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rate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3초

차광 정도와 삽목용토가 골담초와 애기기린초의 삽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Degree and Rooting Media on Growth of Cuttings in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and Sedum middendorffianum Maxim)

  • 김현진;김윤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degree and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aragana sinica and Sedum middendorffianum after cutting. In C. sinic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Sunshine Mix #1) and peat moss mixture (peat moss : perlite = 1 : 1, v/v)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and in cuttings plan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kanumatsuchi soil : decomposition of granite = 1 : 1, v/v) under non-shading. Whereas, regardless of shading degree, most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rooted in both horticultural soil and peat moss mixture. Cuttings of C. sinica showed the highest root length, 10.4cm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but the highest fresh and dry weight of roots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In S. middendorffianum, the highest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With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that cuttings of C. sinica should be propaga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and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용토와 생장조절제 처리가 노빌계 덴드로비움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the Cutting of Dendrobium nobile)

  • 김한균;남유경;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0
  •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계 신품종인 'Candy'와 'Fizz', 'Princess'를 대상으로 줄기 삽목번식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매질실험에서 삽목 60일 후 측아발생률은 'Fizz'가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83.3%로 가장 높았고, 발근률은 'Candy'와 'Fizz'에서는 발근이 되지 않았으나 'Prince'의 경우 삽목 60일 후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10%의 발근률을 나타냈다. 오옥신 종류 및 농도별 실험에서 측아발생률은 'Candy'를 제외하고는 삽목 60일 이후부터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나 'Fizz'는 IBA 200ppm 처리의 86.7%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착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Candy'와 'Fizz'의 경우 IBA 200ppm에서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발근률은 'Prince'에서는 IBA 200과 NAA 50ppm에서 대조구보다 2배의 높은 발근률을 나타냈다. BA와 kinetin의 농도별 실험에서 'Candy'는 삽목 60일 후 BA 50ppm에서 20%의 측아발생률을 나타냈다. 'Fizz' 품종은 전체적으로 측아발생률이 30일 이후부터 증가하여 60일 이후에는 대조구의 77%에 비해 BA 200ppm에서 100%이었다. 그러나 kinetin의 경우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착엽수도 Fizz와 Prince에서 측아발생률과 유사한 경향으로서 BA 200ppm에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모든 품종에서 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사과 왜성대목들의 줄기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in Rooting Zone of Dwarf Apple Rootstocks (Malus domestica Borkh.) after Stem Etiolation Treatment)

  • 권순일;김목종;백봉렬;남종철;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6
    • /
    • 2007
  • 본 시험은 주요 왜성대목인 M.26 과 M.9, 발근력이 낮은 O.3, 발근력이 높은 Mo.84 등 4 종류의 사과 대목 품종을 재료로 휘묻이 번식시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시기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여 부정근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휘묻이 번식시 대목별 발근율은 Mo.84가 가장 높았고, O.3가 가장 낮았다. 대목 별 휘묻이 전 후의 IAA함량은 황화 처리 전 발근력이 높은 Mo.84에서 가장 높았으나 휘묻이 일수가 경과할 수록 IAA 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반면 발근력이 기장 좋은 Mo.84의 ABA 함량은 휘묻이 처리 전 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휘묻이 처리전에 비하여 처리후에서 ABA 함량은 모든 대목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Boron의 함량은 발근율이 낮은 O.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N율은 모든 대목들에서 발근율이 높은 Mo.84 대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목의 휘묻이 처리에 따른 IAA 함량은 대목의 발근율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ABA 함량과 boron의 수준은 사과왜성대 목들의 발근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Thidiazuron 처리에 의한 히어리나무의 기내번식 (Micorpropagation of Corylopsis coreana by Thidiazuron Treatment)

  • 강효진;문홍규;이재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263-26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dazuron(TDZ) on shoot proliferation and growth from axillary buds of 20-years-old Corylopsis coreana. Shoots proliferation was effectively achieved on WPM(Woody Plant Medium) supplemented with 0.03∼0.1mg/L TDZ. The highest shoot number(6.5$\pm$0.7) was obtained on 0.1mg/L TDZ treatment. On the TDZ medium shoots formed as clusters less than 1cm in height and therefore needed to subculture on GA$_{3}$ containing medium to induce elongation. In consecutive cultures, phenolic compounds were excreted at the proximal part of the explants and inhibited growth of the explants. Growth inhibition by the compounds was overcome using liquid and paper bridge culture system. About 60% of the elongated shoots rooted on half- strength MS medium containing IBA. Generally, IBA was mire effective on in vitro rooting than NAA with optimal range of 0.5mg/L to 1.0mg/L. Roo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in an artificial soil(vermculite) and acclimatized in high humidity greenhouse condition. Survival rate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rooting types of the explants. Two types of rooting were observed. The first type was direct rooting from the explants. The second type was callus formation followed by rooting from the callus. The explants showing the 1st type rooting survived can be multiplicated in vitro by TDZ treatment followed by elongation with GA$_{3}$ and rooting with IBA.

