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knot gall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Responses of Guava Plants to Inoculation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Soil Infested with Meloidogyne enterolobii

  • Campos, Maryluce Albuquerque Da Silva;Silva, Fabio Sergio Barbosa Da;Yano-Melo, Adriana Mayumi;Melo, Natoniel Franklin De;Pedrosa, Elvira Maria Regis;Maia, Leonor Co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242-248
    • /
    • 2013
  • In the Northeast of Brazil, expansion of guava crops has been impaired by Meloidogyne enterolobii that causes root galls, leaf fall and plant death. Considering the fact that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mprove plant growth giving protection against damages by plant pathogens,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select AMF efficient to increase production of guava seedlings and their tolerance to M. enterolobii. Seedlings of guava were inoculated with 200 spores of Gigaspora albida, Glomus etunicatum or Acaulospora longula and 55 days later with 4,000 eggs of M. enterolobii.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MF and M. enterolobii were assessed by measuring leaf number, aerial dry biomass, $CO_2$ evolution and arbuscular and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In general, plant growth was improved by the treatments with A. longula or with G. albida. The presence of the nematode decreased arbuscular colonization and increased general enzymatic activity. Higher dehydrogenase activity occurred with the A. longula treatment and $CO_2$ evolution was higher in the control with the nematode. More spores and higher production of glomalin-related soil proteins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 with G. albida. The numbers of galls, egg masses and eggs were reduced in the presence of A. longula. Inoculation with this fungus benefitted plant growth and decreased nematode reproduction.

Suppress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Lettuce and Oriental Melon by Pasteuria penetrans KW1

  • Lim, Chun-Keun;Yu, Yong-Man;Cho, Myoung-Rea;Zhu, Yong-Zhe;Park, Duck-Hwan;Hur, Jang-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7-180
    • /
    • 2003
  • Pasteuria penetrans KW1 (PP), parasitic bacterium of nematode, was isolated from oriental melon greenhouse soil in Korea and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 on the reproduction of sou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MI), in lettuce (Lactuca sativa L. var. Chungchima)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Eunchun).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s in medium inoculated with 5,000 MI juveniles/pot (J), J +100,000 PP endospores/l g medium, and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After 11 weeks of plantation, number of root galls in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was decreased to 92/root (38.9%, control effect), compared to the J of 150/root. In the second plantation of lettuce in the same pots, the numbers of root gal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P treated pots with 75 (77.2%, control effect) and 150/root (54.4%,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1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J of 330/root when harvested at 10 weeks after planting. In oriental melon, root gall percentages were 32.1 (60.2%, control effect) and 52.9% (34.5%,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 1(10,000 endospores/l g medium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80.7% in J.

남부지방(南部地方) 시설원예(施設園藝)의 유형(類型).재배환경(栽培環境) 및 병해충발생(病害蟲發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충발생양상(蟲發集樣相)과 상토(床土)의 선택(選擇)에 따른 뿌리혹선충(線蟲)의 발생(發生)- (Studies on the Patterns of Plastic Film House, Their Growing; Conditions, and Diseases and Pests Occurrence on Horticultural Crops in Southern Part of Korea. Insects and Nematodes Associated with Horticultural Crops and Effect of Nursery Soil Conditions on the Infection of Root-knot Nematode)

  • 추호열;김희규;박중춘;이상명;이정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95-201
    • /
    • 1987
  • 남부지방(南部地方) 시설원예내(施設園藝內)의 문제(問題)되는 해충(害蟲)과 선충(線蟲)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주, 집현, 금산, 창녕, 남지, 밀양, 김해, 합천, 부산, 순천, 광양 등의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서 1984년(年) 12월(月)부터 1985년(年) 12월(月)까지 충(蟲) 발생(發生)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선충(線蟲)은 6과(科) 9속(屬) 9종(種)이 검출(檢出)되었고, 곤충(昆蟲)은 4목(目) 17과(科) 23속(屬) 24종(種), 응애는 1종(種)이 채집(採集)되었는데, 가장 문제(問題)되었던 선충(線蟲)은 뿌리혹선충(線蟲)인 M. incognita였으며, 딸기에서는 A. fragariae의 피해(被害)도 컸었다. 해충(害蟲)은 목화진딧물인 A. gossyphi였다. 고추역병의 피해주(被害株)는 반드시 뿌리혹선충(線蟲)에 심(甚)하게 감염(感染)되어 있었다. 한편, 상토원별(床土原別) 뿌리혹선충(線蟲)의 발생(發生)에서 밭의 표층토(表層土)를 이용했을 때 발생(發生)이 심하였으며, 살선충제(殺線蟲劑)로 처리된 표층토(表層土)나 논흙에서는 피해(被害)가 없었고 생육(生育)도 좋았다. 염류농도(鹽類濃度)별로는 EC $1mS/cm^2$에서 뿌리혹선충(線蟲)의 피해(被害)가 가장 심(甚)하였고, 다음은 4mS, 2mS순(順)으로 4mS의 범위(範圍)에서는 선충(線蟲)의 피해(被害)를 받았으나, 6mS에서는 선충(線蟲)의 피해(被害)가 거의 없었다.

