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ner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6초

운동박탈에 따른 운동중독자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뇌 생리심리적 접근: EEG 대뇌반구비대칭활성화 차이지표 적용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prefrontal asymmetry and emotion following exercise deprivation in people with exercise addiction)

  • 김성운;김한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521-53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박탈이 운동중독자의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EEG 대뇌반구의 비대칭 활성화 지표를 통해 검증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중독자들이 운동박탈을 경험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 변화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20명이며, 운동박탈 후 나타나는 정서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따른 시점별(운동박탈 전, 운동박탈 3일 후, 운동박탈 5일 후) 긍정과 부정적 정서 그리고 집단에 따른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을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운동중독자에 운동박탈이 발생할 경우 감정이 부정적으로 바뀐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운동박탈 연구에서 활용한 질적 연구 방식과 자기보고서 방식에서 벗어나 뇌 생리심리적 접근인 뇌파를 활용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운동박탈에 대한 정서적 기전을 제시했다고 사료된다.

하프코스 마라톤 후 체내의 생화학적 변화 및 회복 (Biochemical Changes and Recovery After Half-course Marathon)

  • 최창혁;이현섭;서헌석;김상경;신임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49
    • /
    • 2008
  • 목적: 하프코스 마라톤 달리기 후에 체내의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여 휴식 기간에 따른 회복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하프코스 완주자 13명( 남자 12명, 여자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4세(범위: $38{\sim}54$)이었으며 신장은 평균 166 cm (표준편차 6.5), 몸무게는 평균 68 kg(표준편차 7.3)이었다. 생화학적 검사항목은 운동 후 근육 및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혈청효소인 aminotransferases (AST, ALT), CK-MB, Troponin-I 그리고 신장 기능 및 체내의 전해질 균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BUN, Creatinine, Na, K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검사 방법은 출발 전, 완주 직후 및 2일 후, 완주 후 2주에 채혈하여 검사치의 변화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모든 검사 항목에 있어 측정 시점에 따른 측정 결과는 정상범위 내의 변화를 보였다. 측정 시점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던 검사항목은 ALT (p=0.914) 및 Troponin I (p=0.354)이었으며, BUN, Cr. Na. K등 신장 기능 및 체내의 전해질 균형상태를 반영하는 검사는 완주 직후 증가되었다가 2일 째에 출발전의 수치로 회복되었으며, 근육 및 심장에 영향을 주는 AST 및 CK-MB의 경우 완주 직후 증가된 수치가 2일째까지 유지되거나, 더욱 증가되었다가 2주 후 검사 상 출발전의 수치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장거리 달리기를 한 후 탈수 현상으로 인한 초기 신장 효소 변화는 2일 정도에 회복이 되었으며, 근육 및 심장의 피로 효소는 약 2주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회복되었다. 따라서 하프코스마라톤을 뛴 후 정상적인 회복을 위해서는 음주경력, 흡연경력 및 달리기 경력에 상관없이 약 2주간의 회복기를 거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국내 경주마 도핑검사에서 금지약물 검출빈도 및 종류(2002-2013) (Prevalence of Detection of Prohibited Drugs on Doping Tests of Pre- and Post-races in Korea (2002-2013))

  • 양재혁;한관석;양영진;임윤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17
    • /
    • 2015
  • 국내경주마에서 검출되는 금지약물의 종류와 빈도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마장에서 검출되는 금지약물의 종류와 검출빈도를 알아 보고자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3개의 경마장에서 29,543 마리의 경주 전 경주마에서 채혈하였고, 경주 후에 3위 이내의 경주마와 재결지정마 91,482 마리에서 채뇨하여 효소면역분석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계 그리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계를 이용하여 한국마사회 도핑검사소에서 검사하였다. 기간 중 경주전후 도핑 양성률은 각각 0.0030%, 0.0186%였으며, 경주 전에는 caffeine 그리고 경주 후에는 ketoprofe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약물의 약물동력적 및 약력학적 특성 때문에 혈액과 뇨의 결과가 달랐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재결위원의 조사결과, 금지약물검출은 오염된 사료 또는 깔짚에서 말에게 옮겨졌거나 출주예정마에 대한 말관리사의 혼란에서 비롯되었다.

'설향' 딸기 번식을 위한 자루재배시 상토의 물리·화학성이 모주 생육과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Growth of Mother Plants and Occurence of Daughter Plants in 'Seolhyang' Strawberry Propagation through Bag Culture)

