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shoot ratio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7초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5-196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 액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잔디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복합비료(21-17-17)를 처리한 대조구(CF), 복합비료를 처리한후 미생물발효액비 500배액을 처리한 T500, 300배액을 처리한 T300, 100배액을 처리한 T100, 그리고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액비만을 처리한 L500 등 6개 처리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생육조사는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량, T/R 율 및 뿌리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 조사결과, T500 T300 T100 $\geq$ CF > L500 > N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처리구는 T300로 조사되었다. 2.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량 비교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포함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3%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T300에서 25% 증가하였다.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처리한 L500은 무처리구인 NF보다는 지상부 88%, 지하부 44% 씩 각각 증가하였다. 3. 잔디의 T/R율을 비교한 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처리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7% 높았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시비한 처리구인 L500이 무처리구인 NF보다 약 39% 높게 조사되었다. 4. 뿌리길이 조사결과, 복합비료처리구에서는 1차 2차 조사에서는 CF보다 T500, T300, T100에서 평균 $7{\sim}8%$ 더 높고, 3차 조사에서는 CF와 비슷하게 조사되었고, 복합비료가 시비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NF와 L500 처리구의 뿌리길이를 비교할 때 NF보다 L500에서 약 $22{\sim}66%$ 높게 조사되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과 효모균이 함유된 발효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뿌리길이, 지하부와 지상부 생육 및 잔디의 T/R 율을 향상시켰고,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가장 좋은 처리구는 T300이었다.

기내 배양 사과 대목 M.9의 순화 후 휘묻이 번식 시 발근 관련 생리적 특성 변화 (Changes of Root Physiology of Tissue Cultured M.9 Apple Rootstock after Layering)

  • 권순일;김목종;강인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181-186
    • /
    • 2005
  • 본 실험은 사과 왜성대목 M.9 조직배양묘를 12회 이상 계대배양 시켜 발근, 순화 후 포장에서 휘묻이에 의해 번식을 할 경우, 복토된 발근 예정 부위의 호르몬, 무기성분 등의 변화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휘묻이 후 첫 부정근 출현 일수는 기내유래 M.9는 25일, 일반 M.9는 30일이었다. 발근율은 기내유래 M.9는 100%였으며 일반 M.9는 83%였다. 휘묻이 할 줄기 부분의 IAA 함량은 기내유래 M.9가 일반 M.9에 비해 높았으나 휘묻이 20일 및 30일 후에는 일반 M.9가 더 높았다. 그러나 ABA 함량은 일반 M.9가 휘묻이 직전, 10일 후 및 20일 후의 기내유래 M.9에 비해 훨씬 더 많았다. 기내 유래 대목의 질소, 붕소, 망간, 아연의 함량은 모두 일반 M.9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기내유래 대목의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함량과 일반 기외대목의 함량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기내 유래 및 일반 M.9 대목의 리그닌 변화는 휘묻이 전, 10일 후, 30일 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러므로 기내유래 대목의 발근력의 증가는 당류와 호르몬의 함량 변화 보다는 무기성분과 리그닌 함량 변화에 더 많이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Interactive Effects of Ozone and Light Intensity on Platanus occidentalis L. Seedlings

  • Kim, Du-Hyun;Han, Sim-Hee;Lee, Kab-Yeon;Kim, Pan-G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08-515
    • /
    • 2008
  •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L.) seedlings were grown under low light intensity and ozone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light environment in their response to chronic ozone stress. One-year-old seedlings of Platanus occidentalis L. were grown in pots for 3 weeks under low light (OL, $150{\mu}mol{\cdot}m^{-2}{\cdot}s^{-1}$) and high light (OH, $300{\mu}mol{\cdot}m^{-2}{\cdot}s^{-1}$) irradiance in combination with 150 ppb of ozone fumigation. After three weeks of ozone and light treatment, seedlings were placed in ozone free clean chamber for 3 weeks for recovery from ozone stress with same light conditions to compare recovery capacity. Ozone fumigation determined an impairment of the photosynthetic process. Reduction of leaf dry weight (14%) and shoo/root ratio (17%) were observed in OH treatment. OL treatment also showed severe reductions in leaf dry weight and shoot/root ratio by 48% and 36% comparing to control, respectively. At the recovery phase, OH-treated plants recovered their biomass, whereas OL-treated plant showed reduction in leaf dry weight (52%) and shoot/root ratio (49%). OH-treated plants reached similar relative growth rate (RGR) comparing to control, whereas OL-treated plants showed lower RGR in stem heigh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 to those treatments in stem diameter RGR at the recovery phase. Ozone treatment produced significant reduction of net photosynthesis in both high and low light treatments. Carboxylation efficiency and apparent quantum yield in OL-treated pla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rate to 10% and 45%, respectively. At the recovery stage, ozone exposed seedlings under high light had similar photosynthetic capacity comparing to control plants.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increased in ozone fumigated plants only under low light. The present work shows that the physiological changes occur in photosynthesis-related parameters and growth due to ozone and low light stress. Thus, low light seems to enhance the detrimental effects of ozone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antioxidant enzyme responses.

