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shrin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전주 조경묘(肇慶廟)의 건축 특성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ogyeongmyo Shrine in JeonJu)

  • 안선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3호
    • /
    • pp.53-62
    • /
    • 2023
  • Jogyeongmyo Shrine is the Sijomyo Shrine of the Joseon royal family. It is a representative building that symbolizes Jeonju, the hometown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a variety of literature, old maps, and figures, and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Jogyeongmyo Shrine as an architectural example as well as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Jogyeongmyo Shrine was built to symbolically demonstrate the superior virtue of the royal ancestors compared to the ancestors of the gentry. King Yeongjo built Jogyeongmyo Shrine, which he considered his greatest achievement, to rais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and exact loyalty from the vassals. Jogyeongmyo Shrine is a unique example of an ceremonial architecture that cannot be observed in China or the previous Korean dynasties. In addition, its architecture look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shrines because both Confucian ceremonies and the function of each building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construction. Although Jogyeongmyo Shrine was preserv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major modifications were made in all areas except the main shrine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1705년 금보개조도감(金寶改造都監) 제작 금보 연구 (A Study of the Golden Royal Seals Made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lden Royal Seals(金寶改造都監) in 1705)

  • 제지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1호
    • /
    • pp.42-57
    • /
    • 2017
  • 어보(御寶)는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왕(王), 왕비(王妃), 세자(世子), 대왕대비(大王大妃) 등을 책봉(冊封)하거나 존호(尊號), 시호(諡號) 등의 이름을 올릴 때 제작하는 인장(印章)이다. 어보는 금보(金寶)와 옥보(玉寶) 등으로 제작하는데 인장의 주인이 승하하면 종묘(宗廟)의 각 실(室) 보장(寶欌)에 봉안(奉安)되었다. 숙종대(肅宗代)에는 왕실(王室) 문화를 정비하고 보수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1705년에는 종묘에 봉안되어 있던 어보의 의장(儀仗)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고, 이에 따라 어보를 포장하는 부속품을 일괄로 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란 중에 잃어버린 금보와 그동안 만들어지지 않았던 금보 10과(顆)를 새롭게 제작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종묘의 각 실마다 최소 어보 1과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을 기록한 것이 "금보개조도감의궤(金寶改造都監儀軌)"이다. 조선 전 시기 동안 금보를 대량으로 제작해서 종묘에 봉안하는 유일한 의례(儀禮)인 점을 감안하면 이 도감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금보개조도감의 설치과정을 통해 그 시기 손상된 어보의 보관과 관리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금보의 제작과정을 "금보개조도감의궤"와 다른 의궤(儀軌)들을 비교해서 보의 귀뉴(龜?)형태를 만드는 견양(見樣), 밀납주조방식, 수은아말감기법의 도금(鍍金), 세부 문양을 새기는 과정을 순서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당시 금보를 만드는 장인(匠人)인 금보장(金寶匠)의 활동방식을 동시기 의궤를 통해 분석하여 금보장의 계승 방식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존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금보의 양식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705년 금보개조도감에서 제작한 금보의 제작방법과 장인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경우궁도(景祐宮圖)'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景祐宮圖))

