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emary extract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1초

허브 추출물에 따른 매작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Herb Extracts)

  • 김경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2-31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by a significant degree in the rosemary, lavender, thyme, lemon balm and olive samples, in order. With regard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dded herbs resulted in a more significant rise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a range of concentrations of between $100{\sim}1000{\mu}g/m{\ell}$. In particular, the rosemary, lavender, and thyme samples were shown to be lower in antioxidant activity than ascorbic acid, but higher than a-tocopherol, thus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tected in the rosemary, lavender, and thyme samples we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With regard to reducing ability, increases in the concentration of added herb extract resulted in significant growth. However, the anti-oxidative activity detected in the rosemary extract was indicated to be superior even to that of $\alpha$-tocopherol when added to concentrations of $500{\sim}1,000{\mu}g/m{\ell}$. In our assessment of external appearanc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he highest preference was seen in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group with 2% added rosemary extract. The lowest score was earned in the group with a 5% addition of rosemary. The functional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excellent. Our results appear to indicate that rosemary has some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that can prevent oxidation in food.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미치는 영향: I. 미생물학적 특성 및 저장성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Powder on Ready-to-Eat Hamburger Steaks: I.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elf-life)

  • 오상희;김장호;이주운;이유석;박경숙;김종군;이효구;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87-693
    • /
    • 2004
  • 본 연구는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감마선 조사와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알려진 로즈마리의 추출분말의 병용처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0, 200,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를 0, 5, 10 및 20 k㏉로 조사한 후 4개월 간 냉장(5$^{\circ}C$)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간 내에 파악하기 위해 가속저장(3$0^{\circ}C$) 시험을 병행하였다.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초기 호기성 총균수는 약 5 log CFU/g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해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 중 호기성 총균과 대장균군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20 k㏉로 조사한 햄버거 스테이크에서는 저장 4개월까지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았다. 총균수가 $10^{6}$$10^{7}$ log CFU/g에 이르렀을 때를 저장한계로 보았을 때, 냉장 저장시 비조사구는 14일인 반면, 5 및 10 k㏉ 조사구는 각각 28∼42, 98∼112일이었다. 5 및 10 k㏉ 조사구에서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비첨가구에 비해 저장기간이 14일 연장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저장 시험 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으나 로즈마리 추출분말 첨가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장 저장 시에는 감마선 조사구(5 및 10 k㏉)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추출물틀 이용한 면의 염색 (Dyeing of Cotton with Rosemary Extract)

  • 신윤숙;오유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485-491
    • /
    • 2002
  • Dyeing properties of rosemary colorants on cotton fabrics were investigated. Effect of dyeing conditions on dye uptake and effect of mordanting and cationizing on dye uptake, color change and colorfastness were explored. Also, antimicrobial activity of rosemary colorants was ascertained and further effect of cationizing on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Affinity of rosemary colorants to cotton fiber was considerably low, and its isotherm adsorption curve was Freundlich type, indicating that hydrogen bonding was involved in the adsorption of rosemary colorants to cotton fiber. The cotton fabrics showed generally high colorfastness except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The cationized cotton with Cationon UK(quarterly ammonium salt) showed higher dye uptake and shorter dyeing tim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tton. The cationized cotton showed good colorfastness to washing, perspiration and rubbing. Antimicrobial activity of rosemary colorfastness was confirmed. The cationized cotton itself showed high bacterial reduction rate. For cationized and dyed samples, as dye uptake increased, bacterial reduction rate was decreased slightly.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첨가한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저장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Teokgalbi with Added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Extract Powder)

  • 정해옥;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09-520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rosemary extract powder (REP) to pork teokgalbi on its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Five types of teokgalbi were tested, viz. with no REP added (normal, N), with 0.05% ascorbic acid added (control, C) and with 0.05% (R1), 0.1% (R2) and 0.2% (R3) of REP add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alorific valu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ork teokgalbi. The L and a values of the teokgalbi containing RE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 and C groups. As regards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0.2% REP increased the springiness valu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teokgalbi with the addition of 0.1% REP had higher scores in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The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otal microbial count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the teokgalbi containing 0.2% RE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 group. In conclusion, R3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delaying lipid peroxidation than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refore, rosemary extract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튀김유에 첨가된 산화방지제가 라면의 저장 중 Flavor 화합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s in the Frying Oil on the Flavor Compound Formation in the Ramyon during Storage)

  • 최은옥;이영수;최수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44-448
    • /
    • 1993
  • ${\alpha}-Tocopherol$, BHA, TBHQ, rosemary extract나 defatted ricebran extract가 첨가된 팜유에서 튀겨진 라면을 $6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pentane, hexane, hexanal 및 total volatile)을 stat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해 살펴보았다. 사용된 산화방지제의 농도는 튀김유를 기준으로 100 또는 200ppm이었으며 tocopherol의 경우 300ppm이 추가되었다. Tocopherol은 100 또는 200ppm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라면에서의 모든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정도는 100ppm이 200ppm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0ppm tocopherol은 오히려 $65^{\circ}C$에 저장중인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촉진하였다. BHA와 TBHQ는 100ppm 농도로 첨가된 경우 라면의 flavor 화합물 생성억제에 기여를 하였으나 200ppm 경우 오히려 촉진하였다. Rosemary extract와 defatted ricebran extract는 100 혹은 200ppm 농도에 상관없이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는데 억제효과는 tocopherol과 비슷하고 TBHQ 보다 우수하여 새로운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

