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coverag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9초

자생 숙근초화 및 바닥재의 종류가 뗏장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Perennial Flowers and Kinds of Basal Sheets on Sod Formation)

  • 정정학;한인송;이성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9-24
    • /
    • 2001
  • 숙근초화의 뗏장 생산에 적합한 초종과 바닥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동자꽃, 톱풀,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 자생식물 10종을 포함한 숙근초화류 14종의 뗏장 형성여부를 살펴보았다. 1. 재식장소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포트에 이식하여 노지에 정식하였을 경우보다 바크(bark)에 정식하였을 때 생육이 좋은 경향이었다. 2. 사용 바닥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에서 지면을 완전 피복할 때까지 걸리는 소요일수가 짧아지며, 뗏장형성능력이 좋았다. 특히 황마를 바닥재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기판이 부패하여 바크와 뿌리의 결속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백리향, 좀씀바귀, 땅채송화, 바위채송화 등 포복성식물들은 꿩의비름, 애기개미취 섬쑥부쟁이 등의 직립성 초종에 비해 초고가 낮고 피복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새만금간척지에서 난지형 잔디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 of Warm-season Turfgras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배은지;한정지;이광수;박용배;최수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warm-season turfgrasses and to find out suitable turfgrass species on Saemangeum reclaimed land. Twenty native zoysiagrass(Zoysia sinica, Z. matrella, Z. japonica, Medium-leaf type zoysiagrass(hybrid zoysiagrass)) and bermudagrass(Cynodon dactylon) collected from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otal stolon length and the number of stolon per square meter,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 and stolon, and coverage rate were analyzed for 2 year. C. dactylon showed not only the most growth response with high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 and stolon, which were 19.9% and 66.3%, but also resulted in higher level of turf visual quality compared to others. Whereas Z. japonica showed the least growth response with low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 and stolon, which were 2.4% and 0.7%. Although all warm-season turfgrasses took root and grew up well, there were different growth rates between the interspecies. Z. sinica 'Z2034', Z. matrella 'Z4091', Z. japonica 'Z1064', Medium-leaf type zoysiagrass 'ZN6019' and C. dactylon 'BN7014' were the greatest growth rate of shoot and stolon.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selecting salt tolerant breeding lines and also used to develop a turfgrass cultivar with strong salinity toleranc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중국의 문화관광 공연작품 <장한가>에 나타난 영상이미지 효과 분석 (Analysis on Video Image Effect in , China's Performing Arts Work of Cultural Tourism)

  • 육정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77-85
    • /
    • 2013
  • 본 연구는 중국 최초의 대형 역사 무용극을 표방한 서안의 <장한가> 라는 작품 속에 들어있는 영상이미지의 공연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즉 <장한가> 작품 속에 들어 있는 특정 주제, 소재들을 표현함에 있어 어떠한 영상이미지를 사용하여 공연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영상이란 '사물의 모습이 반영된 상', 특히 영화, 텔레비전, 사전 등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말로 그 범위는 매우 넓으며 image의 어원은 imitary에 근거를 둔 것으로 구체적 또는 심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시각적 표시를 말한다. 따라서 영상이미지는 '영상'과 '이미지' 라는 동의어의 결합으로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영상이란 단순히 시나리오의 문학성, 연극성, 미술성 등과 같이 전통적인 예술장르의 종합이 아니라 모든 예술의 본원적 기능을 통합하고 인간존재의 오묘한 이미지 활동을 연결한 결과로서의 총체라고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한가>에 표현되는 영상 이미지의 효과로 첫째, 시대성과 문화를 반영한 함축적 의미의 표현 효과 둘째, 상상적 동일시 효과, 셋째, 장면전환의 효과 넷째, 몰입을 통한 극적 재미의 효과, 다섯째, 공연의 입체감을 통한 시각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Geometric and Spatial Image Quality of KOMPSAT-3A Imagery in Comparison with KOMPSAT-3 Imagery

