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way capacit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인천국제공항 수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apacity by using Aircraft Delay Simulation Model)

  • 방준;김도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9
  • To prepare for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air transport, airport operators should be well aware of the timing of the saturation of the facility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airport through extension or extension. The capacity of an airport is determined by the smallest value of the facilities that make up the airport, but it is generally customary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the costly and time-consuming runway as a whole for the airport. For analyzing the capacity of the runway capacity, the study used the most accurate microscopic air traffic simulation, Simmod-PRO, to analyze the saturation time of three runways currently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operation, and calculate the appropriate time for operation of the 4th runway. The study also calculate the relocation of Airport's high-speed exit taxiway for analyzing the increasing of capacity.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건설 타당성 연구 (A Study on feasibility for runway development -IIAC 4th runway construction case study-)

  • 최동엽;신중하;장찬혁;박성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46
    • /
    • 2019
  • Although This study is to produce various considerations for the proper time and feasibility of new runway wit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4^{th}$ runway development case. In order to validate the feasibility of runway development, it is main considerations to be increased airport capacity for accommodating increase air traffic demand, secure stable airport operation without degrading service level,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 and maintain competitive among competitive airports which are developing new runway. Conclusionally, to develop new runwlay at the proper time for sustainable and stable airport operation without stop is the best way of maintaining competitiveness among foreign competitive airports.

ADS-B를 이용한 착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 분석 (Analysis of Runway Occupancy Time Using ADS-B Message about Landing Airplane)

  • 구성관;백호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67-174
    • /
    • 2016
  • 활주로 및 유도로는 항공기가 이착륙하기 위한 기본 시설로서, 활주로 처리 용량은 공항의 수용 능력을 결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은 이러한 활주로 처리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활주로 점유시간 확인을 위해서는 공항의 지상 감시 항적자료를 분석하여 항공기가 사용한 유도로를 확인하고 각 지점의통과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항공기에서 송신하는 ADS-B 메시지를 이용한 착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에 대한 연구로 착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에 대한 분석과 고속 탈출 유도로를 포함한 활주로 사용 이력에 대한 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 결과 공항의 구조로 인하여 동일한 활주로를 사용할 때에도 착륙 방향과 항공기 등급에 따라 활주로 점유시간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된 활주로 점유시간은 항공교통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항공기 지연시간을 고려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연간용량 산정 (Estimation of Annual Runway Capacity for Jeju International Airport Considering Aircraft Delays)

  • 박지숙;윤석재;이영종;백호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4-222
    • /
    • 2015
  • 계속되는 항공수요 증가와 국지적인 기상요인으로 제주국제공항은 우리나라 공항가운데 가장 높은 항공기 지연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항공수요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이러한 제주국제공항의 항공기 지연현상은 앞으로 더욱 악화되어 공항의 처리능력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공항의 처리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활주로의 연간용량 산정은 장래 공항계획 수립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하지만 현재 실무에서는 FAA에서 제시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연간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값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의 지연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무적 제약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무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항공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활주로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평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의 일일용량을 분석, 최종적으로 연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형구축 및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과정과 검증결과를 설명하였다. 제주국제공항의 일일용량 및 연간용량 분석 결과, 각각 약 460회, 약 169,000회로 산정되었다.

Wake Turbulence RECAT을 적용한 활주로 절대 수용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unway Ultimate Capacity using Wake Turbulence Re-Categorization)

  • 박정우;김휘양;구성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98-509
    • /
    • 2021
  • 선행 항공기의 날개 끝단에서 발생하는 후류 요란으로 인해 후행 항공기는 정상적인 운항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현재는 항공기 최대이륙중량에 따라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기준 거리별 항공기 수평 분리를 적용하고 있다. FAA 및 EURO-CONTROL을 중심으로 항공기 후류 요란의 크기와 영향이 기존의 거리 분리치보다 더 작다는 것이 연구되었고, 이것을 바탕으로 분리 기준을 7개의 카테고리로 세분화한 규정(RECAT)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ICAO Doc. 10122의 초안을 이용하여 국내 공항의 RECAT 도입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활주로 절대 수용량 계산 방법의 하나인 Harris 모델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절대 수용량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RECAT 도입에 따라 활주로 절대 수용량의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산된 결과 및 계산에 활용한 방법은 국내 공항의 RECAT 도입 검토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활주로 점유 시간 개선의 효과성 예측 분석 (Estimated Analysis for Runway Occupancy Time Improvement)