히어리(Corylopsis coreana)의 삽목번식시 발근촉진제의 처리에 따른 발근력 변화 (Change of Rooting Potential as Affected by Rooting Promoter Treatment in Cuttings of Corylopsis coreana)

  • 권순태;김재창;정정학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02-205
    • /
    • 2011
  • 히어리 대량급속증식법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발근촉진제의 처리가 히어리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삽수는 6~8년생 실생 히어리로 부터 채취하였으며, 발근촉진제로는 IBA용액, 루톤분의제 등을 이용하였다. 1차년도의 실험의 결과, 3월 20일 숙지삽목에서는 발근촉진제의 효과가 없었다. 6월 20일 녹지삽의 경우에는 IBA $100mg{\cdot}L^{-1}$ 용액 24시간 침적처리구에서 발근력이 가장 좋았다. 특히, 경시조사결과 IBA $100mg{\cdot}L^{-1}$ 24시간 침적처리구에서는 발근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졌다. 2차년도의 실험의 결과에서는 IBA $200mg{\cdot}L^{-1}$ 용액 24시간 침적처리구에서는 삽목 30일만에 거의 모든 개체가 발근(97.8%)하였으며 발근수나 발근장도 타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좋았다.

오갈피 나무속(Acanthopanax spry.) 식물의 번식에 관한 연구 -제1보 삽목시 생장조절성질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

  • 안상득;최은옥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38-145
    • /
    • 1992
  • Rooting test of 5 species plants in Acanthopanax genus was carried out to see the comparativ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NAA IBA and IAA.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compendia; (1) When hard and soft-wood cutting from new shoot of 5 species were taken and dipping treated with growth regulators such as NAA IBA and IAA at varied concentration levels their roofings were mostly more superior to the control that untreated. And also treatment of NAA and IBA among treated substances were more effective than IAA. (2) The effects on the rooting number and rate made a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es of Acanthopanax genus even if the same regulator was treated. (3) Decreasing effects of rooting by high concentration obstacle (especially at 2,000 rpm) of NAA and IBA in other species except A. sieboldianum were mostly serious. On the other hand, that in case of IAA treatment was not risen in most species except A. sessiliflorus.

  • PDF

왕벚나무 성목 녹지삽목에서 삽목시기, 옥신처리 및 삽수부위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과 이식 삽목묘의 생육특성 (Effects of Cutting Time, Auxin Treatment,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of the Green-wood Cutting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ed Cuttings in the Adult Prunus yedoensis)

  • 김장수;김진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6
    • /
    • 2012
  • 왕벚나무 성목(43-58년생)의 삽목묘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삽목시기별, 옥신처리별 및 삽수부위별로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했으며, 삽목묘의 가로수 식재 성공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발근된 삽목묘를 묘포장에 이식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에 따른 평균 발근율의 분산분석 결과는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다. 시기별 평균 발근율에서 6월 1일의 삽목(61.4%)이 8월 1일(23.6%)보다 2배 이상 높아 6월 1일이 적합한 시기로 나타났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옥신 처리는 IBA $1,000mg{\cdot}L^{-1}$와 IBA $500mg{\cdot}L^{-1}$ 처리에서 각각 90.8%, 89.2%로 나타났으며, 발근율에 대한 각 처리간의 상호효과($P$ < 0.0001)가 인정되었다. 삽수부위에서 상단부 + IBA $1,000mg{\cdot}L^{-1}$ 처리가 발근율 9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 활착률 역시 옥신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인정되었으며, 잎이 있는 삽목묘의 평균 이식활착률은 46.5%로 낮았으나 IBA $1,000mg{\cdot}L^{-1}$ 처리는 79.2%로 높았다. 그러나 잎이 없는 삽목묘의 이식활착율은 8.7%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활착된 삽목묘와 접목묘 및 실생묘의 생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장(수고, 근원경), 뿌리수, 가지수, 잎수 등에서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으며 삽목묘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안개관수장치로 안정적인 습도조절과 온도유지가 가능한 삽목실에서 6 - 7월의 삽목실시, 상단부 삽수의 선택, IBA처리 및 8월에 발근된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을 통해 개량된 왕벚나무의 대량증식과 성공적인 가로수 식재가 가능할 것이다.

