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knot nematod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17초

마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발생 실태 및 수직 분포 (Occurre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 권기윤;강헌일;서종민;윤을수;박남숙;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4-130
    • /
    • 2019
  • 국내 마 주산지인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일대 총 53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물기생성선충 종류와 밀도, 시기별 발생 실태, 토양 깊이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검출된 식물기생성선충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침선충(Paratylenchus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등 3개의 속이었으며, 그중 뿌리혹선충은 53개 조사지점 중 43개 지점에서 검출되어(81%) 안동지역 마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이었다. 시기별 토양 내 뿌리혹선충 유충의 수는 8월까지는 토양 $300cm^3$ 당 10마리 정도였으며 9월에는 274마리, 수확기인 10월에는 624마리로 증가되었다. 토양 깊이별로는 토양 40-50 cm 깊이에 가장 유충의 밀도가 높았으며(1,840마리/$300cm^3$) 토양 70 cm 깊이까지 뿌리혹선충 유충이 발견되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괴경은 외부에 혹이 발생하였고 괴경의 내부는 갈색점으로 변색되었으며, 마의 괴경 내 침입한 뿌리혹선충의 수도 40-50 cm에서 79마리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마 재배지에서의 뿌리혹선충 방제를 위해서는 토양 깊이 50 cm 정도에 가장 많은 뿌리혹선충 유충이 분포하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설재배지 토양소독법과는 다른 방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젤라틴 분해력이 있는 Bacillus균의 고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illus spp. Having Gelatin Decomposing Activity o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Pepper)

  • 김진한;박찬선;김영호;김유리;이승웅;노문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5-379
    • /
    • 2016
  • 내장산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들의 젤라틴 및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난낭 분해활성을 평가하였다. 활성이 우수한 3종의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KRB-5와 Bacillus amyloliquefaciens KRB-9, 10이 분리동정되었다. 고구마뿌리혹선충에 20일간 노출시킨 고추모종에 분리동정된 3종의 미생물을 90일동안 처리하고 난낭과 고추모종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B. subtilis KRB-5을 처리한 군에서는 미생물 무처리 군 및 다른 미생물 처리 군과 비교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난낭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고추의 지상부 생육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 subtilis KRB-5 균주를 이용한 박과 작물에 대한 확대 효능 평가와 시설 재배지 현장 시험 등의 추가적인 연구는 활용할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athological Interrelations of Soil-Borne Diseases in Cucurbits Caused by Fusarium Species and Meloidogyne incognita

  • Seo, Yunhee;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410-423
    • /
    • 2017
  • Pathological interrelations of two soil-borne diseases in cucurbits (watermelon, oriental melon, shintosa and cucumber) caused by Fusarium isolates (FI) and the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incognita were characterized by the fusarium disease severity index (DI), RKN gall index (GI) and eggmass index (EI) in inoculation tests using FI and RKN. Virulence of FI as determined by DI at 4 weeks after inoculation was mostly in the higher order of Fusarium proliferatum F6, F5 and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or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tial interactions among the cucurbits and RKN co-infection. Significant increases of DI due to RKN coinfection were noticed in watermelon and oriental melon infected with F. proliferatum isolates, suggesting the DI increase due to RKN coinfection may depend upon the virulence of FI relative to aggressiveness of RKN on the cucurbits. For the coinfection of FI and RKN, GI and EI were mostly reduced logarithmically with the increase of DI, largely more in EI than GI, in all cucurbits except for shintosa.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root tissues showed histopathological features characteristic to infection types; formation of fungal hyphae and/or spores and plant defense structures (tyloses and mucilage) in variable degrees and formation of giant cells at variable developmental stages and with variable cytoplasmic depletion or degeneration which were visualized in relations with the values of DI, GI and EI.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to develop control strategies of the soil-borne disease complex based on their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Comparisons of Pathological Responses in Carrot to Root-knot Nematodes

  • Seo, Yunhee;Kim, Yong Su;Park, Yong;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41-445
    • /
    • 2015
  • Carrot (Dacus carota var. sativus) is one of the top-ten most economically important vegetable crops produced worldwide, and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in the carrot. In Korea, M. hapla and M. incognita are presumed to be the major root-knot nematodes distributing mostly in open carrot fields and greenhouses, respectively. In our study, currently-developed and commercial carrot cultivars and the parental lines were examined for their pathological responses to M. incognita and M. hapla 7 weeks after inoculation with about 1,000 second-stage juveniles (J2) of the nematodes. All the carrot cultivars and lines showed susceptible responses to both nematodes with the gall index (GI) of 2.4-4.4, which were always higher on the carrot plants infected with M. incognita than M. hapla. Gall sizes were remarkably larger with more serious reduction of the root growths in the plants infected with M. incognita than M. hapla, suggesting the carrot lines examined in our study were more susceptible to the former than the latter. In the infection sites of the root tissues, giant cells were more extensively formed, occupying larger stellar regions with the prominent destruction of adjacent xylem vessels by M. incognita than M. hapla.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M. incognita affect more seriously on the carrot plants that are grown in greenhouses, compared to M. hapla that has a major distribution in open carrot fields, which would be used for determining cropping systems based on target nematode species, their damage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eloidogyne hapla 독성세균의 분리 동정 및 독성물질의 정제 (The Toxin Purification and Isolation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hapla Toxicity Bacteria)