  • PDF

살선충제 Imicyafos 입제의 2종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Imicyafos GR against Two Species of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eloidogyne hapla))

  • 김형환;정영학;김동환;하태기;윤정범;박정규;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5
    • /
    • 2015
  •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 처리에 따른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포트시험과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트시험 결과 imicyafos 입제 처리 60일 후 생충수와 난낭수 조사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은 91.5%, 94.2%, 당근뿌리혹선충은 90.6%, 95.1%로 각각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설재배 수박, 참외, 멜론, 오이, 토마토에서 imicyafos 입제를 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imicyafos 입제는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약효의 지속성도 뛰어났다. 특히 imicyafos 입제를 처리가 fosthiazate 입제 처리 보다 난낭수 형성을 더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나 당근뿌리혹선충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발생 실태 및 수직 분포 (Occurre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 권기윤;강헌일;서종민;윤을수;박남숙;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4-130
    • /
    • 2019
  • 국내 마 주산지인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일대 총 53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물기생성선충 종류와 밀도, 시기별 발생 실태, 토양 깊이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검출된 식물기생성선충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침선충(Paratylenchus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등 3개의 속이었으며, 그중 뿌리혹선충은 53개 조사지점 중 43개 지점에서 검출되어(81%) 안동지역 마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이었다. 시기별 토양 내 뿌리혹선충 유충의 수는 8월까지는 토양 $300cm^3$ 당 10마리 정도였으며 9월에는 274마리, 수확기인 10월에는 624마리로 증가되었다. 토양 깊이별로는 토양 40-50 cm 깊이에 가장 유충의 밀도가 높았으며(1,840마리/$300cm^3$) 토양 70 cm 깊이까지 뿌리혹선충 유충이 발견되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괴경은 외부에 혹이 발생하였고 괴경의 내부는 갈색점으로 변색되었으며, 마의 괴경 내 침입한 뿌리혹선충의 수도 40-50 cm에서 79마리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마 재배지에서의 뿌리혹선충 방제를 위해서는 토양 깊이 50 cm 정도에 가장 많은 뿌리혹선충 유충이 분포하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설재배지 토양소독법과는 다른 방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by Organ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Isolated from Kimchi

  • Seo, Hye Jeong;Park, Ae Ran;Kim, Seulbi;Yeon, Jehyeong;Yu, Nan Hee;Ha, Sanghyun;Chang, Ji Yoon;Park, Hae Woong;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62-673
    • /
    • 2019
  • Root-knot nematodes (RKNs) are among the most destructive plant-parasites worldwide, and RKN control has been attempted mainly using chemical nematicides. However, these chemical nematicides have negative effects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us necessitating the search for eco-friendly alternative RKN control methods. Here, we screened nematicidal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and evaluated their efficacy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RKNs. Of 237 bacterial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showed the strongest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second-stage juveniles (J2) of Meloidogyne incognita, M. arenaria, and M. hapla and inhibited the egg hatch of M. incognita. The culture filtrate of WiKim0069 had a pH of 4.2 and contained acetic acid (11,190 ㎍/ml), lactic acid (7,790 ㎍/ml), malic acid (470 ㎍/ml), and succinic acid (660 ㎍/ml). An artificial mixture of the four organic acids produced by WiKim0069 also induced 98% M. incognita J2 mortality at a concentration of 1.25%, indicating that its nematicidal activity was derived mainly from the four organic acids. Application of WiKim0069 culture filtrate suppressed the formation of galls and egg masses on tomato roots by M. incognit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pot experiment. The fermentation broth of WiKim0069 also reduced gall formation on melon under field conditions, with a higher efficacy (62.8%) than that of fosthiazate (32.8%).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kimchi LAB against RKNs and to demonstrate that the organic acids produced by LAB can be used for the RKN management.

더덕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충의 증식억제 식물 탐색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to Suppress Population of Meloidogyne hapla i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임주락;황창연;김대향;최정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9-346
    • /
    • 2006
  • 비름과 쇠무릎등 총 36과 81속 90종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70종의 식물에서 당근뿌리혹선충 감염을 확인하지 못했고, 이들 70종 중 42종의 식물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더덕의 피해가 많았던 포장에 심고, 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26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고, 지치 등 16종은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42종의 식물중 30종의 식물을 Pot 재배를 통하여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별 뿌리혹수와 토양 내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패랭이, 원추천인국, 기린초, 아주까리, 지모, 해변아욱, 애기똥풀, 흑참깨, 짚신나물, 큰뱀무, 오이풀, 현삼 등 12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더덕은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뿌리혹수가 많아지고, 토양 내 유충밀도 역시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더덕의 생육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나빠지는 경향이었다.

뿌리혹 선충에 대한 선충 천적 기생균의 생물적 방제 효과 (Evaluation for Biocontrol Potentials of Nematophagous Fungi against Root-knot Nematode)

  • 정미정;장성식;김희규;박창석;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2-388
    • /
    • 1993
  • 5종의 선충 천적 기새균 A. arthrobotryoudes, A. conoides, A. oligospora, D. lobata 그리고 F. oxysporum 을 이용해 온실에서 당근뿌리 혹선충 방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선충 천적 기생균을 처리했을 때 뿌리혹형성이 감소하였고 또한 고추생육이 증진되었다. 5가지 천적 진균 모두 4가지 접종원 농도로 처리했을 때 뿌리혹 형성을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현저히 감소되었다. 특히 F. oxysporum 처리구가 뿌리혹 감소 효과가 매우 높았다. 고추 지상부 생육은 A. arthrobotryoides, A. conotdes, A. oligospora, D. lobata and F. oxysporum 접종원을 고추 정식전처리했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해서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온실 시험과 실내시험을 통하여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던 D. lobata와 F. oxysporum을 선발하여 뿌리혹 선충의 밀도가 높은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 두가지 선충 천적 기생균 모두 접종원 농도 1 : 70, 1 : 100 에서 무처리에 비해 고추의 뿌리혹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때 고추 지상부 생육은 두처리 모두 온실 시험에서 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