몇 발근환경인자(發根環境因子)가 주목삽수(揷穗) 발근(發根)에 미치는 효과(効果)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Japanese Yew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 김창호;남정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1-6
    • /
    • 1985
  • 주목(朱木)(Taxus cuspidata Sieb. et Zucc)의 휴안지삽수(休眼枝揷穗)를 1982년(年) 4월(月) 20일(日)에 온실내(温室內)와 포지조건(圃地條件)에서 삽목(揷木), 당년(當年) 10월(月) 31일(日)에 발근개체(發根個體)를 가지고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계산(計算)하여 통계분석(統計分析)하였다. 본(本) 실험(實驗)의 목적(目的)은 원예적(園藝的)으로 가치(價値)를 평가(評價)받고 있음에 착안하여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삽목조건(揷木條件)을 찾아내는 데 있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은 포지삽목(圃地揷木)에 비해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이 높았다. 이것은 처리별(處理別)의 차이(差異)에 불구하고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IBA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더 높은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보였다.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의 경우 IBA처리구(處理區)는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 86%, 무처리구(無處理區) 23%, 포지삽목(圃地揷木)인 경우 IBA처리구(處理區) 53%, 무처리구(無處理區) 11%이다. 이것은 모두 삽수장(揷穗長) 20cm, 그리고 사토배지(砂土培地)에 삽목(揷木)되었을 경우이다. 3) 삽목배지(揷木培地)로서 사토(砂土), 양토(壤土), 갈색토(褐色土) 중(中)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이나 포지삽목(圃地揷木) 공히 사토구(砂土區)가 가장 높은 발근율(發根率)을 보였다. 4) 삽수장(揷穗長)이 발근(發根)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分析)한 바 15~20cm가 발근(發根)에 적당하고 25cm 이상은 발근율(發根率)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찰(顧察)에 의한 발근양식(發根樣式)은 삽수하단절단면(揷穗下端切斷面)에 켈루스세포괴(細胞塊)가 생기고 그 안에 근기(根基)가 만들어져 근계형성(根系形成)에 관여하는 경우와 삽수(揷穗)의 경부(莖部)에 측근(側根)모양으로 나타나는 불정근(不定根)의 경우이다.

  • PDF

멸종위기식물 피뿌리풀의 기내증식 (Micropropagation of an Endangered Species, Stellera rosea Nakai by Tissue Culture)

  • 한무석;문흥규;강영제;김원우;강병서;변광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31-35
    • /
    • 2004
  • 멸종위기에 직면한 피뿌리풀 (Stellera roseaN.)의 기내증식법을 개발하고자 액아 마디를 MS 배지에 BAP와 zeatin을 처리하여 다경 (multiple shoot)를 유도하고 기내발근에 미치는IBA및 NA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액아 마디로부터 다경유도는 BA가 현저히 양호한 반면 줄기의 생장은 zeatin이 BA보다 효과적이었다. 증식된 줄기로부터 기내 발근은 오옥신 처리로 가능하였으나 발근율은 대체로 저조하였고 오옥신의 전처리 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IBA가 NAA보다 다소 좋은 발근효과를 보였고 1.0mg/L 농도로 15일간 배양시 30%까지 발근되었다. NAA역시 처리농도 및 처리기간에 따라 발근율에 차이를 보였다. 발근묘는 인공토양에서 51%가 활착되어 정상생장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발근 및 순화조건을 좀더 개선하면 피뿌리풀의 효율적인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i Miq.)의 다신초 유도 및 기외발근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through multiple-shoot induction and ex vitro rooting in Vaccinium oldhamii Miq.)

  • 윤아영;김태동;김지아;이나념;정은주;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82-89
    • /
    • 2022
  •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i)의 정아를 포함한 줄기를 재료로 다신초 유도 및 기외발근을 통해 완전한 식물체를 효과적으로 재분화시킬 수 있었다. 정아를 포함한 줄기로부터 다신초 유도는 2.0 mg/L 2-iP에서 유도율 100.0%, 절편체 당 다신초 유도수 7.4개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초 길이는 평균 51.7 mm로 다른 사이토키닌(zeatin, BA 또는 TDZ)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증식된 줄기로부터 기내발근은 0.5 mg/L IBA 첨가에서 절편체 당 2.4개의 뿌리를 생산하였고, 뿌리 길이는 평균 17.6 mm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상토를 이용한 기외발근의 경우 1.0 mg/L IBA와 탈크(talc) 혼합용액 처리 시 평균 발근율은 80.0%로 기내발근에 비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