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rate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3초

다(茶)나무 (Camellia sinensis L.) 삽목(揷木)시 발근솔(發根率) 향상(向上) (Rooting Promotion in Cutting Propagation of Tea)

  • 김정운;김태석;신길호;김주희;박장현;조경숙;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95-199
    • /
    • 1995
  • 다(茶)나무 삽목(揷木)시 삽수(揷穗)의 종류(種類), 상토(床土)의 종류(種類),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등이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지삽(熟枝揷)보다 녹지삽(綠枝揷)에서 발근율(發根率)이 양호(良好)하며 최적(最適) 삽목시기(揷木時期)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4월 10일경, 녹지삽(綠枝揷)의 경우 6월 10일경이었다. 2. 적정상토(適定床土)는 마사토(磨沙土)이며, 녹지삽(綠枝揷)과 숙지삽(熟枝揷)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은 각각 71% , 87%였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인 Oxyberon과 Rootone의 효과(效果)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4{\sim}9%$의 발근율(發根率)을 향상(向上)시켰으나 녹지소(綠枝揷)에서 는 그 효과가 미미(微微)하였다.

  • PDF

온도(溫度) 및 삽목조건(揷木條件)이 백리향의 발아(發芽)와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and Cutting condition on Germination and Rooting of Thymus quinquecstaus)

  • 박노복;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95-101
    • /
    • 2009
  • 약용 및 관상식물로 개발가치가 있는 백리향의 종자발아 및 삽목조건 구명을 위한 몇 가지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종자발아는 20℃ 광 조건에서 89%의 발아율로 가장 좋았다. 적정 삽목시기는 5월20일이 94%의 발근율로 가장 양호했고, 삽목용토는 단용보다는 peatmoss(50%) + perlite(50%) 혼용처리에서 좋았으며 삽목전 삽수의 IBA 처리농도는 100mg/L 침지처리에서 96%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대량증식을 위한 삽목번식 효율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uttings for Mass Propagation Affecting the Impact of Increasing Reproductive Efficiency of Schisandra chinensis)

  • 김종엽;김창수;유동현;김동원;최동칠;김정만;오남기;박춘근;안영섭;이강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1-236
    • /
    • 201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cutting time, plant growth regulator, and bed-soil for rooting by greenwood cutting of Schisandra chinensis. Approximately 7 cm long-shoots of greenwood cuttings were transplanted by various cutting times, plant growth regulators, and bed-soils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rooting rate of greenwood cutting was 12.5% in the April 5th, 73.5% in the May 8th, and 75.5% in the August 5th. The number and length of primary root in greenwood cutting were more in the early May than those in the early August. For mass propagation of Schisandra chinensis. using greenwood cutting, shoots were trea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on May to increase rooting rate. Rooting rate was 100% with IAA $50mg/{\ell}$, 92.9% with NAA $100mg/{\ell}$, and NAA $1,000mg/{\ell}$, for 60 min. To select effective media for rooting, various medias for bed-soil were treated by single and mixture form for 100 days after cutting. Rooting rate was 91.8% in the single treatment of peat moss or decomposition of granite soil, and this result was better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 The treatment by 1 : 1 mixture of peat moss and horticulture bed soil was rooting with 94.0% best rooting rate.

Coreopsis spp와 Dianthus spp의 삽목 시 삽목시기, 용토 및 프러그 셀 크기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media and plug cell size on rooting of Coreopsis spp and Dianthus spp.)

  • 박노복;신윤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2010
  • 본 연구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의 삽목시기와 용토, Plug 규격이 생육 및 발근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삽목 시기가 늦어질 수록 발근율과 발근 수가 낮아졌다. 5월 20일에서 8월20일 삽목 처리구에서는 두 품종 모두 90% 이상 발근하였으나 9월 20일 삽목한 처리구에서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이 각각 87%와 82%의 저조한 발근율을 보였고 발근 수 역시 9월 20일 처리구가 가장 저조하였다. 또한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모래를 제외한 모든 용토에서 90%이상 발근되었고 peatmoss(1)+perlite(1) 혼합용토에서 발근수가 가장 많았다. Coreopsis spp는 plug 162공에서 발근율이 98%로 가장 높았고 Dianthus spp는 162공과 200공에서 각각 발근율이 95.8%와 96%로 높고 근권부 형성율이 좋았다.

삽목시기, 삽목용토, 생장조절제에 따른 상동나무 삽목발근 특성 (Rooting Characteristics of Sageretia thea by Cutting Time, Rooting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손용환;박성혁;손호준;김지아;조혜정;이선영;김현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67-674
    • /
    • 2022
  • 본 연구는 상동나무의 삽목을 통한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발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삽목시기, 식물생장조절제, 삽목용토별 처리를 통한 발근 효과를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9년 시기별로 각각3월, 7월, 9월 자생지에서 채집한 상동나무에 대해 식물생장조절제 및 용토별로 구분하여 120일간 삽목상에 두고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삽목시기에 따른 발근율, 근장의 발달에서 숙지삽목이 녹지, 반숙지삽목에 비해 발근율은 15%, 근장은 200% 증가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식물 생장조절제 및 농도별 처리에 따른 발근율은 대조구와 비교해서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근장의 경우 IBA 500 mg/L > IBA 250 mg/L > IAA 1,000 mg/L 순으로 대조구 대비 최대 170% 수준으로 향상되어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동나무 삽목시 시기는 3월경 숙지삽목을 채취한 뒤 IBA 500 mg/L생장조절제에 침지하여 발근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Cultivation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of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uttings)

  • 이희두;김시동;김학현;이종원;김주형;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02
  •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희귀식물 제주황기의 미세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plant specie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alpinus N.)