  • 최종명;박지영;라티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95-101
    • /
    • 2011
  • 코코피트 + 펄라이트(5:5, A), 코코피트 + 펄라이트(6:4, B), 코코피트 + 펄라이트(7:3, C), 코코피트 + 코코칩(7:3, D), 코코피트 + 코코칩(6:4, E), 그리고 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5:5, F)의 6종류 상토를 혼합하고 플라스틱 백에 충전하였다. 다음 '설향' 딸기의 모주를 재배하면서 상토 물리 화학성이 모주 생육과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모든 상토는 공극률이 85% 이상, 용기용수량이 55% 이상으로 측정되어 모든 상토가 수용 가능한 범위에 포함되었지만, F 상토의 공극률과 용기용수량이 각각 91.5% 및 60%로 다른 상토들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설향' 딸기의 정식 전 또는 작물을 수확한 후 분석한 상토의 화학성에서 상토 A, B, C, 및 F의 전기전도도 및 질산태 질소 농도가 상토 D 또는 E보다 높았다. 또한 염 농도가 높았던 상토 A, B, C, 및 F의 런너 생체중, 건물중, 및 길이 그리고 자묘 발생수가 염농도가 낮았던 상토 D 및 E보다 많았으며, 상토의 물리성 보다 화학성이 런너의 생장 및 자묘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설향' 딸기의 정식 120일 후 지상부 전체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서 질소함량은 F 상토를 제외한 다른 상토들 간에 유의차를 발견할 수 없었는데, 이는 주정리를 통해 하위엽을 제거해준 것이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한 다른 원소의 식물체내 함량도 F 상토에서 뚜렷하게 높아 화학성이 자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매향' 딸기 번식을 위한 플라스틱 백 재배시 상토 물리.화학성이 모주생육과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the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during the Propagation of 'Maehyang' Strawberry Using a Bag Culture System)

  • 최종명;박지영;고관달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1-197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used during the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propaguleson the growth of the mother plants and the rate of daughter plant formation. Plants were cultured in plastic bags containing six different formulations of root substrates composed of: a) 50% coir dust and 50% perlite (5:5 by volume, A), b) 60% coir dust and 40% perlite (6:4, B), c) 70% coir dust and 30% perlite (7:3, C), d) 70% coir dust and 30% coconut chip (7:3 D), e) 60% coir dust and 40% coconut chip (60:40, E), or f) 50% sphagnum peat and 50% vermiculite (50:50, F). All media formulations contained a moderate level of base fertilizer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ach formulation were determined before plant establishment and after 120 days of stock plant culture and runner production. Total porosity (TP) and container capacity (CC) of all substrate formulations were higher than 85% and 55%, respectively, allowing a suitable range of air and water holding characteristics. Formulation F provided the highest TP and CC values among the all substrate modifications evaluated. Substrate formulations A, B, C and F ha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NO_3{^-}$-N concentrations than formulations D and E, when determined before and after plant culture. Formulations A, B, C, and F, having higher EC readings, also performed better as root substrates thanthe formulations D and E in increasing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runners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daughter plants per plant. The 'Maehyang' strawberry plants grown in the formulation F had the highest tissue N content, followed by those grown in substrate B, A, C, or D for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Formulation F also facilitated accumulation of higher tissue phosphorus (P) and copper (Cu) content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the chemical properties, rather than phys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the occurrence of healthy daughter plants during the bag-culture phase of propagation.

다수 빼기 사출성형에서 캐비티간 충전균형을 위한 새로운 런너의 설계 (A Novel Runner Design for Flow Balance of Cavities in Multi-Cavity Injection Molding)

  • 박서리;김지현;류민영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61-568
    • /
    • 2009
  • 소형 플라스틱 부품들은 대부분 다수 캐비티 빼기 사출금형에서 성형된다. 이러한 다수 빼기 캐비티 금형에서의 사출성형은 캐비티간의 흐름 균형이 중요하다. 캐비티간 흐름의 불균형은 성형품의 캐비티간 물성 및 품질의 편차를 초래한다. 캐비티간의 흐름균형은 런너와 게이트에서의 흐름균형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런너와 게이트에서 기하학적인 균형을 이루어도 열적 불균형으로 캐비티간 흐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캐비티간 흐름의 균형을 위해 고안한 스크류 타입의 런너을 이용하여 캐비티간 충전균형을 고찰하였다. 여러 형태의 스크류 런너에서 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 그리고 점도가 높은 수지와 점도가 낮은 수지를 이용하여 캐비티간 흐름을 관찰하였다. 흐름의 균형은 성형조건 중 사출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출속도를 변화해 가며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성형해석과 비교 검토하였으며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크류 런너에서 수지가 흐르면서 스크류 채널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여 스크류 단면에서 온도가 균일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구 이러한 균일한 온도 때문에 캐비티간 흐름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실험에 사용된 새롭게 고안된 스크류 타입의 런너는 캐비티간 충전균형을 이루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실험과 해석을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딸기 '매향'과 '설향'의 육묘기 런너의 절단 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unner Cutting Time on Growth and Yield during Nursery of Strawberry (cv. Maehyang and Seolhyang))

  • 김대영;김수;강윤임;윤형권;윤무경;김태일;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5-391
    • /
    • 2012
  •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런너의 절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2작기(2009년 및 2010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자묘는 정식일(2009년 9월 11일 및 2010년 9월 10일)을 기준으로 30일, 20일, 10일 및 5일 전에 모주로부터 런너를 절단하였다. 런너의 절단 시기가 늦을수록 모주에서 양수분이 육묘 후기까지 자묘로 공급되어 지상부 생체중, 관부직경 및 엽록소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근중 등 지하부 생육은 런너의 절단 시기가 빨라서 모주로부터 자묘의 독립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모주에서 런너를 절단한 경우의 관수 요구량이 런너를 절단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하여 29.7% 증가하였다. 또한, 런너를 절단하였을 경우에 런너를 통하여 탄저병이 침입한 경우가 런너를 절단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하여 37.6% 높게 나타났다. 정식 후 정화방의 출뢰 및 개화 개시기는 런너 절단 시기가 늦을 경우 2~3일까지 지연되었으나 런너 절단 시기에 따른 조기 수량의 차이가 없으므로 런너 절단 시기를 정식일의 5~10일 전인 8월 하순 이후로 늦추어 실시하는 것이 탄저병 발생 경감 측면에서는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Gender Dfferences in Ground Reaction Force Components