  • 김경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196-221
    • /
    • 2011
  • 조선시대 종묘(宗廟)에 모실 수 없는 왕의 사친, 등극하지 못한 세자와 같은 왕족의 신위를 모신 공간, 사묘(私廟)는 왕명에 의해 건립되고 관리되었다. 또한 사묘의 영건은 각 의궤(儀軌)에 담겼고 이와 함께 왕실사묘의 평면배치도 등이 남겨졌다. 정조의 후궁으로 순조(純祖)를 생산한 수빈박씨(綬嬪朴氏)의 신위를 모신 경우궁의 영건기록인 1824년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가 현존하기에 그간 소개된 바도 없고 연대조차도 알 수 없었던 <경우궁도(景祐宮圖)>의 제작 연대, 사용재료 및 장황(粧潢)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즉 <경우궁도>는 1822년에 타계한 수빈박씨의 신위를 모시기 위해 궁내에 설치했던 혼전(魂殿)을 폐하고 궁밖에 별도로 마련한 터에 왕명에 의해 1824년 현사궁별묘를 영건하면서 영건도감(營建都監)에서 제작한 <현사궁별묘전도>인 것으로 확인된다. 영건도감에서 <경우궁도>의 제작이 이루어졌을 것이기에 의궤에 제시된 화원(畵員)들이 주목되지만 이들의 현존작이 없어 화풍을 비교할 수 없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경우궁도>는 <동궐도(東闕圖)>에서 볼 수 있는 완벽한 평행사선구도로 일목요연하게 많은 전각 등을 묘사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양식적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주지하듯 건축물을 다룬 그림들은 해당 건축그림 제작 의도에 맞게 시점을 택해 그리거나 아니면 다시점을 이용해 그리게 된다. 우리 회화에서 건축물을 다룬 그림은 일찍부터 평행사선구도, 정면부감시 또는 다시점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18세기에 이르면 평행사선구도로 정확하게 그리면서도 회화성도 높은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19세기 전반기에 이와 같은 현상이 최고로 발전한 듯 <동궐도>가 등장한다. <경우궁도> 또한 완성된 평행사선구도로 200칸 가까운 많은 전각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치밀하게 표현하고 있어 <동궐도>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건축그림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또한 수지법, 옥우법, 지면의 표면질감 표현 등 구체적 화법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다만 사당공간 중 가장 중요한 정당권역만은 의궤도설 '정당이하제처(正堂以下諸處)'라는 평면배치도와 그대로 일치하여 평행사선구도를 버리고 정면부감시 및 사방전도식묘법으로 표현된 점은 <경우궁도>만이 갖는 특징으로 지적될 수 있다. 동시대 영건과 관계된 그림은 아닌 개인의 거주지를 표현한 그림에 이와 같이 시점을 각각 달리하여 표현한 예가 있기도 하여 사당공간을 그린 그림만이 가지는 특성인지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 한편 왼편 하단으로 향하는 평행사선구도를 택해 그릴 경우 화면 왼편 상단과 오른편 하단은 비게 된다. 경우궁도가 이에 부합되는 화면을 보여주는데 반해 동궐도는 다양한 나무 등을 채워 빈 여백 없는 완벽한 화면 구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현상은 두 작품의 장황의 현황과도 일치하는데 지본 낱장으로 완성된 경우궁도는 화첩으로 표제까지 달아 완성된 동궐도와는 완성도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마치 동궐도가 그 묘사의 사실성, 기록성을 넘어 감상의 목적까지도 고려하여 작품제작 및 장황까지 마친 것이었다면 경우궁도는 영건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옮겨 그리는 기록이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다.

Six unrecorded macrofungi from the Royal Tombs(Donggureung and Seooreung) of the Joseon Dynasty and Jongmyo Shrine, Korea

  • Cho, Hae Jin;Lee, Hyun;Li, Vladimir;Jargalmaa, Suldbold;Kim, Nam Kyu;Kim, Min-Ji;Lim, Young W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8
    • /
    • 2018
  • Macrofungi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play important ecological roles in nutrient cycles as decomposers and symbionts in forest ecosystems. Collectively, macrofungi have great potential as valuable resources for food, cosmetics, and medicinal uses. We surveyed the Royal Tombs (Donggureung and Seooreung) of the Joseon Dynasty and Jongmyo Shrine, where the surrounding vegetation is well-preserved, to investigate indigenous macrofungi. During surveys in 2015-2016, we discovered six macrofungi that were previously not recorded to Korea. They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Cruentomycena kedrovaya, Dacrymyces aureosporus, Laetiporus versisporus, Parasola setulosa, Piptoporellus soloniensis, and Pluteus longistriatus.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molecular analysis are provided in this study.

