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knot nematode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1초

과채류 시설재배지 식물기생선충 분포 및 효소표현형을 이용한 뿌리혹선충의 동정 (Distribution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Fruit Vegetable Production Areas in Korea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by Enzyme Phenotypes)

  • 조명래;이봉춘;김동순;전흥용;임명순;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3-129
    • /
    • 2000
  • 국내 과채류 재배단지의 뿌리혹선충 발생에 관한 조사를 위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 성주군을 중심으로 경기 여주군, 경남 함안군, 충북 청원군 등에서 과채류재배지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선충 종류와 밀도 조사, 뿌리혹선충 암컷의 효소표현형에 의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경북 성주군의 185개 참외재배 포장 중 99개 포장(53.5%)에서 뿌리혹선충이 검출되었고 나선선충류(Helocotylenchus spp.)는 7개, 둥근꼬리선충류(Aphelechus spp.)는 43개, 환선충류(Criconematid)는 26개 포장에서 검출되었다. 뿌리혹선충 암컷의 Malate dehydrogenase 및 Esterase 등 2가지 효소표현형을 이용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주요 4종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효소 표현형을 이용하여 성주군 선남면에서 채집된 13개 시료 중 당콩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된 것이 6포장, 고구마뿌리혹선충 5포장이었으며 2개 포장은 두 종의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주군 초전면의 6개 포장 시료 중 4개가 땅콩뿌리혹선충, 1개가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되었으며 1포장의 뿌리혹선충은 효소표현형이 미동정 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여주군의 참외재배단지에서는 14개 조사대상 중 당근뿌리혹선충이 11개 포장, 땅콩뿌리혹선충이 3개포장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oil Textures on Infectivity of Root-Knot Nematodes on Carrot

  • Kim, Eunji;Seo, Yunhee;Kim, Yong Su;Park, Yong;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66-7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fectivity (penetration and gall and egg-mass formations) of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hapla, on carrots grown in soil conditions of 5 different soil textures consisting of bed-soil (b) and sand (s) mixtures (b-s mixtures) at the ratios of 10:0, 7:3, 5:5, 3:7, and 0:10. For M. incognita, the nematode penetration rates in b-s of 0:10 (100% s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b-s mixtures, more greatly at 2 and 5 days after inoculation than at 10 DAI,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netration rates were mostly shown for M. hapla at the above DAI. However, for both nematodes, gall and egg-mass formation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the b-s mixture of 0:10, compared to the other b-s mixtures, which is coincided with the general aspects of severe nematode infestations in sandy soils. This suggests the increased gall and egg-mass formations of M. incognita should be derived from the increased penetration rates in the sandy soil conditions, which provide a sufficient aeration due to coarse soil nature for the nematodes, leading to their mobility increased for the enhanced root penetration. For M. hapla, it is suggested that the sandy soil conditions affect positively on the healthy plant growth with little accumulation of the inhibitory materials and sufficient aeration, enhancing the nematode growth and feeding activities. All of these aspects provide information reliable for the development screening techniques efficient for the evaluation of the nematode resistance in the breeding programs.

고구마 뿌리혹선충 저항성 토마토 품종 스크리닝 (Screening of Tomato Cultivars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김형환;조명래;강택준;정재아;한유경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94-298
    • /
    • 2010
  • 고구마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저항 성품종을 스크리닝하고자 32개 완숙 토마토 품종, 11개 방울 토마토 품종 및 8개 대목 토마토 품종을 대상으로 포트 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완숙 토마토 32 품종중에서 저항성인 품종은 홈런킹이었고, 중간 저항성 품종은 레전드썸머, 레전드, 선명, 핑크탑, Top3, 델리스, 타샤, 릴리앙스 등 8 품종이었다. 방울 토마토 11 품종중에서는 레드체리가 저항성 품종이었고, 텐텐, 디저트, 레드스타, 베리킹, 아리가또 등이 중간 저항성 품종이었다. 8개의 대목 토마토 품종중에서는 부킹하계, 스페셜이 저항성 품종이었고, B-블로킹, 솔류션, 동반자, 그린파워가 등이 중간 저항성 품종이었다.