  • 이광배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2호
    • /
    • pp.32-39
    • /
    • 1999
  • The following is experimental result of selecting soil bacteria showing toxicity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Out of 286 strains isolated from soil, one(NC67) showing toxicity against M.hapla is selected The selected strain(NC67) is identified of B. thuringiensis subsp. indiana. It proved out that the toxic maerial against M. hapla produce by NC67 strain is an exotoxi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xistence of the extercellular toxicity product by the toxic strain(NC67) by usign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 Dowex 50W column chromatography and TLC of silical gel etc. proved out that it is a single material.

  • PDF

국내 분리 포식성곰팡이들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포식 능력 비교 (Comparison of Predacity of Nematode Predatory Fungi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이재국;김동근;이영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15
    • /
    • 2000
  • 1995년 전국 8개도 37개점의 밭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2균주의 선충 포식성곰팡이를 이용하여 실내 및 온실에서 부식성선충과 뿌리혹선충을 이용하여 포식력을 비교하였다. 실내검정에서 부식성선충에 대하여 91% 이상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는 51균주였고, 부리혹선충에 대하여는 26균주였으나, 온실 검정에서는 81%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가 3균주로 온실검정과 실내 검정간 상관 유의성은 없었다. 선발된 3균주는 부식선충 및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실내 및 온실실험에서 모두 높은 포식력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으로 미루어 볼 때, 천적 포식성곰팡이 선발 시험은 반드시 포장 조건과 가장 유사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Chitinase-Producing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on Egg Hatching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Jung, Woo-Jin;Jung, Soon-Ju;An, Kyu-Nam;Jin, Yu-Lan;Park, Ro-Dong-;Kim, Kil-Yong;Shon, Bo-Kyoon;Kim, Tae-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6호
    • /
    • pp.865-871
    • /
    • 2002
  • A bacterium having strong chitinolytic activity on $0.2\%$ colloidal chitin-containing agar medium was isolated from coastal soil in Korea.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conserved segment of a 165 rRNA gene,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The population of P. illinoisensis KJA-424 and chitin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first 2 days of incubation. On SDS-PACE analysis with $0.01\%$ glycol chitin, three protein bands (63, 54, and 38 kDa) with chitinolytic activity were detected tooted. The effect of P illinoisensis KJA-424 on the egg hatch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as investigated. After 7 days of incubation with the chitinase-producing P. illinoisensis KJA-424, none of the eggs hatched, whereas a $39.8\%$ egg hatching rate was observed in the water control. Inverte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demonstrated that P. illinoisensis KJA-424 deformed and destroyed the eggshell of M. incognita. In conclusion, chitinase-produced by p. illinoisensis KJA-424 caused the lysis of M. incognita eggshell and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egg hatching in vitro.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와 M. hapla)에 대한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의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oybean Cultivars to Root-Knot Nematode Speci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hapla) in Korea)

  • 김동근;최동로;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37
    • /
    • 1982
  • 두 종류의 부리혹선충(M. incognita, M. hapla) 각각에 대한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의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1. 인코그니타혹선충(M. incognita)에는 은대두, 백천, 동북대, 단엽콩이 저항성 이었으며 광두, 황금총, 부석은 중정도 저항성이었고 광교외 8품종은 감수성 이었다. 2. 당근혹선충(M. hapla)에는 장엽콩 한 품종만이 저항성이었으며 단엽콩, 힐, 동북태, 함안대립, 충북백은 중정도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육우 3호 외 9품종은 감수성이었다. 3.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단엽콩과 둥북태는 인코니타혹선충(M. incognita)에는 저항성을 가지면서 당근혹선충(M. hapla)에는 중정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좋은 품종이었다.

  • PDF

국내 참깨와 들깨품종의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esame and Perilla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하지혜;강헌일;은근;이재현;김동근;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84-189
    • /
    • 2016
  • 고부가가치 작물인 참깨와 들깨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참깨 10품종, 들깨 10품종, 총 20품종을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참깨 10품종 모두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이었다. 들깨 10품종은 모두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이었다. 참깨와 들깨를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참깨는 시설재배지에 감염되어있는 뿌리혹선충의 종을 먼저 동정하여, M. arenaria가 감염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M. incognita가 감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들깨는 2종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으로 이들 선충이 감염된 시설하우스에서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