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berized coconut fib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파로호에 설치된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의 공극수에서 세균 분포와 체외효소활성도 (Bacterial Abundance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the Pore Water of Media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in Lake Paro)

  • 김용전;허재규;남종현;김인선;최경숙;최승익;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0-46
    • /
    • 2007
  • 생태계가 파괴된 파로호에 수초대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rubberized coconut fiber를 식생기반재로 사용한 인공식물섬을 2003년 8월에 설치하였다.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있을 정도로 영양염이 농축되어 꽂창포(Iris ensata), 노랑 꽃창포(Iris pseudoacorus), 갈대(Phragmites communis)등 식재된 식물이 잘 자랐다. 이 과정에서 세균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세균수, 활성세균수, ${\beta}-glucosidase$, phosphatase를 조사한 결과 인공식물성 식생기반재의 공극수에서 각각 평균 $28.6{\times}10^{6}\;cells/ml,\;22.7{\times}10^{6}\;cells/ml,\;452.9nM/L/hr,\;16381.9nM/L/hr$로 조사되어 파로호 호수물보다 각각 10배, 15배, 22배, 38배 높았다. 그리고 영양염류농도는 총인과 충질소가 식생기반재 공극수에서 각각평균 1.06 mg/L, 12.5 mg/L으로 조사되어 호수물보다 12배, 3배 높았다. 이 결과 인공식물섬 식생기반재에서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졌으며, 이 생태계에서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 빈-중영양상태의 호수물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었다.

저농도 영양염류를 농축하는 여재에서 총인과 부착세균의 변화 (Dynamics of Total Phosphorus and Attached Bacteria in a Porous Medium Concentrating Nutrients from Low-Nutrient Water)

  • 김주영;남종현;정다운;조안나;최승익;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3-139
    • /
    • 2009
  •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영양염류 농축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저농도 상태인 영양염류를 고농도로 전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균은 장치 내 여재에 생물막을 형성하면서 영양염류를 농축하였다. 총인의 농축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장치로 유입되는 하천수와, 유출되는 공극수, 여재에서 총인과 용존무기인, 총세균수를 측정하였고 농축과정에서 미생물 군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DGGE를 수행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총인의 경우 하천수에서는 0.12~0.35 mg/L로 농도가 낮았지만 농축 후 유출수에서는 0.45~0.86 mg/L, 여재에서는 40.91~242.71 mg/kg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용존무기인은 농축이 일어나지 않았다. 총세균수 역시 하천수에서는 $0.3\sim2.3\times10^6$ cells/ml이었으나 농축 후 유출수와 여재에서 각각 $0.4\sim4.4\times10^6$ cells/ml, $0.8\sim1.9\times10^9$ cells/g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인의 농도 변화와 비슷한 패턴을 보여 총인의 농도와 세균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균의 군집은 하천수에서는 Clostridium 속이 주로 나타났으나 여재에서는 Aquabacterium 속이 우점하다가 천이가 일어나서 Clostridium 속과 Enterococcus 속이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양염류 농축장치의 여재에서 부착세균의 생장으로 인하여 총인의 농축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농축장치는 총인을 고농도로 회수함으로써, 저농도로 다량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회수된 농축수는 수계에 추가적인 부하로 작용하지 않는 자연비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