

  • 추명자;최보영;강세권;최치봉;이형구;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85-89
    • /
    • 2002
  • 목적 : 사람에 비하여 크기가 현저히 작은 동물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하여 상용으로 인체에 적용하는 Head 코일보다 원통 반지름이 작은 Low-Pass Type Birdcage 코일을 제작함으로써 보다 큰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 자기공명영상을 얻기 위해 Spin Echo 펄스시퀀스와 Fast Spin Echo 펄스시퀀스를 사용하였다. T1 강조영상을 얻기 위한 Spin Echo 펄스시퀀스의 매개변수는 TR/TE=300/17 ㎳, Matrix=256$\times$256, Field Of View (FOV)=150 mm, Slice Thickness=2 mm 이었다. T2 강조영상을 얻기 위한 Fast Spin Echo 펄스시퀀스의 매개변수는 TR/TE=3000/96 ㎳, Matrix=256$\times$256, Field Of View (FOV)=150 mm, Slice Thickness=2 mm 이었다. 원통의 지름이 13 cm인 Birdcage 코일은 12개의 elem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22 cm로 제작되었다. 결과 : 코일 원통의 반지름의 크기에 따른 SNR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체용 Knee 코일과 동물용으로 제작된 코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팬톰 영상을 획득하였다. 팬톰 영상으로부터 측정된 SNR의 값을 통해 반지름이 작은 동물용 코일의 SNR이 더 크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토의 및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같은 형태의 Birdcage 코일일 경우 원통의 반지름에 따라 SNR이 다르며, 특히 반지름이 작을 때 SNR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일의 크기에 비해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부피가 작은 경우 대상물의 부피에 맞추어 코일을 제작하면 SNR이 보다 뛰어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ire' 영상무늬를 통한 근골격계질환의 진단과 현가장치를 이용한 치료방안 (Diagnosi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through Moire Image Pattern and Treatment Measure using a Sling System)

  • 이상용;이은경;권소희;정혜경;김삼태;정명수;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0
    • /
    • 2003
  • The Musculoskeletal Disease has been ignored or turned away due to the difficulty of diagnosis and the vagueness of judgement up to now. Contrary to other diseas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haracter of the Musculoskeletal Disease wasn't revealed through the objective inspection. And that's becau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appears for the most part due to muscular defect so it is impossible to diagnose the muscle by X-ray diagnosing the bone and it is also impossible to diagnose the fine damage of the muscle or tendon even by advanced device like MRI. As the nervous blood vessels or acupunctures pass through or are next to the muscle, the tension of the muscle put pressure on these so can become the direct or indirect causes of various kinds of pains or intern diseases. But in spite of that, for lack of proper equipment diagnosing the state of the muscle(Shortened.. Relaxed... or Hardened...) the muscle has been disregarded or neglected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While many people think themselves to be a muscular expert, if they don't see the shape of the muscle, that is just like blind treatment. But as now the equipment diagnosing the state of the muscle is developed, it seems that this problem can be settled. It was attempted in this study that the muscle or skeleton of the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was diagno the treatment order and method were decided by a questionnaire survey and simple inspection, and the Musculoskeletal correction exercise using the muscle management and sling system made them escape from the Musculoskeletal disease, turning their muscle into more flexible and stronger muscle. As a result notwithstanding the limited treatment period '12 times', the improvement rate was as high as 74%, which showed that the muscle management and Musculoskeletal correction exercise had a great effect on the symptom improvement of the patients. If the treatment times had increased, the improvement rate also would have increased more.