  • Park, Sang-Kyoon;Koo, Seungbum;Yoon, Suk-Hoon;Park, Sangheon;Kim, Yongcheol;Ryu, Ji-Se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1-108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ground reaction force (GRF) components among different speeds of running. Method: Twenty men ($age=22.4{\pm}1.6years$, $mass=73.4{\pm}8.4kg$, $height=176.2{\pm}5.6cm$) and twenty women ($age=20.7{\pm}1.2years$, $mass=55.0{\pm}8.2kg$, $height=163.9{\pm}5.3cm$)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un on an instrumented dual belt treadmill (Bertec, USA) at 8, 12, and 16 km/h for 3 min, after warming up. GRF data were collected from 30 strides while they were running.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one-way ANOVA, and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value <.05. Results: The time to passive peaks was significantly earlier in women than in men at three different running speeds (p<.05). Further, the impact loading rat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at three different running speeds (p<.05). Moreover, the propulsive peak at 8 km/h, which is the slowest running speed,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p<.05), and the vertical impulse at 16 km/h, which is the fastest running speed,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en than in women (p<.05). The absolute anteroposterior impulse at 8 km/h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p<.05). In addition, as the running speed increased, impact peak, active peak, impact loading rate, breaking peak, propulsive peak, and anteroposterior impul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vertical impul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Conclusion: The impact loading rate is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regardless of different running speeds. Therefore, female runners might be exposed to the risk of potential injuries related to the bone and ligament. Moreover, increased running speeds could lead to higher possibility of running injuries.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Food Practices among Competitive Athletes, Recreational Athletes and Non-Participants

  • Mihye Kym;Lee, Myungch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34-39
    • /
    • 2002
  • The objective of tole study was to compare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food practices of competitive athletes, recreational athletes and non-participants. All students enrolled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 in an Introductory Nutrition course in which sports nutrition was stressed,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urse was typical of many introductory nutrition courses ; about two thirds of the students were from the Department of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and most of th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take this course by their adviser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20 competitive athletes (mostly runners, swimmers, basketball players and football players for the University), 14 recreational athletes (who were involved in a planned exercise program at least 2 hours per week), and 19 non-participant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students completed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a 24-hour food record based on the Food Guide Pyramid. A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questionnaire was formulat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covering normal nutrition and sports nutr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ption of foods from all Food Guide Pyramid food groups except the fats/oils/sweets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Regarding the fats/oils/sweets group, competitive athlete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numbers of servings than recreational athletes, while the recreational athlete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than non-participants (p<0.01). The total mean scores from the nutrition attitude and knowledge questionnai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However, combined athletes (competitive athletes and recreational athlete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ome of the nutrition attitude questions (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thletes,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some of the nutrition knowledge questions (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thletes, whether competitive or some of the nutrition knowledge questions (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thletes, whether competitive or recreational,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regarding the effects of nutrition on their sports performance and health: however, these athletes did not appear to apply scientific principles of sports nutrition to their diet. In conclusion, advising athletes to simply increase or decrease their intakes of certain foods is too simplistic an approach for maintenance of good health and for better sporting performance. Athletes and non-athletes need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to help with improving their competitive edge and food choic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orts Psychological Counseling

  • Min-Woo Jeon;Seong-Hoon 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1-103
    • /
    • 2024
  •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설문조사에서 운동선수 307명, 심층 면담에서 심리상담을 받아본 선수 4명, 받지 않은 선수 4명 등 총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운동선수들이 심리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관리하고 있는지, 평소 고민 상담의 필요성과 전문가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도움을 받는 스포츠 심리상담의 이용 의향 및 필요성, 경험 여부, 진행하기 전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운동선수들의 69.1%가 심리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심리훈련을 진행하는 선수는 33.2%에 불과하였다. 또한, 67.8%가 전문가에게 심리훈련에 대한 교육을 받고 싶다고 답변한 반면, 관련 정보를 탐색한 경험이 있는 선수는 19.9%에 불과하였다. 비용을 지불하고 스포츠 심리상담이라는 서비스를 받을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는 55.7%가 의향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받고 싶은 이유와 받기 싫은 이유, 상담 진행 시 고려하거나 선호하는 내용에 대한 결과를 나열하였다. 심층 면담에서는 상담을 받아본 참여자와 받지 않은 참여자로 분류하여, 스포츠 심리상담을 받은 동기와 받지 않은 이유, 심리상담 시 주변 인식, 고려 사항, 원하는 심리상담사 유형과 프로그램 등의 내용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이 수요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로 제공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는 관점에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