양상추 유묘의 생육, 항산화물질 및 무기이온의 함량에 미치는 NaCl 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tioxidant Materials, and Inorganic Ion Content in Head Lettuce Seedlings)

  • 김주성;현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33-440
    • /
    • 2011
  • 본 실험은 수경재배 방식으로 본엽 2매까지 키운 양상추를 이용하여 NaCl 스트레스(0, 50 및 100mM NaCl)에 의한 생체중과 건물중, 항산화 물질 및 무기이온 함량 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상추 유묘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mM NaCl 처리시 가장 높았다. Chl a, total Chl 함량과 Chl a/b는 100mM NaCI 처리 후 6일째 증가하였으나, Chl b 함량은 감소하였다. 100mM NaCl 처리 후, 총글루타치온 함량은 양상추 유묘의 뿌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총아스코르빈산은 뿌리와 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NaCl 스트레스에 의한 spermidine 감소 현상과 spermine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뿌리 및 줄기에서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K^+$, $Ca^{2+}$$Mg^{2+}$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Na^+$, $Ca^{2+}/Na^+$$Mg^{2+}/Na^+$ ratio 역시 감소하였다. 종합해보면, 이들 결과는 양상추 유묘에서 NaCl 처리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되고, 그 결과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대사과정의 변화로 판단된다.

양액내 세라믹 처리가 청경채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ramics in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Chinese Flat Cabbage)

  • 박병모;권성환;박학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1997
  • $25^{\circ}C$로 유지되고 있는 온실내에서 양액에 세라믹을 처리하여 청경채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근권온도 3$0^{\circ}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특히 세라믹 2호는 각각의 온도 처리구에서 최고의 건물중이 나타난 반면, 3호는 무처리구보다도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었다. 줄기와 뿌리의 건물중의 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증가되었고, 모든 세라믹 처리구에서는 감소되었는데, 이는 세라믹이 뿌리의 생장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중 1g당 수분의 함량은 모든 세라믹 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1% 세라믹은 전기전도도가 0.001-0.03mS/cm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세라믹 중에 파랑색을 띤 3호가 가장 항균력이 강했으며, 모든 세라믹은 물썩음 방지 효과가 있었다.

  • PDF

대맥의 환경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형질변화 (Variations of Root and Shoot Characteristics of Barley Cultivars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

  • 최갑수;김기준;하용웅;김봉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4-300
    • /
    • 1985
  • 본 실험은 강보리·올보리·수원 18호 3개 정종을 공시하여 24시간 장일의 온실조건과 자연조건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형태변화를 비교·조사함으로써 맥류 육종에서의 세대단축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의 지상부 건물중은 자연조건에 비하여 온실조건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출수후에는 반대로 온실조건에서 낮았다. 2. 주당 엽면적은 자연조건에서 컸고, 근의 산화력은 온실조건에서 높았다. 3. 지하부의 건물중은 자연조건에 비하여 온실조건에서 현저히 작았고 지하부 건물중이 최대에 이르는 시기는 자연조건에서는 출수 4주후, 온실조건에서는 출수 7 주후였다. 4.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의 비율(T/R ratio) 은 온실조건에서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자연조건에서는 분얼개시기 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 성숙기 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Intraspecific Functional Vari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riginated from Single Population on Plant Growth

  • Lee, Eun-Hwa;Ka, Kang-Hyeon;Eom, Ahn-Heum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8-48
    • /
    • 2014
  •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is widespread symbiont forming mutualistic relationship with plant root in terrestrial forest in ecosystem. They provide improved absorption of nutrient and water, and enhance the resistance against plant pathogen or polluted soil, therefore AM fungi are important for survival and maintaining of individual or community of plant. For last decade, many studies about the functional variation of AM fungi on host plant growth response were showed that different geographic isolates, even same species, have different effect on host plant. However, little was known about functional variation of AM fungal isolates originated single population, which provide important insight about intraspecific diversity of AMF and their role in forest ecosystem. In this study, four AM fungal isolates of Rhizophagus clarus were cultured in vitro using transformed carrot (Daucus carota) root and they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isolates in ontogenic characteristics such as spore density and hyphal length. The plant growth response by mycorrhizas were measured also. After 20 weeks from inoculation of these isolates to host plants, dry weight, Root:Shoot ratio, colonization rates and N, P concentration of host plant showed host plant was affected differently by AM fungal isolates. This results suggest that AM fungi have high diversity in their functionality in intraspecific level, even in same population.

