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dry matter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6초

Potential Water Retention Capacity as a Factor in Silage Effluent Control: Experiments with High Moisture By-product Feedstuffs

  • Razak, Okine Abdul;Masaaki, Hanada;Yimamu, Aibibula;Meiji, Okamot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71-478
    • /
    • 2012
  • The role of moisture absorptive capacity of pre-silage material and its relationship with silage effluent in high moisture by-product feedstuffs (HMBF) is assessed. The term water retention capacity which is sometimes used in explaining the rate of effluent control in ensilage may be inadequate, since it accounts exclusively for the capacity of an absorbent incorporated into a pre-silage material prior to ensiling, without consideration to how much the pre-silage material can release. A new terminology, 'potential water retention capacity' (PWRC), which attempts to address this shortcoming, is proposed. Data were pooled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conducted separately over a period of five years using laboratory silos with four categories of agro by-products (n = 27) with differing moisture contents (highest 96.9%, lowest 78.1% in fresh matter, respectively), and their silages (n = 81). These were from a vegetable source (Daikon, Raphanus sativus), a root tuber source (potato pulp), a fruit source (apple pomace) and a cereal source (brewer's grain), respectively. The pre-silage materials were adjusted with dry in-silo absorbents consisting wheat straw, wheat or rice bran, beet pulp and bean stalks. The pooled mean for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pre-silage materials was 78.3% (${\pm}10.3$). Silage effluent decreased (p<0.01), with increase in PWRC of pre-silage material. The theoretical moisture content and PWRC of pre-silage material necessary to stem effluent flow completely in HMBF silage was 69.1% and 82.9 g/100 g in fresh matter, respectively. The high correlation (r = 0.76) between PWRC of ensiled material and silage effluent indicated that the latter is an important factor in silage-effluent relationship.

NaCl stress에 의한 몇가지 콩 품종들의 생육과 광합성 반응 (Response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to NaCl stress in Soybean(Glysine max L.) Seedlings)

  • 조진웅;김충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6-170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콩 장려품종인 단원콩, 황금콩, 광안콩 등 3가지 품종을 대상으로 100mM NaCl 처리에 따른 30일 묘의 생육특성 및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주경장과 주경절수는 NaCl 처리로 감소하였으며, 엽면적 및 건물중 역시 크게 감소하였다. 품종간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지만 황금콩이 다른 두품종보다 감소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잎, 줄기, 뿌리로 구분한 건물중 변화는 줄기의 건물중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다음이 잎, 뿌리 순으로 NaCl에 영향을 받았다. 비엽면적(SLA), 지상부와 지하부 비율(Shoot/Root), 잎과 지하부의 비율(Leaf/Root)은 황금콩이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나머지 두 품종은 NaCl 처리로 감소하였으며, 옆위별 잎 두께는 무처리는 옆위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00mM MaCl 처리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제 1엽과 2엽의 엽록소 함량의 경시적 변화는 무처리는 처리 후 15일째에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NaCl 처리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 2엽의 광합성 속도는 경시적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지만 NaCl 처리로 광합성 속다가 감소하였으며 처리 후 20일째에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광합성 속도와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

논토양에서 해가림 피복물 종류별 6년생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6-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by Shade Materials in Paddy Field)

  • 이성우;박기춘;이승호;김금숙;장인복;김용범;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3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optimal shade materials among four-layered polyethylene (PE) net (FLPN), aluminium-coated PE sheet (APSS), and blue PE sheet (BPSS) in condition of paddy field cultivated 6-year-old ginseng. The order of light-penetrated ratio and air temperature by shade materials was BPSS > APSS > FLPN. Light-penetrated ratio of BPSS before two fold shade was more 3 times and 2 times than that of FLPN and APSS,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of BPSS was also higher $1.6^{\circ}C$ and $1.4^{\circ}C$ than that of FLPN and APSS, respectively. BPSS showed good cultural environment because all of light-penetrated ratio and air temperature were become higher in spring and fall season but lower in summer season by additional shade with two-layered PE net. Survived-leaf ratio was highest in BPSS and lowest in FLPN causing a little water leak on a rainy day. Rusty-root ratio was also highest in FLPN because soil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by water leak. The order of root yield was BPSS > APSS > FLPN, and the cause of highest yield in BPSS was higher light-penetrated ratio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higher survived-leaf ratio, and lower rusty-root ratio than that of APSS and FLPN. BPSS showed highest total ginsenoside content because of high light-penetrated ratio, blue light effect, and the difference in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such as low taproot ratio, and high lateral root ratio.