  • 박광훈;강금석;구성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66-673
    • /
    • 2023
  • 착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 시간은 활주로 수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기존 공항의 운영 개선을 위해 활주로 점유시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서 사례 공항의 특정일에 대한 항공기 운영 현황 데이터를 가지고 개선의 효과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개선안에 대한 분석은 FAA REDIM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개선 적용 기능을 활용하여 고속탈출유도로가 없는 공항에 고속탈출유도로를 추가함으로써 나타나는 활주로 수용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법은 활주로 개선 방안의 도출과 효과성에 대한 사전 예측에 적용할 수 있으며, 향후 진행되는 공항 건설 사업 또는 공항의 개선 사업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공항 수용량의 지연시간 산출방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lay Calculation Method of Airport Capacity)

  • 이효주;김도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7-52
    • /
    • 2020
  • Air transport demand is on a sharp rise due to growth in the aviation market. To prepare for this rapidly growing demand for aviation, airport operators are interested in the processing airport capacity. Airport throughput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of the facility capacities that make up the airport, but it is customary to determine the cost and time consuming runway capacity as airport capacit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while rec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irport capacity,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capacity.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airport capacity is affected by the airport's operating hours and the resulting delays.

접근관제구역 수용량 산정을 위한 수리적 모형 (A Mathematical Model for Calculating the Capacity in Terminal Control Areas)

  • 채종목;백호종;이장룡;박장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8
    • /
    • 2023
  • The continuous increase in air traffic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pacity calculation. Research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Terminal Control Area (TMA) capacity has been treated as a partial aspect of the airspace sector capacity or has been limitedly studi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for calculating TMA capacity, taking into account the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STAR), separation standards, TMA entry speed, and runway threshold passing speed. The proposed mode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lculate the instantaneous arrival capacity, which has not been noted in previous studies, along with the throughput.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as the model can easily calculate the arrival capacity of the TMA considering airport construction, runway expansion, or new procedures.

Effective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algorithm for the aircraft runway scheduling problem

  • Wided, Ali;Fatima, Bouakkaz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35-347
    • /
    • 2022
  • Airport operations are well-known as a bottleneck in the air traffic system, putting growing pressure on the world's busiest airports to schedule arrivals and departures as efficiently as possible. Effective planning and control are essential for increasing airport efficiency and reducing aircraft delays. Many algorithms for controlling the arrival/departure queuing area are handled, considering it as first in first out queues, where any available aircraft can take off regardless of its relative sequence with other aircraft. In the suggested system, this problem was compared to the problem of scheduling n tasks (plane takeoffs and landings) on a multiple machine (runways). The proposed technique decreases delays (via efficient runway allocation or allowing aircraft to be expedited to reach a scheduled time) to enhance runway capacity and decrease delays. The aircraft scheduling problem entails arranging aircraft on available runways and scheduling their landings and departures while considering any operational constraints. The topic of this work is the scheduling of aircraft landings and takeoffs on multiple runways. Each aircraft's takeoff and landing schedules have time windows, as well as minimum separation intervals between landings and takeoffs. We present and evaluate a variety of comprehensive concepts and solutions for scheduling aircraft arrival and departure times, intending to reduce delays relative to scheduled times. When compared to First Come First Serve scheduling algorithm, the suggested strategy is usually successful in reducing the average waiting time and average tardiness while optimizing runway use.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연구: 공항시설, 접근교통 및 운항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Study on Revitalization Plan for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Focusing on Airport Facilities, Access Transportation, and Flight Network)

  • 박원태;임동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78
    • /
    • 2024
  • In this study, we reviewed access transportation, operating companies, and airport infrastructure to revitalize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Regarding acces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railway network connecting the metropolitan inland line and the central inland region. In addition,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s required to ensure smooth progress in railway and highway infrastructure linkage projects, such as the Osong Connecting Line and Chungbuk Line, high-speed rail network promotion, and expansion of the Chungbuk Eastern Axis Expressway and Central Expressway. Regarding operator access infrastructure,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add and attract airlines based at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Regarding airport infrastructure, the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runway needs complete resurfacing due to its deterioration. Domestic passenger capacity has exceeded 6.5%, and considering the increase in import and export of high value-added goods in the North Chungcheong reg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expand passenger terminals and cargo terminals.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s runway does not have enough runway length to operate large and ultra-large aircraft, so if it is extended from the existing 2,744m to 456m to 3,200m, several benefits can be expected in terms of revitalizing Cheongju Airport, such as route expa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