시설과채류(오이, 참외)의 뿌리혹선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gainst Root-knot Nematode of Fruit Vegetables (Oriental Melon and Cucumber) in Vinyl House)

  • 박소득;박선도;권태영;최부술;이원식;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1
    • /
    • 1995
  • 시설 과채류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피해경감을 위해서 경북도내 시설 오이 재배단지인 칠곡과 참외재배 주산지인 성주에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방제시험한 결과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토양개량 적기는 모래산흙인 마사토의 경우에 3년 붉은산흙인 경우 4년마다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농약과 조합한 오이의 방재시험에서 빗사마드 분제가 78.2%, 카보입제+토양반전+담수가 71.2%, 카보입제+담수가 66.3%이었으며 참외에서 살충제처리후 20일에는 77.7~80.6%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60일 후에는 33.7~49.5%로 방제가 낮아 후기에는 효과가 낮았다. 참외재배 논에서의 작부체계에 따른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참외 재배후 담수하여 벼를 재배할 때에 벼 수확시 방제효과가 91.1%로 대부분의 선충이 사멸되었다. 각 처리구 공히 처리당시에는 뿌리혹선충 증식을 억제하였으나 생육추기로 갈수록 선충밀도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토양개량은 3년간 효과적이였으며 가장 경제적으로 선충의 증식을 억제하 수 있는 처리는 3년마다 한번씩 벼를 재배하는 것이었다.

  • PDF

감자 주산지 식물기생선충 분포와 뿌리혹선층의 PCR 동정 (Occurr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s and PCR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 조명래;이영규;김점순;유동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9-85
    • /
    • 2006
  • 국내 주요감자재배지의 식물기생선충 발생상을 밝히기 위해 2004년과 2005년에 제주, 예산, 김천, 고령, 홍천, 평창, 김제, 밀양, 남원, 강릉, 인제 등 11개 감자 주산지를 대상으로 선충속별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채집한 토양시료 50개 중 30개에서 뿌리혹선충 유충이 검출되었으며 밀도는 12-69마리/토양 100cc 정도로 비교적 낮았다. 식물기생선충류 중 Praty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Ditylenchus sp., Tylenchus sp., and Tylenchorhynchus sp.가 지역별로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밀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채집한 토양을 토마토 뿌리에 접종 후 뿌리혹선충을 배양하여 PCR-RLFP에 의한 정밀동정 결과 제주, 밀양, 고령에서 채집한 뿌리혹선충 암컷에서 500 bp의 PCR 산물을 얻었으며 제한 효소 Dra I을 처리한 결과 290 및 230 bp의 밴드가 형성되어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으로 동정하였다.

토마토에 대한 뿌리혹선충의 주요 종별 피해정도 (Effects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M. arenaria and M. javanica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 조현제;김창효;박중수;정모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4-167
    • /
    • 1987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뿌리혹선충의 주요 종인 Meloidogyne hapla, M. arenaria, M. incognita 그리고 M. javanioa의 피해정도를 알기 위하여 pot당 0, 1,000, 10,000마리의 선충접종한 결과 감수정도는 M. javanica($Rutgers\;:\;80\%$, 복수2호 : $59\%$), M. incognita(Rutgers : $78\%$, 복수 2호 : $50\%$, M. arenaria($Rutgers\;:\;65\%$, 복수2호 : $24\%$), M. hapla($Rutgers\;:\;7\%$, 복수2호 : $15\%$)의 순이었고, M. hapla는 아열대인 필리핀에서의 Rutgers보다 우리나라에서의 Boksu 2에서 더 심한 피해를 나타내는 반면 M. arenaria, M. incognita 및 M. javanica는 필리핀에서의 Rutgers에서 더 피해가 심했다.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풋트당 선충 10,000마리 접종구에서 Rutgers의 지상부 무게가 뿌리 무게나 초장보다 더 컸지만 선충 밀도가 낮은 1,000마리 접종구에서는 초장이나 지상부 무게가 감소하는 반면 뿌리 무게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새로운 채소류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of Newly Introduced Vegetable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김동근;류영현;허창석;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94-299
    • /
    • 2013
  • 새로운 채소류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7과 13속, 25종, 총 39품종을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감수성인 것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아마란서스와 근대, 낙규과(Basellaceae)의 바우세, 피나무과(Tiliaceae)의 모로헤이야, 메꽃과(Convolvulaceae)의 공심채, 십자화의 청경채, 홍채태(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다채(B. campestris var. narinosa), '다청채'(B. campestris var. chinensis x narinosa), 갓, 곱슬겨자(B. juncea), 교나(B. juncea var. laciniate), 채심(B. rapa subsp. arachinenesis), 가이란(B. oleracea var. alboglabra), 로케트샐러드(Eruca sativa), 국화과(Asteraceae)의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엔다이브(Cichorium endivia), 아티쵸크(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상추(Lactuca sativa)였다.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인 것은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맛짱, 콜라비(B. oleracea var. gongyloides) cv. 적콜라비, 치커리(C. intybus) cv. 적치커리였다.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것은 치커리(C. intybus) cv. 슈가로프, 구루모, 통콘네로네(radichio treviso),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만추콜라드, 슈퍼맛짱 브로콜리(B. oleracea italica), 잎브로콜리(B. oleracea var. botrytis italiana), 꿀풀과(Lamiaceae)의 차즈기, 들깨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채소류는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저항성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경제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뿌리혹 선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ffecting Economic Crops in Korea)

