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sty roo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8초

해가림 종류가 수삼, 홍삼 및 백삼의 품질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on the Quality of Raw, Red and White Ginseng and the Contents of Some Minerals in Ginseng Roots)

  • 김영호;유연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36-43
    • /
    • 1990
  • The quality of raw, red and white ginseng and the contents of some minerals were examined using 6-year-old ginseng roots produced in different shades, thatch and polyethylene net (P..E.). The yield of first and second grade ginseng roots was higher in the thatch shade than in the P.E. shade. The smaller sizes of ginseng routs were probably due to loss of ginseng yield called by alternaria blight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and lower quality was dale to more rusty roots in the P.E. shading. For red ginseng. rates of heaven and earth grades were higher in the P.E. than thatch shade. producing red ginseng with less inside cavity Production of white ginseng was higher in the thatch shade than in the P.E. shade. showing a higher yield, better piece grade, lower inside crack and better quality index in the thatch. The contents of some minerals such as K, Ca, Mg and Mn of fine ginseng roots differed between the two shades, some of which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indices of white ginseng. Keywords Thatch shade, polyethylene shade, alternaria blight, rulsty root, quality of ginseng.

  • PDF

논 인삼 우량묘 생산을 위한 활성이온칼슘 처리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Ion Calcium for Production of Panax ginseng Seedlings in Paddy Field)

  • 김동원;김종엽;유동현;김창수;김희준;박종숙;김정만;이강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4-128
    • /
    • 2012
  • When ginseng seedlings are cultured in paddy fields, quality degradation and yield reduction are induced by severe plant loss with chlorosis on leaves occurred physiological disorder by excessive salt and poor drainage, rusty-root occurrence, and root rot etc.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method, concentrations and time of activated ion calcium a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ctivated ion calcium is an enriched and purified water-soluble mineral calcium component for absorbing quickly into plant as a highly functional calcium and it is an alkaline calcium of 37% (370 $m{\ell}$/1 ${\ell}$) concentration with pH 13. Treatment method was that ginseng seeds were sown after removing water in the shade after seed immersion for 1 minute with active ion calcium of 20-fold diluted solution, and then irrigated $4{\ell}$ per 3.3 $m^2$ with 200-fold, 400-fold, and 600-fold diluted solution before emergence on late March, and supplied 1 time on leaves with 500-fold diluted solution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The disease rate by treatment of activated ion calcium was that on the treatment of soil irrigated with 200-fold diluted solution compared to non-treated soil, damping-off was 33%, anthracnose was 100% reduced and the occurrence rate of rusty-root was 30% reduced. In addition, when active ion calcium of 200-fold diluted solution were soil irrigated, first and second grade ginseng were respectively 26% and 22% produced more, compared with control.

인삼 적변의 발생 요인과 원인 (Factors and Cause of Rusty-Ginseng Occurrence)

  • 박홍우;임태교;최춘환;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96-400
    • /
    • 2006
  • 본 연구는 접종방법, 상토 및 유기물의 종류, 토양수분, 세균밀도가 적변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변발생 요인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Hue value는 무상처 무접종에서 113.1, 무상처 접종 108.1, 상처 무접종 85.8, 상처접종 57.5로 적변은 무상처 무접종 < 무상처 접종 < 상처 무접종 < 상처 접종 순으로 심하게 발생하였다. 2. 원예용 상토와 수도용 상토에서 Hue value는 각각 56.8, 64.7로 수도용 상토보다 원예용 상토에서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3. 토양의 수분농도가 10%, 20%, 50%, 70%일 때 Hue value는 각각 96.2, 85.9, 78.0, 75.7로 수분이 높을수록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4. 유기질 비료를 첨가한 토양에서의 Hue value는 35.2-27.8로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적변 발생을 심하게 유발하였다. 5 세균접종 농도가 $10^{2},\;10^{4},\;10^{6},\;10^{8}\;cells/m{\ell}$일 때, Hue 값은 각각 63.3, 62.8, 55.6, 48.8로 세균농도가 높을수록 적변의 발생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고려인삼 신품종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이성식;이장호;안인옥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5년도 창립30주년기념 추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8
    • /
    • 2005
  • 고려인삼 8개 신품종의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다경발생율이 연풍은 45%로 가장 높았고, 금품은 7%로 가장 낮았으나, 지상부생육은 금품이 가장 양호 하였고, 연풍이 가장 낮았다. 2) 종자결실율은 금품이 85.4%로 가장 높았으며, 천풍이 69.1%로 가장낮았다. 종자수확량은 연풍이 108.3개로 가장많았고, 천풍이 77.5개로 가장 적었다. 3) 엽소발생율은 천풍이 타품종보다 각년생에서 높았으나 연풍은 다소 낮았다. 4) 뿌리 부위별 무게분포비율에서 동체의 비율이 천풍 등 5품종은 49%-55.9%로 자경재래종 63,1%보다 낮았으나, 지근의 비율은 5개 신품종이 19,3%-23.3%로 자경재래종 13.2% 보다 높았고, 세근은 차이가 없었다. 5) 수량은 연풍>금풍>고풍>천풍=선풍>자경재래증 순으로 연풍이 가장 높았고,동장은 천풍이 8.0cm로 가장 길었으나 연풍이 6.4cm로 가장 짧았다. 적변삼 발생율은 신품종이 0.2-9,5%로 자경재래종 16.3%보다 현저히 낮았다. 6) 천삼의 생출율은 천풍>금풍>고풍>선풍>연풍>청선>자경재래종의 순서로 천풍이 높았으며, 천지삼의 생출율도 같은 경향이었다. 7) 품종별 동체의 단위무게 당 total ginsenosides 함량은 금풍 8.53mg, 연풍8.13mg, 고풍7.47mg로 높았으나, 천풍과 선풍은 각각 5.73mg과 4.87mg로 다소낮았다.