  • PDF

Growth, Carbon and Nitrogen Status of Container Grow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eedlings at Various Levels of Foliar Fertilization

  • Kim, Choonsig;Jeong, Jaeyeob;Moon, Tae-Shik;Park, Jun-Ho;Lim, Jong-Taek;Kim, Jong-Ik;Goo, Gwan-Hy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58-562
    • /
    • 2009
  • The growth, carbon and nitrogen status of container grow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eedlings were examined at various levels of foliar fertilization (control, 0.1%, 0.2%, 0.3%). Root collar diameter, height and dry weight of black pine seedling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foliar fertilization (P<0.05). Carbon concentration in needle of black pine seedling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iar fertilization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s (P<0.05), while other seedling components such as stem and roo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foliar fertilization and the control treatments. Nitrogen concentration and conten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foliar fertilization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s (P<0.05). Shoot/root ratio of black pine seedlings (needle+stem dry weight/root dry weight) was greater in the foliar fertilization (2.40-2.89)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s (1.87). However, nitrogen use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foliar fertilization (28-46) than in the control (111) treat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status on container grown black pine seedlings were enhanced by various levels of foliar fertilization.

광도가 곰솔 유묘의 생장과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Pinus thunbergii Deedings)

  • 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7-12
    • /
    • 2000
  • 본 실험은 광도가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유묘의 생장과 물질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고자 자연전광이 100, 50, 30, 10% 및 2%로 조절된 야외포지에서 1997년 5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실시되었다. 곰솔의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은 1,2차년을 통하여 자연전광에서 가장 높악으며, 50%에서의 수고생장은 1,2차년도 각각 대조구의 96.4, 88.9%로, 근원경생장은 각각 94.1 77.6%로 조상되엇다, 30%이하로 상대광도가 낮아질수록 수고 및 근원경생장이 급격히 감소 되었으며, 근원경생장의 감소율이 수고생장의 감소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2차년도의 2%에서는 시험 유묘 모두가 고사하였다. 물질생산량도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1, 2차년도 모두 뿌리의 감소율이 잎, 줄기보다 높았고, 1차년도에는 줄기의 감소율이, 2차년도에는 잎이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T/R율은 1차년도에는 50%에서,3.55, 2차년도에는 10%에서 4.88로 가장 높았다.

  • PDF

Open-Top chamber 내(內)에서 오존에 노출(露出)시킨 현사시 5개(個) 클론의 생장량(生長量)과 오존에 대(對)한 민감성(敏感性)과의 관계(關係) (Sensitivity of Five Clones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Cuttings to Ozone Exposure in Open-Top Chambers in Relation to Their Growth Rates)

  • 김태규;이경준;김군보;구영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05-115
    • /
    • 2000
  • 본 연구는 수목의 오존에 대한 피해정도가 수목 고유의 생장속도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장이 우수한 현사시(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4호 품종 중에서 두 개 클론(72-30, 72-16)과 생장이 비교적 저조한 현사시 2호 품종 중에서 3개 클론(72-28, 72-27, 72-19)을 본 실험에서 비교하였다. 위의 5개 클론의 삽수를 4월초 $2{\ell}$ 화분에 삽목하여 증식시킨 후, 8월 하순에 야외에서 3개의 open top chamber(직경 2.5m, 높이 2.0m) 내에서 30일 동안 70ppb와 130ppb의 오존에 1일 5시간씩 노출하였다. 대조구는 활성탄으로 여과하여 오존의 농도가 30ppb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각 클론별, 처리별로 20개의 화분을 반복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에서 두 품종간의 생장비교는 현사시 4호가 현사시 2호보다 잎 건중량에서 73%, 뿌리 건중량에서 64%, 총건중량에서 38% 더 우수하여 현사시 4호의 생장속도가 2호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오존에 의한 가시적 피해는 70ppb 오존처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130ppb 처리에서 현사시 4호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성숙잎에서 전형적인 작은 갈색 반점들로 나타났으며, 성숙잎의 조기낙엽을 가져왔다. 70과 130ppb 오존처리는 5개 모든 클론의 수고생장, 잎과 뿌리의 건중량과 총건중량을 감소시켰는데, 이 중에서 뿌리생장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다. 70ppb 오존에서 뿌리의 감소량은 현사시 4호가 39.7%이고, 현사시 2호는 13.8%이었다. 130ppb 오존에서도 현사시 4호의 뿌리감소량은 47.4%이고, 현사시 2호는 34.9%이었다. 이로 인하여 shoot/root율은 130ppb에서 현사시 4호는 63.4% 증가한 반면, 현사시 2호는 22.1% 증가에 그쳤다. 오존에 의한 가공전도도와 순광합성량의 변화에서도 현사시 4호가 현사시 2호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다. 특히 130ppb 오존에서 현사시 4호의 순광합성량은 69.5% 감소한 반면에, 현사시 2호는 31.5% 감소하였다. 따라서 위의 여러 가지 생리적 반응을 근거로 하여 생장이 우수한 현사시 4호가 생장이 상대적으로 적은 현사시 2호보다 오존에 더 민감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수목의 오존에 대한 피해정도는 수목 고유의 생장속도가 관련되어 있다고 결론 짓는다.

  • PDF