  • PDF

로즈마리(Rosmarinus offcinalis L.) 분획물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on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in Cancer Cells)

  • 최준혁;김혁일;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08-1015
    • /
    • 2009
  • 최근 다방면에서 효능이 알려지고 있는 로즈마리를 이용하여 apoptosis 유도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인간유래 자궁암 Hela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Hela 자궁암세포의 저해활성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하여 apoptosis 억제에 관여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며,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Bax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7, 9 및 PARP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Rosemary 추출물, ${\alpha}-Tocopherol$ 및 진공 포장이 청어 Fillet의 냉장 및 동결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osemary Extract, ${\alpha}-Tocopherol$ and Vacuum Packaging on Qualities of Herring Fillet during Cold and Frozen Storage)

  • 양승택;박상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97-704
    • /
    • 1999
  • 청어 fillet를 천연보존제인 rosemary 추출물과 ${\alpha}-tocopherol$, 그리고 합성보존제인 BHA로 각각 처리한 후 각각 함기포장한 group과 진공포장한 group으로 나누어 각각 20, 4 및 $-20^{\circ}C$에 저장하면서 천연보존제 및 진공포장이 청어 fillet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청어 fillet는 $4^{\circ}C$ 저장 시 함기포장의 보존제처리구에서 모두 적어도 3일(대조구, 적어도 1일), 진공포장 시료에서는 모두 적어도 7일(대조구, 적어도 3일)동안은 품질이 양호하였으며 천연보존제 처리 및 진공포장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circ}C$ 저장의 경우, 함기포장 시료는 보존제처리구에서 모두 90일(대조구, 80일)동안, 진공포장 시료에서는 대조구 및 보존제처리구에서 모두 90일 동안 품질이 양호하였다. 한편 $20^{\circ}C$ 저장에서는 전반적으로 저장 1일 이후 품질이 크게 떨어져 식용 불가능하였다.

  • PDF

가공조건에 따른 marta rosemary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arta Rosemary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 최혜련;손선영;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0-54
    • /
    • 2005
  • 천연식품보존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marta rosemary의 항균활성을 조건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균주에 따른 에탄올 추출 marta rosemary의 항균성은 S. typhimurium과 B. subtilis에 대하여 높았다. 용매별 항균성은 극성이 작은 butanol과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고. 수용액에서의 항균 활성은 pH 7에서 가장 높았다. 허브의 미생물의 생육억제 양상은 B. subtilis에 대하여 저 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형, 고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 및 비증 식속도 억제형이었으며 S. typhimurium은 농도에 관계없이 비 증식속도 억제형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낮은 pH 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항균물질의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가열시간이 길수록 허브의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121^{\circ}C$에서 15분간의 열처리로 인한 허브의 항균력은 B. subtilis보다 S. typhimurium에서 높게 나타났다.

홍화유에 대한 천연 항산화제의 항산화력 비교 (Effect of Various Natural Antioxidants on the Safflower Oil)

  • 이명숙;이세희;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6-129
    • /
    • 2004
  • 홍화유 저장 중 천연 항산화제의 종류별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isoflavon, Phaffia rhodozyma extract, tocopherol, sesamol 및 삽성 항산화제인 BHA를 홍화유에 첨가하여 6$0^{\circ}C$에서 한달간 저장하며 실험하였다. 저장기간중 점도의 변화 및 항산화력은 녹차 추출물>BHA>tocopherol>로즈마리 추출물>isoflavon>sesamol>Phaffia rhodozyma extract의 순이었다. 녹차 추출물이 모든 천연항산화제 중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실험 28일 경과 후 유지 산패의 척도인 과산화물가는 대조구에 비해 80.4%, 산가는 42.1%가 감소하였고, TBA가는 47.4%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안채경;이영철;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9
    • /
    • 2000
  • 카레분의 단품향신료와 카레분(curry powder)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추출하여 수율, 항산화 효과, 총페놀함량, 총토코페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의 추출 수율은 각각 $6.4{\sim}42.9$, $3.9{\sim}26.2$, $1.6{\sim}29.2\;%$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증가하였다. 미강유의 각 용매별 추출물을 1,500ppm 첨가하여 Rancimat로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rosemary, sage, ginger, turmeric, nutmeg 순으로 우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thyme, ginger의 순이었으며 헥산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ginger, thyme 순이었다. 1,500ppm을 미강유에 첨가하였을 때 BHT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난 향신료는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rosemary, sage, ginger, oregano, thyme이었으며 이들 향신료를 200, 500, 1,000, 1,500, 2,000 ppms 농도로 미강유에 첨가한 후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rosemary와 sage는 헥산 추출물 2,000ppm에서, ginger는 메탄올 추출물 2,000ppm에서 우수한 효과를, oregano와 thyme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1,500ppm과 2,000ppm에서 큰 차이 없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emary의 혼합에 따라 ginger와 thyme의 항산화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상승효과라기 보다는 rosemary로 인한 유도기간의 연장 효과였다.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은 $17,924{\sim}801\;m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3,893{\sim}57\;mg%$, 헥산 추출물은 $6,864{\sim}12\;mg%$이었으며 총페놀함량과 항산화 효과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토코페롤의 경우 oregano가 3194.8mg%로 가장 높았으며, sage 1014.8 mg%, rosemary 571.1 mg%, thyme 187 mg%였고 ginger에서는 토코페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코페롤함량과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