  • 최영연;추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98
    • /
    • 1978
  • 경제작물증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뿌리혹선충에 간하여 1977년 경상남, 북도 경기도 제주도 등의 4개도 46개 지역에서 66개의 재료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뿌리혹선충 종두는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arenaria, Meloidgyne incognita 그리고 Meloidogyne javanica등 4종이 발견되었으며 동정된 4종의 뿌리혹선충의 중요 형태적 특징을 기술했다. 이 중에 Meloidogyne javanica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원예시험장의 감자, 경북 대구시 검사 동의 배추, 대구시 산격동의 오랑캐 꽃, 경남 남해군 초음리의 호박 등에서 발견되었다. 지역별 뿌리혹선충 종류별 분포상태는 제주도에서는 전부 Meloidogyne incognita만 발견되었고 다름 3종은 발견도지 않았다. 그러나 경기도에서는 Meloidogyne incognita는 전연발견되지 않았다. 경상북도와 경기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경상남도에서는 4종 모두 발견되었으나 Meloidogyne hapla와 Meloidogyne incognita가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히 광범하게 분포하고 있는 종은 Meloidogyne hapla로 전체 조사수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이 Meloidogyne incognita로 $33.3\%$, Meloidogyne arearia $10.6\%$, Meloidogyne javanica $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피해상태는 제주도가 가장심하게 나타났고 다음이 경남, 경북, 경기 등의 순이었다.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직물은 24종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 특히 중요한 농작물로는 콩, 땅콩, 감자, 토마토, 오이, 당근, 호박, 수박, 우엉, 고추, 가지, 배추, 상치, 담배, 인삼 등이었다. 전반적으로 뿌리혹선충방제를 위한 지도 계몽이 시급히 요구된다.

  • PDF

몇종의 선충천적 진균과 화학약제를 이용한 약용작물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검토 (Field Application of Egg and Larval Parasitic Fungi and Chemicals for Controlling Root-knot Nematodes on Some Medicinal Herb)

  • 박소득;추연대;정기채;심용구;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5-114
    • /
    • 1993
  •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method for Meloidogyne spp to medical herbs by applied of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spp, Fusarium spp, and egg parastic fungi, Paecilomyces lilacinus were applied for root-knot nematodes on medicinal herbs, Paeonia albiflora, Codonopsis lanceolata,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Codonopsis lanceolata, Paeonia japonica lower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ated control plots. But A. thaumasia F. oxysporum treated plots were less effective. Effect of egg parasitic fungi and chemical treatment at divided root of Paeonia japonica after sterilized in pot were increased in the fresh weight, root weight, control effect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as chemical, Carbo G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ted control plots. I field experiment, the number of root gall, egg mass and nematode density of Paeonia were also suppress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It was very effective continuous 2 years and transplanting time on Paeonia japonica infested soil with the M. hapla in field in both region, Chillgok and Euisung treated P. lilacinus as chemical treated plots. Soaking effect of insecticide for Paeonia japonica at diving shoot before transplating in pot were effective for 12hours immersion into 1,000 ppm of Benlate T + Mep Ec, Benlate T + Fenthion EC in pot and field Experiment. In the Examination of fungi activily on P.japonica field 1 year after soil treatment, Number of spore of P. lilacinus were 1,000~1,300 in 3 region except Euisu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