  • PDF

다발성 뇌결핵종을 동반한 속립결핵 1례 (A Case of Miliary Tuberculosis Associated with Multiple Intracranial Tuberculoma)

  • 박선영;이정현;정낙균;김진택;정승연;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50-256
    • /
    • 2000
  • 국내에서 소아의 중증 결핵 환자는 사회경제적 발달과 BCG 백신의 적극적 접종으로 인하여 현저히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저자들은 BCG 접종을 생후 4주에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내의 결핵 환자 발생이 인지되지 않아 조기 치료의 기회를 놓침으로서 속립결핵과 뇌결핵종의 합병증이 유발된 중증 결핵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추성 요붕증을 동반한 원발성 폐 조직구종 X 1예 (A Case of Primary Pulmonary Histiocytosis-X Associated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 김영민;박융인;최영근;이재승;이우철;홍진희;이수봉;류기찬;이민기;이창훈;이형렬;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110-115
    • /
    • 1999
  • 저자들은 호흡곤란과 다음, 다뇨로 내원한 23세 남자에서 임상소견, 흉부 X-선 검사, 고해상도 흉부단층 촬영, 수분제한검사, 개흉 폐생검으로 확진된 흔치 않은 중추성 요붕증을 통반한 원발성 폐 조직구증 X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의 합성과 반응 (Synthesis and Reaction of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

  • 조승환;송주현;이도훈;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정대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0-914
    • /
    • 2007
  • 본 연구는 MRI 조영제나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개발키 위해 paraformaldehyde와 hypophosphorous acid를 아미노산인 glycine 혹은 glutam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me-1,5-diacetic acid 1 와 3,7-dihydrexy-3,7-dioxoperhydre-1,5,3,7-diazadiphos-phocme-1,5-di- (2-glutaric acid)3을 합성하였다. 그러나 aspartic acid에 의한 2-[5-(1,2-dicarboxy-ethyl)-3,7-dihydroxy-3,7-dioxo-315.715-[1,5,3,7]diazadiphosphocan-1-yl]-succinic acid 2는 얻지 못했다. 합성 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1을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반응시켜 화합물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methyl ester 4,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ethyl ester 5, 그리고 3,7-dihyoxy-3,74dioxoperhy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propyl ester 6을 합성하였다. 계속해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할 것이며 생리활성검색도 실시할 예정이다.

비인강암에서의 AJCC의 새로운 병기 분류법과 기존 병기 분류법의 비교 (Comparison of New AJCC Staging System with OId AJCC Staging System in Nasopharyngeal Carcinoma)

  • 홍세미;우홍균;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21-225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1997년에 개정된 비인강암에 대한 AJCC병기 분류법을 1992년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새로운 병기 분류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1983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방사선 치료를 위해 내원한 185명의 조직학적으로 확진되고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비인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을 검토하여 1992년 병기 분류법과 1997년 병기 분류법에 따라 병기를 분류하였고 각 병기 분류법에 따라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 1992년 분류법과 1997년 분류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에서 각각 100$\%$; 병기 II에서는 100$\%$ 와 68.8$\%$; 병기 III에서는 61.4$\%$ 와 63.8$\%$; 병기 IV에서는 61.1$\%$ 와 63.2$\%$ 였다. 각각의 분류법으로 산출한 5년 생존율은 각각의 병기분류법 내에서 병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양 분류법 간에는 병기 II를 제외하고는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새로운 비인강암의 AJCC 병기분류법은 이전의 1992년 분류법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igh-Order Surface Gradient Coil Design Using Target Field Approach

  • Lee, J.K.;Yang, Y.J.;Jeong, S.T.;Choi, H.J.;Cho, Z.H.;Oh, C.H.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4
    • /
    • 1996
  • 이 논문의 목적은 Target field approach방법을 사용하여 2차원적인 공간선택을 할 수 있는 고차 평면 경사 자계코일(High-Order SGC: High-Order Surface Gradient Coil)을 설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쓰이던 원통형의 고차경사자제코일을 이용한 2차원적 원형 선택방법은 한 개의 RF Pulse로 2차원적인 공간 선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선택되어지는 체적의 지름이 6 ~ 8cm로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상을 얻고자하는 부분에 코일을 좀 더 가까이 붙일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선택되어지는 체적의 지름을 1 ~ 4cm까지 줄일 수 있는 표면 고차자계코일을 Target field approach방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Phantom과 인체영상을 통해 제작된 코일의 성능을 확인해 보았다. 이전의 Field component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한 코일에 의해서 선택되어지는 체적은 타원에 가까운 모양이 되었으나, Target field approach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한 코일에 의해서 선택되어지는 체적은 이상적인 원에 가까운 모양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