재배지역에 따른 고구마의 생육 및 괴근 특성 차이 (Difference of Growth and Root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by Cultivated Region)

  • 한선경;송연상;안승현;이형운;이준설;정미남;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62-270
    • /
    • 2012
  • 재배지역에 따라서 동일한 고구마 품종이 나타내는 생육특성과 괴근특성을 구명하고 보다 우수한 품질의 고구마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재배 토양의 토성은 논산시험구가 식양토, 함양이 양토였으며, 무안, 익산, 보령은 사질양토였다. 또한 보령시험구는 강우량이 많아 일조시간이 짧았으며 적산온도는 익산시험구가 높게 나타났다. 2. 전기전도도는 무안시험구가 다른 지역 시험구에 비해 높았고, 유기물 함량 및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은 보령이 높아 토양 비옥도가 높게 나타났다. 3. 덩굴무게는 보령시험구에서 많았으며 수량과 당도는 무안과 익산에서 높았다. 4. 고구마의 형태는 익산시험구는 단방추형이었고, 함양은 장방추형으로 길쭉한 경향이었으며, 육색은 익산과 무안시험구의 색도가 낮아 어두운 색을 보였다. 5. 전분가 및 당도는 무안과 익산시험구가 높았고 함양은 낮은 경향이었다.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 생육,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Red Pepper and Egg Plant in Pot Culture)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8
    • /
    • 2002
  •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겨울철 염화칼슘(CaCl2) 처리에 따른 가로변 3가지 상록 관목류의 생육 및 생리반응 - 사철나무, 영산홍, 회양목을 중심으로 -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Three Evergreen Shrubs to De-icing Salt(CaCl2) at Different Concentrations in Winter - Focusing on Euonymus japonica, Rhodo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

  • 주진희;박지연;허혜;이은엽;현경학;정종석;최은영;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2-129
    • /
    • 2016
  • 본 연구는 도심 내에서 공원 및 가로수 주변에 식재된 대표적인 세 가지 상록 관목류인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영산홍(Rhododendron indicum), 회양목(Buxus koreana) 등을 중심으로 겨울철 염화칼슘($CaCl_2$)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생리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내염성 정도와 제설제 피해지역에 대한 내성수종을 선별하기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염화칼슘을 각각 0%(대조구), 0.5%, 1.0%, 3.0%, 5.0% 처리한 실험구에 2014년 11월에 정식한 후 이듬해 이른 봄인 2015년 3월에 수고, 엽장, 엽폭, 엽형지수, 엽수, 생체중, 건조중, 건물률, R/T율, 엽록소함량, 엽록소형광반응,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철나무는 3.0% 이하, 영산홍과 회양목은 1.0% 이하의 처리구에서 생존이 가능하였으며,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생육적 감소율이 비교적 낮았다.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생리적 반응들이 감소되는 것은 동일하나, 영산홍과 회양목은 감소세가 비교적 뚜렷한 반면, 사철나무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산홍은 증산율을, 회양목은 광합성율과 기공전도도를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염해에 좀 덜 민감한 수종임을 알 수 있어 제설제 피해지역에 상록 관목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대한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의 영향(影響) - 발아 및 묘대기(苗垈期) 생육(生育)에 대하여 - (Influence of Toxic Heavy Metals on Germination of Rice Seeds and Growth of Rice Seedling)