조선시대 능역(陵域)의 공간구성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 Area in Chosun Dynasty)

  • 이창환;김용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56
    • /
    • 2000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norms and principles reflected i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royal tombs in the Chosun Dynasty through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y theor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oyal tomb sites including Jeshil(Shrine), Hongjunmun, tomb mound, ponds, and attached buildings employing an analysis of the spatial formation and landscape. This study covered 36 tombs of kings and queens in the Chosun Dynasty. The entire layout of royal tombs, including annexed buildings, was informal in may cases. This was due to following the natural contour rather than adhering to certain philosophical principles. The royal tomb site is divided into three zones. Jeshil and pond constitute a space for living people, visitors. Secondly, the semi-scared space includes the space from Hongjunmun to the entrance to the Chungjaka. The last space is for the dead, from the back of Chungjakak to tomb mound. This is in line with the layout of palaces of the Chosun Dynast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ree gates and three zones": outer yard-court yard- back yard. The size of the space for holding memorial ceremonies, from Hongjunmun to the Chungjakak entrance, was set at 900m until the early Chosun Dynasty. Since that time the distance varied according to the land topography due to the influence of metaphysic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spatial organization of royal tombs in the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Confucianism value, the natural contour of the site, and inner spiritual value.ual value.

  • PDF

종묘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alysis of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in Seoul)

  • 이경재;오구균;조현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31
    • /
    • 1988
  •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the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Five sites sampled in the study area with the clumped sampling method. Pinus koraiensis community covered 27.3%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61.5% of total forest area when considering the actual vegetation. This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grade 3 and 4 area covered 46.9% and it should be restored. The ecological diversity, i.e.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showed low class, and especially site 2 which was controlled the user's after 1985 showed the lowest value. Pinus koraiensis community which is a dominant species now in the study area shall be succeed to Quercus alien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at the eastern wall shall be excluded step by step and it shall be replaced with native species gradually. Ailanthus altissima, Populus ${\times}$ albaglandulosa and Styrax japonica which had higher selection invaded conspicuously the bare land. As the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study area, Pinus koraiensis and Styrax japonica shall be thinned out gradually and it shall be replaced with Quercus aliena and Acer palmatum.

  • PDF

조선시대 봉은사 수륙재의 역사적 전개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performed by Bongeunsa temple in Joseon Dynasty)

  • 탁효정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119-151
    • /
    • 2018
  • 본 논문은 봉은사의 기원과 조선시대 봉은사에서 설행된 수륙재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봉은사는 원래 경기도 광주군 학당동(오늘날의 선릉 능역 내)에 위치했던 견성암이라는 이름의 암자였다. 견성암의 창건시기는 불분명하나, 조선전기에 광평대군의 재암(齋庵)으로 지정되면서 크게 중창되었다. 광평대군부인 신씨는 남편의 무덤 근처에 있던 견성암에 70결의 대토지와 1000여 구의 노비를 시주하여 대찰(大刹)로 중창하였다. 이후 견성암은 견성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450년 성종의 능(선릉(宣陵))이 광평대군묘와 견성사가 위치한 곳에 들어서면서 광평대군묘는 인근의 대모산 자락으로 이장되었다. 하지만 견성사는 그대로 남아 성종의 능침사로 역할하게 되었고 절 이름은 봉은사로 개칭되었다. 1562년 중종의 능(정릉(靖陵))이 선릉 부근으로 이장되면서 봉은사는 선 정릉의 능침사를 겸하게 되었다. 1563년 순회세자가 요절한 뒤에는 세자의 원당이 봉은사 내에 마련되었다. 견성암 때부터 봉은사로 개칭된 이후까지 이 절에서는 수륙재가 계속 설행되었다. 하지만 수륙재의 성격은 시기별로 조금씩 달라졌다. 세조대부터 성종대까지 견성암과 견성사에서 설행된 수륙재는 광평대군과 세종, 소헌왕후의 명복을 비는 천도재의 성격과 왕실 및 사부대중의 안녕을 기원하는 대중법회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이후 연산군~명종대에 이르러 선정릉의 능침사로 역할할 당시 봉은사에서 설행된 수륙재는 왕의 천도재 성격이 강했다. 조선후기에도 봉은사는 순회세자의 원당으로 역할하였기 때문에 봉은사는 왕실 수륙재도량으로 계속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병자호란 이후 봉은사는 남한산성에서 전사한 희생자들을 위무하는 국행 수륙재도량으로도 역할하였다.