  • 한무석;노설아;곽명철;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00-106
    • /
    • 2014
  • 희귀 식물 제주황기의 기내번식법 확립을 목적으로 줄기증식 및 발근을 시험하고 배양과정에서 나타나는 잎의 과수화 현상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줄기유도 시 BA 및 kinetin의 처리는 다경유도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단일 줄기로 자랐다. 하지만 BA 처리는 마디 수의 증가를, kinetin 처리는 줄기의 신장을 각각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수화(hyperhydration)된 잎은 정상 잎에 비하여 세포의 크기가 크고 책상조직의 발달이 부진하였으며, 세포의 배열이 불규칙하였다. 특히 과수화 잎의 세포는 세포 내 전분의 축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발근은 세 가지 배지(B5, MS, WPM) 가운데 B5 배지가 양호하였으며, 0.1 mg/L IBA 처리 시 최고의 발근율을 보였다. 발근에 미치는 절편체 위치효과(정아지 혹은 액아지)는 통계적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외삽목 발근은 0.5% IBA 분말 처리로 65%까지 발근되어 기내발근 보다 저조하였으나, 차후 생존율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제주황기의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하며, 이 식물의 기내 및 기외보존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의 종자번식 및 녹지삽목 번식기술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Technique of Kalopanax pictus Nakai)

  • 용영록;이문호;김병섭;김학기;김종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59
    • /
    • 2001
  • 본 연구는 음나무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용적인 실생번식과 녹지 삽목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실생 번식을 위한 노천매장과 1$0^{\circ}C$ 후숙처리는 1주이내에 배의 크기를 3mm이상 유도하였고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노천매장과 1$0^{\circ}C$에서 후숙된 종자에서 70%이상 높게 나타났다. 녹지 삽목 실험에서 는 삽수의 모수령이 발근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1년생 삽목묘 신초를 삽수로 사용한 것이 68.9%의 발근율로 가장 높고, 모수의 수령이 유령일수록 발근율이 높고, 반면 수령이 증가할수록 발근 능력이 감소하였다. 삽목 시기별 발근 실험에 있어서 1차 생장한 6월 13일 삽목한 삽수가 68.9%로 발근율이 가장 높아 6월중순이 삽목 적기였다. 식물생장조정제 종류 및 농도별 처리에서는 IBA 1000mg.L$^{-1}$ 농도에서 30분간 침적했을 때 발근율이 70%, NAA 1000mg.L$^{-1}$에서 66.7%의 순으로 2000mg.L$^{-1}$ 30초, 500mg.L$^{-1}$ 10시간 처리구 보다 발근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중북부 지방 벼 장려품종의 활착기 저온반응의 차이 (Response to Low Temperature of Rice Cultivars for Mid- Northern Area at Rooting Stage after Transplanting)

  • 김기식;사종구;허범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0-176
    • /
    • 1989
  • 중북부 지방의 재배벼로 지정된 태백벼외 18개 장려품종들에 대한 생육시기 저온반응을 구명하고자 14$^{\circ}C$와 12$^{\circ}C$의 Growth chamber 내에서 저온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은 소백벼, 백암벼, 설악벼, 화성벼, 치악벼, 도봉벼, 대성벼, 상풍벼, 천마벼 등이었다. 2. SPAD 치에 의한 엽색의 정도는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들이 높았다. 3. 저온처리시 뿌리의 신장을 전혀 보이지 않았던 품종은 태백벼, 삼강벼, 백양벼, 풍산벼, 상풍벼, 진여 등이었다. 4. 저온처리후 20일 경과시 발근장과 발근수는 대성벼, 오태벼, 화성벼, 성락벼, 치악벼, 운봉벼, 소백벼 등이 많았다. 5. 활착기에 저온처리를 당했던 품종은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하더라도 2~11일 정도 출수지연 현상을 보였다. 7. 엽색이 농록이고 발근율도 높은 품종은 상품벼, 치악벼, 오태벼, 소백벼, 운봉벼, 설악벼, 도봉벼, 화성벼, 대서여 등이었고, 엽색농도가 낮고 발근율도 낮은 품종은 백양벼, 태백벼, 삼강벼, 농백 등이었다.

  • PDF

장미 공장생산시스템 적용을 위한 Single-node 삽목묘의 잠재생장 (Estimating Potential Growth of Single-node Cuttings for Applying Single-stemmed Rose to Factory System)

  • Kim, Wan-Soon;Lee, Yong-Beom;Nam, Yoon-Il;Kim, Hyung-Jun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9-8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rooting and shooting in single-node cuttings (SNC) of roses 'Rote Rose' and 'Teresa' to several conditions: growth stage, node position, and leaf area of cutting, so that single-stemmed roses (SSR) could be used in rose factory system. There was no effects of growth stage of flowering shoots far cutting on the rooting and shooting of SNC in both of the two cultivars. However, the node position and leaf area of cuttings significantly affected the rooting and shooting of SNC: the speed was accelerated with larger leaf area and upper node cuttings, but the rate showed little difference as above 95%. Based on above results, rooting and shooting in SNC was forced by leaf area mainly, followed by node positions. On the other hand, flowering rate of shoots from SNC was improved mainly with larger leaf area in cuttings. Shoots of 45cm-longer, qualified for rose factory system, increased with lower node and larger leaf area significantl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potential growth of shoots from SNC would be influenced mainly by leaf area, followed by node position on cut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