  • 김복진;하영래;김정옥;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9-126
    • /
    • 1979
  •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이 수도의 발아 및 묘대기(苗垈期)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중금속(重金屬) 원소별(元素別)로 농도(濃度)를 달리한 일정(一定)한 용액(溶液)을 계속(繼續) 공급(供給)하여 발아 및 묘(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에 과잉(過剩)의 해(害)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처리농도는 Cd; 0.05ppm 이하(以下), Cu; 0.05ppm 이하(以下), Ni; 0.5ppm 이하(以下), Co; 0.5~1.0 ppm, Cr; 0.5ppm~1.0ppm, Mn: 1.0ppm 이하(以下), Zn; 0.5~5.0ppm Pb; 0.5~5.0ppm으로 발아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d>Cu>Ni>Co>Cr>Mn>Zn$$\geq_-$$Pb의 순(順)이었다. 2)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처리 농도(濃度)는 Cd;0.05ppm 이하(以下), Ni, Cr, Co; 0.5ppm 이하(以下), Cu; 0.5~5ppm, Zn; 0.5~5ppm, Pb; 5~20ppm, Mn; 10~25ppm, 으로 건물중(乾物重)에 미치는 영향(影響)의 정도는 Ni>Cd>Cr>Co>Cu$$\geq_-$$Zn>Pb>Mn의 순(順)이었다. 3)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를 유발하는 건물중(乾物中)의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는 Cd; 0.05~15.5ppm, Ni; 1.50~25.0ppm, Pb: 24.0~28.0ppm, Cu; 26.5~62.5ppm Zn; 470~645ppm, Mn; 231~500ppm, Co; 15.0ppm 이하(以下)였다. 4) 0.5ppm의 처리농도에서 각종(各種)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의 흡수(吸收) 축적(蓄積)은 Cr이 trace Co; 15ppm, Cd; 17.5ppm, Pb; 24.0ppm, Ni; 25. ppm, Cu; 84.5ppm, Zn; 470.0ppm으로 수도에 의(依)한 흡수정도(吸收程度)는 Zn>Cu>Ni>Pb>Cd>Co>Cr> 의 순(順)이었다. 5) 근활력(根活力)에 대해 과잉(過剩)의 해(害)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는 Ca;0.05ppm 이하(以下), Cu; 0.05~0.5ppm, Cr; 0.5ppm 이하(以下), Ni; 0.5~1.0ppm, Co; 0.5~1.0ppm, Zn; 0.5ppm 이상(以上), Pb; 0.5~5.0ppm, Mn; 1~10ppm으로 근활력(根活力)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정도(程度)는 Cd>Cu>Cr>Zn>Ni>Co>Pb>Mn의 순(順)이었다.

  • PDF

건초 4 초종의 Diallel 혼파조합에서 경합 (The Competition Relations of Four Forage Species in Diallel Combination Mixture)

  • 조명제;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6-433
    • /
    • 1986
  • 목초의 단ㆍ혼파군낙에서 초종조합별 수량성과 각 초종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경합력을 평가하고 그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혼파초지모형의 기초자료 및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 라디노클로버 및 알팔파의 각 단파와 2초종의 혼파조합으로 이루어진 10개의 대형폿트 군락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경합관계는 지상부와 지하부를 분리하여 건물중으로 평가하였데 그 방법으로서 는 expected yield, aggressivity, relative yield total (RYT) 및 compensation index (CI)와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및 specific combining ability(SCA)를 계산하여 비교ㆍ해석하였다. 목초수량에서는 화본과초종인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의 각 단파 및 그들의 혼파가 유리하였고 두과초종인 라디노클로버와 알팔파의 단파 및 혼파의 경우에는 불리하였다. 목초의 수량으로 살피본 지상부경합에서 토올페스큐-라디노클로버 혼파조합만이 RYT가 1.05로 유리하였고 단파의 경우보다 토올페스큐가 우점종이었다. 또한 화본과혼파와 두과혼파는 사본과-두과혼파조합보다 우열정도의 차이가 적었고 화본과초종은 두과초종에 대해 우점종이었으며 그 중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우점력이 큰 초종으로 냐타딘고 알팔파는 가장 낮은 초종이었다. 한편 혼파의 경우 조합능력을 나타내는 혼생능력에서는 토올페스큐가 가장 켰으며 그 다음이 오차드그라스였고 라디노클로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별 혼생능력은 동일과간혼파조합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본과와 두과가 혼합된 조합이 불리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토올페스큐와 라디노는 혼생능력이 가장 큰 조합이었다. 지하부 경합에서도 지상부와 마찬가지로 토올페스큐-라디노혼파가 RYT가 가장 크고 혼생능력도 큰조합이었으며, 4초종중 오차드그라스가 우점력이 가장 컸고 근부의 혼생능력에서도 지상부와 달리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큰 초종이었다.