  • Erdenebaatar, Nyamjargal;Kim, Jaein;Kim, Taeju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ometric and spatial image quality analysis of KOMPSAT-3A stereo pair. KOMPSAT-3A is, the latest satellite of KOMPSAT family, a Korea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operating in optical bands. A KOMPSAT-3A stereo pair was taken on 23 November, 2015 with 0.55 m ground sampling distance over Terrassa area of Spain. The convergence angle of KOMPSAT-3A stereo pair was estimated as $58.68^{\circ}$. The investigation was ass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geopositioning analysis, image quality estimation and the accuracy of automatic Digital Surface Model (DSM) generation and compared with those of KOMPSAT-3 stereo pair with the convergence angle of $44.80^{\circ}$ over the same area. First, geopositioning accuracy was tested with initial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 (RPCs) and after compensating the biases of the initial RPCs by manually collected ground control points. Then, regarding image quality, relative edge response was estimated for manually selected points visible from two stereo pairs. Both of the initial and bias-compensated positioning accuracy and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 expressed that KOMPSAT-3A image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of KOMPSAT-3 images. Finally, the accuracy of DSMs generated from KOMPSAT-3A and KOMPSAT-3 stereo pairs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DAR-derived DSM. The various DSMs were generated over the whole coverage of individual stereo pairs with different grid spacing and over three types of terrain; flat, mountainous and urban area. Root mean square errors of DSM from KOMPSAT-3A pair were larger than those for KOMPSAT-3. This seems due to larger convergence angle of the KOMPSAT-3A stereo pair.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Use Pattern and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7-176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입장객은 가을철이 여름보다 많았으며, 입장객의 약 89%가 주등산로를 이용하고 있고 약 35%정도는 제 3폭포까지 방문하고 있었다. 총 16km, 103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침식깊이 및 등산로물매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손유형은 주로 암석노출, 뿌리노출, 종침식의 순이었고 이들 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차이를 보였다. 주연부의 상층식생은 등산로의 지형적 위치에 따라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산철쭉, 쇠물푸레가 우점종이었다. 주연부 관목층의 피도, 종수 및 개체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다른 국립공원들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연부식생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and around Trails in Soraksan National Park)

  • 이준우;오구균;권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1-204
    • /
    • 1997
  • 설악산 국립공원의 8개 주요 등산로에 대해 이용강도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 환경훼손상태를 조사하였다. 총 31.9km, 188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침식깊이 및 등산로물매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손유형의 출현빈도는 뿌리노출, 노출확대, 암석노출, 분기 등의 순이였으며, 이들 지점의 등산로 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변의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인 나지의 면적은 전체 10,864m$^{2}$이며 희운각대피소-무너미고개 구간이 4,560m$^{2}$로서 가장 많이 발생되어 있었다. 주연부 상층식생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였고, 하층식생은 계곡부에서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능선부에서는 서어나무, 털진달래,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주연부 하층식생의 피도 및 개체수는 특이하게 이용강도가 높은 무너미고개-대청봉 구간에서 가낭 높았으며, 등산로간의 하층식생의 종구성은 대체로 이질적이었다.

  • PDF

강원도 강릉시 산불지역에서의 토양유형의 분포와 침식양상파악을 위한 Landsat ETM 영상의 활용 (Application of Landsat ETM Image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Soil Types and Erosional Pattern in the Wildfire Area of Gangneung, Gangweon Province, Korea)