심곡서원의 조영과정과 배치에 관한 연구 - 사료 및 발굴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On the Site Plan and History of Simgok seowon Confucian Academy)

  • 이승연;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3호
    • /
    • pp.71-87
    • /
    • 2010
  • Sewon was a new type of private academy established by a class landed Confucian scholars known as sarim. During Joseon dynasty, sewon had dual functions as a shrine and a place of learning. The site plan of seowon appeared mainly two types of site plan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of the age and school. This paper was done to analyze the site plan and construction history of Simgok seowon with historical materials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result. Simgok seowon is dedicated to Jo Gwang-jo(1482~1519). This private Confucian academy was founded in 1605 as a small shrine, which was destroyed in 1636. Thereafter, when the shrine received a royal warrant naming as Simgok seowon in 1650, the new site for the seowon was chosen, which is currently located in Gyeonggi-do Yongin-si Sanghyeon-ri 203. Since then, buildings of Simgok seowon was constructed and repaired couple of times.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site plan of Simgok seowon was originally a type of 'jeonjaehudang', that is, dormitory building between the lecture hall and the outer gate, or dormitory building is in front and lecture hall is in behind.

우리나라의 다례와 다례에 관한 복식 - 궁중다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Tea Ceremony and the Costumes for the Tea Ceremony in Korea - Focusing on Royal Tea Ceremony -)

  • 서옥경
    • 복식
    • /
    • 제54권5호
    • /
    • pp.59-70
    • /
    • 2004
  • Tea has influenced the basis of Korean culture in history for a long time. The dissertation aims to establish the history of the costumes for the tea ceremony based upon historical data. During Thee Kingdom Period. there was a ceremony called Tea Offering Ceremony In Silla times, there were Tea Offering Ceremony and Royal Shrine Tea Ceremony: In Corea age, they served Tea Presenting Ceremony: In Chosun age. tea ceremony was a part of Tea Presenting and was held during official greeting feasts for foreign envoys and during feast ceremonies at the court. The costumes for the tea ceremony by period are as fellows : In Corea times, king and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official court attire for Enthronement Ceremony (Ka-Rye). For Official Guest Reception Ceremony (Bin-Rye), king wore official costume, but in case the envoy was not carrying an Official King's Letter, king wore Ordinary Costume. In Chosun times, both king and prince crown wore ordinary costumes of winged silk crowns and royal robes (with golden dragon patterned segment) for Envoy Reception Tea Ceremony. In time of royal feast ceremony, king and prince crown wore ordinary costumes of winged silk crowns and royal robes, while queen wore red purple silk robe (red purple embroidered segment). Chosun's royal court occasionally held tea ceremonyat royal feast ceremonies during which king also wore ordinary costume of winged silk crown and royal robe as a costume to attract good fortunes. In case of ceremonies for bad occasions, a tea ceremony was included in Royal Inquisition procedures (joong-hyung-ju-dae-eui) during which king wore simple costume (Pyun-Bok).

조선후기 보령현 읍치시설의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government facilities in Boryeong-hy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김명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4호
    • /
    • pp.17-2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spatial structure of Boryeonghyeon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status of its Eupchi (Local administrative center:邑治) through an analysis of the location, tracing locations of governemnt offices including Dongheon(東軒) and Kaeksa(客舍) in the walled town, and checking the lot numbers of Sajikdan(社稷壇), Yeodan(厲壇), and Cheongyeonyeok(靑淵驛) outside it. Buildings of Boryeonghyeon in the walled town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most lost and now, part of the city wall and Haesanru(海山樓) just remains as relic. The walled town consisted of several buildings of government offices as well as Dongheon and Kaeksa which are government organs. Altar and shrine(壇廟) facilities including Shrine of Confucius(文廟), Altar of Land and Grain, and Preceptor's Shrine were placed outside the walled town and Cheongyeonyeok were operated as the facilities for transmission of royal orders.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 facilities in the walled town, altar and shrine facilities outside the fortress, and the location of the post station were required to trace and check each of them. For the checking method, the lot numbers could be checked by checking the original cadastral maps and the then land categories and owners, analyzing the records and circumstances of the relevant township annals(邑誌), and examining analyses on the locations by using a numerical map of one to 5 thousands. The study estimated the locations of government facilities including Dongheon and Kaesa placed in the walled town and was grasped to be the east and west gates with the south gate which remains now in the fortress. And the lot numbers of Sajikdan, Yeodan, Cheongyeony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