  • PDF

온도별 암하생장시 인삼의 생장효율과 열장애 (Growth Efficiency and Thermal Stress in Panax ginseng Grown at Various Temperatures under Dark)

  • 박훈;유기중;최병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88
  • 인삼을 $15^{\circ}C$에서 $30^{\circ}C$까지 $5^{\circ}C$ 차이로 구분하여 일중 온도변이를 두어 19일간 암하에서 길러 지상부 재생장효율을 조사하였으며 생육적온 $15^{\circ}C$를 제한 온도를 적산한 6개 열장해지수와 5개의 생장효율과의 직선상관을 조사하였다. 총생산효율(지상부건중/근중감소량)은 최적온인 $15^{\circ}C$ / $15^{\circ}C$에서 37.5%이고 최고온인 30/$30^{\circ}C$에서 12.3%였다. 유지호흡을 보정한 순생산효율{(지상부중+지상부유지호흡량)/(근중감량-유지호흡량)}은 각기 39.6%와 16.7%였다. 모든 열장해지수는 모든 생장효율과 부상관(p=0.001)을 보였으며 온도차가 없는 경우와 너무 큰 경우를 보정한 열장해지수가 가장 큰 상관계수를 보였다. 열장해지수는 근중감소량과 유의 부상관, 유지호흡량과는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지상부 생장량은 생장효율 및 근중감소량과 유의 정상관, 열장해지수와는 부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열장해는 호흡소모가 아니고 재생장에 필요한 기질공급의 저해이며 그로 인해 생장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인다. 생육적온에서도 재생장효율은 심히 적었으며 생육부진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예초후 재생과정에 따른 이화적, 동화적 생화학변화에 관한 연구 (Biochemical Changes of Dissimilation and Assimitation in Zoysia japonica Steud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 장남기;김형기;유준희;김용진;임채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6-68
    • /
    • 1987
  • During the regrowth the process after mowing, NRA in the leaf was the highest activity from the 5th day to the 7th day. Before mowing, the NRA in the root was not almost detected. But, the NRA in root appeared a rapid increasing activity from the 3rd day to the 4th day after mowing ( Figs.27 ~ 32).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a general tendency of AA in the aboveground parts appeared an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4th day, a rapid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7th day to the 8th day reaching its peak, and a decreasing rate on the 8th and 9th day reaching its peak, and a decreasing rate on the 8th and 9th day. But the AA in the root appeared rapid increasing rate from the 2nd day to the 7th day, the heginning of reagrowth, this tendency showed a similar figure in the case of Total Soluble Carbohydrate ( TSC) in the internode. Both AA and NRA were appeared recovery stage frorn the 8th day after mowing(Figs.15~20).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of the maximum plant lengths were 18.27cm in the 6cm mowing plot on the 24th day after mowing, 18.83cm in the 3cm mowing plot on the 18th day after mowing, and 18.16cm in the 6cm mowing plot on the 14th day after mowing ( Fig.2).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Dry Matter (DM) contents in leaf and stem were a slow de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4th day. From the 5th day to the 8th day it appeared a rapid increasing tendency. And afterward until the 15th day. All treatments were reached at a steady state ( Figs.3 ~ 8).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the TSC contents of stem and crown were a slow de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5-6th day. Prom the 7th to the 8th day three was a rapid increasing tendency. And afterward until the 15th day there was a decreasing rate at a steadyv state. In root there was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leaf and stem organs. A general tendency in internode, the TSC content appeared a similar figure to increment of AA (Figs. 9 - 14).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te Crude Proem (CP) content of ahoveground parts appeared a slow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5-6th day, where it is peak. And afterward to the 15th day there was a decreasing rate at a steady state. But, in toot there were a contrary tendency to that of abovegr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