  • 양동윤;김주용;정공수;이진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64-773
    • /
    • 2004
  • 산불지역 토양의 침식양상을 구분하기위하여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일대의 산불지역 토양을 조사하였다. 토양은 유기물의 분포양상 및 토양층의 두께, 토양층 발달의 완전성(성숙도)를 근거로 5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침식 현상은 토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나뭇잎, 낙엽층, 뿌리, 재 그 밖의 유기물의 피복이 토양의 색과 영상 이미지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침식양상의 차이를 보이는 5개 유형의 토양의 Landsat ETM 영상은 토양 유형별로 상이한 반사특성을 보였다. 산불지역 토양의 정규식생지수(NDVI)와 무감독 분류는 토양유형에 따른 Landsat ETM 영상 차이를 잘 반영하기 못하였으나, 최대우도법에 의한 감독분류 기법의 적용시 산불지역에서 침식형태에 따른 토양유형 구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산불지역에서 침식현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Landsat ETM 영상의 활용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인공 식물섬에 적합한 식물의 선발 - 4종 정수식물의 식생구조와 생장의 비교 (Selection of Suitable Plants for Artificial Floating Islands - Comparison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Four Emergent Macrophytes)

  • 이효혜미;권오병;석정현;조강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6
    • /
    • 2001
  • The floating islands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an disturbed aquatic ecosystem. We made floating islands consisted of a special float and substrates of coconut fibers implanted with four emergent macrophytes such as Phragmites australis, Zizania latifolia, Iris pseudoacorus, Typha angustifolia. Vegetation structure and plant growth were compared between on the floating islands and on ground in order to select suitable plants for the construction of floating islands. Emergent-macrophytic vegetation on the floating islands showed lower coverages and higher plant biodiversity due to natural introduction of various hydrophytes and hygrophytes. Shoot density was increased on floating islands except for Zizania latifolia. From the point of coverage and density of plants, Phragmites australis and Iris pseudoacorus were suitable for floating islands. Total biomass of emergent macrophytes was decreased on the floating islands. The belowground/aboveground biomass ratio of floating island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nd. Out of planted macrophytes, Iris pseudoacorus with a high belowground/aboveground biomass ratio could be evaluated a suitable plant for the floating islands because a plenty of its root is profitable to adapt with the nutrient-limited environment of floating islands.

  • PDF

고정익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노천광산 지형측량 기술의 현장실증 (On-site Demonstration of Topographic Surveying Techniques at Open-pit Mines using a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 이성재;최요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6호
    • /
    • pp.527-53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드론, SenseFly eBee)를 이용하여 국내 대규모 석회석 노천광산에 대한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비행고도 300 m, 비행속도 12 m/s 조건으로 약 30분간 자동모드 비행을 수행한 결과 현장에서 총 288장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 특이점 추출이 불가능한 37장의 항공사진을 제외한 251장의 항공사진 자료들을 보정하고, 정합한 결과 7 cm 해상도의 정사영상과 수치표면모델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4곳의 지상기준점에 대하여 고정밀 위성측정시스템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 좌표와 고정익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한 위치 좌표를 비교한 결과 평균 제곱근 오차가 15 cm 내외로 분석되었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는 회전익 무인항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행시간이 길어 넓은 영역의 신속한 지형측량이 가능하므로 대규모 노천광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ausal Links between Error Causes: Application to Railroad Accident Cases

  • Kim, Dong San;Yoon, Wan Chul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5-540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ausal links between various error causes in human error analysis. Background: As finding root causes of human error in safety-critical systems is often a cognitively demanding and time-consuming task,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for improving both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task. Although a few methods such as CREAM have suggested causal linking between error causes as a means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human error analysis, no published research to date has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causal links.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CREAM links between error causes were evaluated with 80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s from the UK. From each report, errorneous actions of operators were derived, and for each error, candidate causes were found by following the predefined links. Two measures, coverage and selectivity,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links, respectively. Results: On average, 96% of error causes actually included in the accident reports were found by following the causal links, and among the total of 121 possible error causes, the number of error causes to be examined further was reduced to one-tenth on average. As an additional result of this work, frequent error causes and frequently used links are provided. Conclu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redefined causal links between error cause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find the multiple levels of error causes and their causal relations without losing the quality of the results. Application: The CREAM links can be applied to human error analysis in any industry with minor modif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