  • PDF

인삼 적변유기에 대한 폴리페놀과 Polyphenol Oxidase의 잠재적 역할 (Potential Role of Polyphenolics and Polyphenol Oxidase on the Induction of Browning in Ginseng Roots)

  • 임태교;박홍우;황용수;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9-295
    • /
    • 2007
  • 본 연구는 적변 유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적변삼과 polyphenol 및 polyphenol oxidase 활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1. 적변 유발 균주를 상처낸 건전 인삼 외피에 접종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접종일수의 증가에 따라 Hue angle값이 접종 후 1일 101.2, 10일 95.9, 20일 90.1, 30일 60.9로 적색으로 변화되었다. 2. Lysobacter gummosus, Pseudomonas veronii 및 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를 인삼의 상처부위에 접종하였을 때, 총페놀의 함량은 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3. Lysobacter gummosus, Pseudomonas veronii 및 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를 상처낸 인삼에 접종하였을 때 페놀함량의 증가와 함께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단백질당 PPO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Bacillus subtilis B-4228의 인삼 근부병 억제효과 (Control Effect of Bacillus subtilis B-4228 on Root Rot of Panax ginseng)

  • 이병대;밝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67-70
    • /
    • 2004
  • 인삼 근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인삼 재배토양으로부터 분리된 길항미생물 Bacillu subtilis B-4228을 사용하여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공시 균주 B-4228과 C. destructans의 대치배양결과, C destructans의 균사가 비정상적인 형태로 팽창하였으며 강한 생장억제력을 보였다. C. destructans에 의해 오염된 이병토를 이용한 pot시험결과, 건전근율이 무처리구에서 20%였으나 공시 균주 B-4228의 처리구는 82%로 높게 나타났고, 이병율(개체 인삼에 대한 뿌리썩음 이병정도의 총합비율)은 무처리의 경우 50.4%였으나 공시 균주 B-4228의 처리구는 6.0%로 낮았다.

투광율과 토양수분함량이 묘삼(苗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Transmission Ratio and Soil Moisture Cont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ling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우;김충국;현동윤;연병열;이광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7-210
    • /
    • 2008
  • 비닐하우스 내에서 일평균 투광율을 21.2%, 24.8%, 30.3%와 같이 3수준으로, 토양수분을 11.0%, 12.5%, 15.3%, 18.9%와 같이 4수준으로 조절하여 묘삼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엽록소 함량은 투광율이 낮은 조건에서 토양수분함량의 감소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으나 투광량이 높은 조건에서 토양수분함량이 낮아지면 엽록소 함량은 현저히 감소되었다.고온장해율은 투광율이 낮은 조건에서 토양수분함량이 11.0%처럼 매우 낮을 때에만 현저히 증가되었지만 투광량이 높은 조건에서는 토양수분함량의 감소에 따라 고온장해율은 급격히 증가되었다. 3.3$m^2$(칸)당 생근중, 주당 생근중 및 사용가능묘삼수는 투광율이 증가되고 토양수분함량이 감소될수록 뚜렷이 감소되었는데, 토양수분함량이 적절한 조건(18.9%)에서는 투광율이 증가되어도 묘삼수량의 감소는 적었으나 토양수분함량이 부족한 조건에서는 투광율이 증가될수록 묘삼수량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적변율은 투광율이 높고 토양수분함량이 많을 때 현저히 증가되었는데, 투광율이 높은 조건에서 토양수분함량이 감소되면 적변율도 차차 감소되었으며, 투광율이 낮은 조건에서 적변율은 토양수분함량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